$\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비예정구역 해제지역 재생사업의 정비요소와 고령거주자의 사업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 사례연구 - 서울시 연남동, 북가좌동 시범사업지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Housing Regeneration Projects in Yonnam-dong and Buk Gajwa-dong, Seoul: The Determinants of Satisfaction of Elderly Residents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7 no.5, 2016년, pp.11 - 23  

김아름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학과) ,  구자훈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determinants of satisfaction with the results of housing regeneration projects among their elderly residents, and to suggest the political implications. The survey included questionnaires about satisfaction levels with the projects' physical and non-phy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의 선행연구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의 정비예정구역 해제지역 사업지 중에서 1차 시범지역으로 2012년 계획이 수립되고 2013년 9월과 12월에 공사가 시행되어 완료된 연남동과 북가좌동을 중심으로 사업의 정비요소와 고령거주자의 사업만족도 간의 영향관계를 PLS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해보고자 한다. PLS 회귀분석은 1996년 Herman World에 의해 계량경제학 분야의 분석방법으로 처음 소개되었으나, 최근에는 사회학, 도시계획 등으로 그 활용분야가 확대되었다.
  • 마지막으로 내용적 범위는 사업지역 고령거주자의 사업만족도와 물리적·비물리적 사업정비요소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마을단위의 주거지 정비사업에서 고령거주자의 관점에서 사업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정비요소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는 고령화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고령자 관점에서 사업을 평가해보고 사업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사업계획요소를 도출해보는 것이 추후 정책적 기초자료로써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 이러한 연구모형을 통해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의 세부 정비항목 중에서 고령거주자의 사업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PLS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요소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 여기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기에 의미가 있는 대상지를 선정하기 위해 서울시에서 시행중인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의 4가지 유형에 대해 검토하였으나, 시기적인 적합성과 정책적 기초자료로써의 활용성 측면을 고려하여 일반화 가능성이 높은 유형인 정비예정구역 해제지역 유형1)의 시범지역(연남동2), 북가좌동)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진행되는 다수의 정비예정해제구역 유형의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 계획수립 시 참고할 수 있는 고령거주자를 고려한 계획수립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은 정비예정구역 해제지역(2개소), 촉진지구 존치지역(3개소), 다가구·다세대 밀집 지역(2개소), 지역특성화 시범사업지역(1개소)등 4개의 유형으로 사업이 완료되었다. 이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정비구역 해제지역에서 2012년 계획이 수립되고, 2013년에 공사가 완료된 주거지 재생사업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을단위의 주거지 정비사업이 추진되는 이유는? 과거 전면철거형으로 진행되던 주거지 재생사업이 다양한 문제점이 제기되면서 최근에는 마을단위의 주거지 정비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여 서울시에서는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몇개 유형의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이 완료됐는가?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은 정비예정구역 해제지역(2개소), 촉진지구 존치지역(3개소), 다가구·다세대 밀집 지역(2개소), 지역특성화 시범사업지역(1개소)등 4개의 유형으로 사업이 완료되었다. 이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정비구역 해제지역에서 2012년 계획이 수립되고, 2013년에 공사가 완료된 주거지 재생사업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마을단위의 주거지 정비사업을 위해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것은? 과거 전면철거형으로 진행되던 주거지 재생사업이 다양한 문제점이 제기되면서 최근에는 마을단위의 주거지 정비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여 서울시에서는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1차 사업으로 8개 지역을 4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사업이 완료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ung, K. S., Park, K. Y., & Lee, J. K., (2014). Presumed influence factors of user satisfaction of seoul digital industrial complex using PLS-KRegression Model. Industry-university technology of Korea Society, 15(6), 3931-3943. 

  2. Kim, A. L. (2015). A study on the community activity and social network for the aged in renewal project: Focused on the project of Yonnam-dong and BukGajwa-do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3. Kim, A. L., & Koo, J. H. (2014). A study on determinants of elderly residental satisfaction on the planned elements of the participatory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ing projects - Focused on the project of Yonnam-dong.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5(5), 125-132. 

  4. Kim, A. L., Koo, J. H., & Lee, J. L. (2013).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elderly residents on the planned elements of the participatory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ing projects: Focused on the project of Yonnam-dong.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4(6), 103-110. 

  5. Kim, J. N., Kim, H. Y., & Lee, J. L. (2012). A study monitoring of citizen’s education program in community building. Asian pacific Planning Review, 47(2), 57-67. 

  6. Kim, S. K., Moon, J. Y., & Kim, J. N. (201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national rental housing for elderly through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cused on national rental housing for elderly in Ha-dong, Kim-Ja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1(2), 1-10. 

  7. Kim, Y. N. (2001). With the focus on between members and Non members in senior centerA Study on ADL, IADL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nam Health University, Suwon, Korea. 

  8. Kim, Y. N. (2012).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among urban elderly population; Focused on the independent living ability and the social suppo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9. Koo, J. H., Lee, J. L., & Kim, J. H. (2013). An evaluation of quality of service for community bicycle road according to road types and land use characteristics. Seoul city research, 14(3), 81-94. 

  10. Lee, K. H. (2015). Maeulmandeulgi or community planning of the Haenggung-dong citizens, the most valuable village of Maeulmandeulgi in Suwon: Issues and challenge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59(6), 37-41. 

  11. Lee, K. S., Park, S. J., & Song, T. J. (2010). Actual proof study on the participated design stand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village creation supported by local government; Case study of Cheonranam-do & Haenam-gun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1(1), 131-139. 

  12. Lee, S. K., Lee, K. S., Jong, W. C., & Kim, S. K. (2013). Outcomes and limits of the Maeul-mandeulgi Process; Focused on Jeongneung-1dong of The Seongbuk-gu’s secondary urban academy in 2011. Urban Review, 14(1), 89-91. 

  13. Lim, B. H., & Ji, N. S. (200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erception on the living environment in Daejeon. Korea Planning Association, 44(7), 71-84. 

  14. Martilla, J. A., & James, J. C. (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12(1), 21-30. 

  15. Nam, T. J., Lim, B. C., & Ji, N. S. (200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erception on the living environment in Daejeon.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4(7), 71-84. 

  16. Park, S. J. (2012). A Measurement of the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in old persons. Taegu: The Soc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Taegu University. 

  17. Seoul City (2010). Human town village design guidelines. Seoul: Seoul Government Printing Office. 

  18. Seoul City (2011). Human Yeonnam-dong, Mapo-gu, Seoul town design guidelines: Seoul human town of second-class district plan. Seoul: Seoul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 Seoul City (2012). Resident participation regeneration project presentation Kit. Seoul: Seoul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 Sin, J. E., & Hea, J. Y. (2008).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problems of experience program for the sustainable ‘Ma-ul man-dul-gi’ project.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1), 185-192. 

  21. Yang, J. S. (2012). Town planning unit operating status and role borough improvement of seoul. Seoul: Seoul Institute. 

  22. Yu, E. Y. (2010). Subjective perception types of citizen's participation in neighbourhood-making. Korea Design Forum, 35(12), 27-3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