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혼간호사의 일-가정양립경험: 가족확대기 간호사를 중심으로
Work-Family Compatibility Experience of Married Nurse: Focusing on the Expanding Stage of the Family Life Cycl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2, 2016년, pp.545 - 559  

김한나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김정선 (춘해보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확대기의 기혼간호사들의 일과 가정의 양립의 경험의 본질을 탐색하고자 가족확대기의 기혼간호사 7명의 참여로 2015년 6월 10일부터 11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여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결과 가족확대기의 기혼간호사들의 일과 가정의 양립의 경험은 29개의 주제와 12개의 주제모음, 4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최종 도출된 4개의 범주는 '일과 양육 병행에 대한 현실', '일과 양육 양립의 대한 외적 내적 갈등', '양립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현실과의 타협', '양립을 위한 성장 욕구와 노력'으로 분석되었다. 기혼간호사의 일과 가정 양립의 원동력은 전문직 여성으로써의 가치감과 아이 양육에서의 행복감에 의미를 두고 있었다. 따라서 기혼간호사의 일과 가정 병행을 위한 기관 및 가족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work-family compatibility experience of married nurse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7 registered nurses who are on the expanding stage of their family life cycle. Data were collected b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from June 10 to November 30, 2015 and analyzed 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확대기 가족이란? 가정생활주기 중 확대기 가족은 자녀출산으로 인한 가족구조의 변화와 더불어 새로운 부부관계가 형성되는 시기를 말하며[1], 이 시기는 자녀의 출생으로 인하여 가족체계 변화가 일어나면서 가족구조 및 가족구성원의 관계와 역할 변화가 초래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즉, 첫 자녀 출생과 동시에 초보 부부는 여러 가지 역할 혼란과 양육과정에서의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며[2,3], 특히 맞벌이 가정의 경우 타인에게 자녀의 양육을 맡기면서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지 못함으로 인해 그에 따른 죄책감이 큰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4].
첫 자녀 출생과 동시에 초보 부부가 확대기 가족 시기에 겪게 되는 것은? 가정생활주기 중 확대기 가족은 자녀출산으로 인한 가족구조의 변화와 더불어 새로운 부부관계가 형성되는 시기를 말하며[1], 이 시기는 자녀의 출생으로 인하여 가족체계 변화가 일어나면서 가족구조 및 가족구성원의 관계와 역할 변화가 초래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즉, 첫 자녀 출생과 동시에 초보 부부는 여러 가지 역할 혼란과 양육과정에서의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며[2,3], 특히 맞벌이 가정의 경우 타인에게 자녀의 양육을 맡기면서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지 못함으로 인해 그에 따른 죄책감이 큰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4].
최근 간호직에 증가된 신체 및 심리적 갈등상황은? 특히 간호직은 여성의 대표적인 전문 직업으로 알려진 간호사는 신체 및 심리적 갈등이 가장 높은 직업 중의 하나이다[7]. 최근 들어 환자의 권익보호 및 양질의 의료 서비스에 대한 기대 확대로 간호사의 신체적, 정신적 소모가 과거에 비해 증가되었다. 24시간 환자를 간호해야 하는 업무의 특성상 교대근무가 불가피하며 이는 교대근무 간호사들의 불규칙한 근무 환경과 과도한 업무로 피로가 야기됨을 시사하고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 J. Doo., H. S. Yoo., "Marital Satisfaction of Expanding Dual-Earner Couples and It's Influential Variables",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Vol. 4, No. 1, pp. 47-57, 2000. 

  2. K. S. Kwon, "A qualit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enting and difficulties of an inexperienced mother who nurtures an infant",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3, No. 1, pp. 229-255, 2008. 

  3. N. H. Kim, "Early childhood parents' perceptions of good father's roles and social roles for good fathering",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8, No. 2, pp. 79-98, 2011. 

  4. C. J. Kim, "Influence of ecological factor of working mothers toward the stress of childcare". Chongshin University: Seoul. master's thesis. 2008. 

  5. O. I. Lee, "A study on the infant & toddler's action caused the caregivers' difficulty in the routine care". The Korean Research Association for Childcare Practice, Vol. 7, No. 1, pp. 45-63, 2011. 

  6. O. B. Jeong., S. H. Jeong., Understanding Marriage and family. Seoul: sigmapress. 2005. 

  7. T. Takeuchi., Y. Yamazaki.,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a sense of coherence among Japanese registered nurse", Jap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Vol. 7, pp. 158-168, 2010. DOI: http://dx.doi.org/10.1111/j.1742-7924.2010.00154.x 

  8. E. J. Lee., S. W. Shin.,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n Fatigue and Depression among Shift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4, pp. 2256-2264, 2014. 

  9. H. R. Min, "Relationship between married nurses' maternal role conflicts and attempt of turnover". Hallym University:Gangwon. master's thesis. 2005. 

  10. H. O. Kim. "The Effect of Work-Family Balance on Outcomes among Married Nurse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haustion". Kyunghee University:Seoul. doctoral thesis. 2015. 

  11. T. D. Allen., D. E. L. Herst., C. S. Bruck., M. Sutton., "Consequence associated with work to family conflict: A review and agenda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 5, No. 2, pp. 278-308, 2000. DOI: http://dx.doi.org/10.1037/1076-8998.5.2.278 

  12. S. Y. Kim., S. M. Kim., K. Y. Lee., "A qualitative study on dual earner families' work and family lives for ideal work-family balance",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Vol. 15, No. 1, pp. 93-116, 2011. 

  13. S. A. Hong, "Case studies on work-family balance policies in eight countries".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08. 

  14. P. F. Colaizzi,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6, 1978. 

  15. Y. S. Lincoln., E. G. Guba., "Effective evaluation(4th ed.)",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cation, University Press, 1985. 

  16. G. J. Park, "A study on the effect of work' family compatibility support policy on child foster burden and childbirth attitude". Myongji University:Seoul, doctoral thesis. 2008. 

  17. K. E. Kim., Y. J. Chang., "A hermeneutics phenomenological study on working mothers' experiences of rearing their firstborns",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Vol. 9, pp. 31-43, 2008. 

  18. N. H. Kim., E. J. Lee., S. Y. Kwak., M. R. Park.,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parenting burden of working mother with young children in Korea",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19, No. 3, pp. 188-200, 2013.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3.19.3.188 

  19. J. W. Sung., S. Y. Park., "Maternal guilt and its related variables: focusing on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child age",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Vol. 11, pp. 123-145, 2011. 

  20. S. N. Yang., C. S. Shin., "Work-family conflicts: Challenges of worki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1, No. 3, pp. 70-103. 2011. DOI: http://dx.doi.org/10.15709/hswr.2011.31.3.70 

  21.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Basic Analysis Report of Korean Children Panel Survey 2010", 2011. 

  22. S. N. Choi, "Mother's Variou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nfant Temperament, Nurturing Behavior, effect on Infant Development-The Mediating effects of Nurturing Behavio",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8, pp. 5160-5171, 2015. 

  23. E. J. Kim., Y. H. Seo., "A qualitative study on child-rearing by grandparent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 28, pp. 175-192, 2007. 

  24. S. E. Kim., H. Y. Choi., "Mothers'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s, and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by their children's emotionality and their husbands' support on parenting",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 45, No. 8, pp. 1-11, 2007. DOI: : http://dx.doi.org/10.5762/KAIS.2015.16.8.5160 

  25. K, E. Kim, "The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Father's parenting stres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7 pp. 4566-4575,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7.4566 

  26. Lee EJ, Shin SW (2014).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n Fatigue and Depression among Shift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4 pp. 2256-2264,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4.2256 

  27. Lee SN, Kim ES(2015).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Value on Major Satisfac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8 pp. 5304-5313,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8.5304 

  28. S. I. Choi., M. H. Sung., "Relationships among professional identity,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emergency department(ED)",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 Vol. 15, No. 6 pp. 3725-3733,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6.3725 

  29. M. J. Kim., S. J. Kim., K. B. Kim., "Phenomenological Approach on Self-Esteem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 19, No. 2 pp. 138-149, 2013. DOI: http://dx.doi.org/10.14370/jewnr.2013.19.2.1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