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결건조커피 제조에 적합한 유산균 균주 선발
Selection of Lactic Acid Bacteria suitable for Manufacture of Freeze-dried Coffe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9 no.6, 2016년, pp.1023 - 1029  

고봉수 (남양유업(주) 중앙연구소) ,  임상호 (남양유업(주) 중앙연구소) ,  한성희 (고려대학교 생물신소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장작용, 면역체계 조절, 알레르기 저감, 콜레스테롤 경감 등 여러 기능적 효능이 알려진 프로바이오틱스 건강기능 식품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커피 상품개발을 위하여 커피 배합에 최적인 probiotic 균주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유통 중인 동결건조커피에서 분리한 균주 1종, 발효유스타터로 사용되는 균주 8종, Bifidobacterium 1종, Bacillus coagulans 1종으로 동결건조 후 생존율, 커피 음용 환경 생존율,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측정하였다. Bacillus coagulans는 초기균수 $2.4{\times}10^7cfu/g$에서 동결건조 후에도 $2.0{\times}10^7cfu/g$으로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고, 커피의 음용 환경, 내산성, 내담즙성 테스트에서도 대조균인 Lactobacillus casei 균에 비하여 우수한 생존율을 나타냈다. 특히, 내산성 테스트에서는 pH 1, 120분 조건에서 Bacillus coagulans이 대조군에 비하여 3.8배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이에 포자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생성 Bacillus coagulans 균제제를 기능성 커피 배합 및 상품화에 적합한 probiotic 균주로 판단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biotic functional foods are known to have various functional effects such as intestinal regulation, modulation of immune system, reduction of allergies, and lowering of cholester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probiotic strain that is most suitable for freeze-dried coffee for the de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업화된 probiotics 균주와 동결건조커피에서 직접 분리한 유산균 1종이 동결건조커피 제조과정과 커피 음용 환경조건에서의 생육가능성을 조사하여 커피 배합에 최적인 probiotics 균주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로바이오틱스란 무엇인가?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충분한 양을 섭취하였을 때, 안전하고 건강에 도움이 되는 살아있는 균’이라고 정의되고 있다(FAO/WHO 2002; Gorbach SL 2002). Fuller R(1991)은 숙주가 살아있는 미생물을 일정 수준 섭취하였을 때, 숙주의 장내 미생물의 균형을 개선시키거나 면역계를 활성화시켜 건강증진효과를 나타내는 식품 보충제라고 probiotics를 정의하였다.
Probiotics 균주가 최대 활성을 위해 갖춰야 하는 특징은 무엇인가? Probiotics 균주는 활성부위에서 생존하는 것이 중요한데, 최대 활성을 위해서는 균주가 특수부위에 서식과 증식할 수 있어야 하고, 낮은 pH와 고농도 담즙산염에 내성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면역시스템에 내성과 병원성, 알레르기성, 돌연변이 유발 발암성이 없어야 하며, 인체에 먹어도 안전한 generally recognized as safe(GRAS) 상태이어야 한다(Ravinder N 2012).
가장 흔히 연구에 사용되는 probiotics균인 Lactobacilli와 Bifidobacteria의 특징은? 균주는 인체에서 분리된 것이 좋으며, 임상적으로 probiotics 균주를 사용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Dunne 등 2001), 그 중 가장 흔하게 연구되고 있는 균주는 Lactobacilli와 Bifidobacteria이다(Saxelin M 1977). 이것은 사람으로부터 분리한 probiotics 균으로서 정장작용(Borriello 등 2003), 병원성 세균억제(Dave & Shah 1997) 등 유익한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 과학적으로 기능이 입증되어 health claim을 할 수 있는 probiotics 기능은 로타바이러스 및 항생제 관련 설사개선(Isolaure 등 2002), 유당 과민증 경감(Ouwehand 등 2002), 유아식이성 알러지 증상 경감, 정장 작용 등이며, in vivo 수준에서 발암 위험 감소(Kumar 등 2011), 면역기능 조절(Matsuzaki 등2000), 알레르기 저감, 혈압강하, 헬리코박터 피로리균 억제(Hamilton-Miller J 2003), 장내환경개선, 과민성 대장염 및 궤양성 대장염 경감, 식이성 콜레스테롤 경감(Pereira & Gibson 2002), 구강 내 감염증 경감 등의 효과를 들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enkovic M, Srecec S, Spoljaric I, Mrsic G, Bauman I. 2015. Fortification of instant coffee beverages-influence of functional ingredients, packaging material and storage time on physical properties of newly formulated, enriched instant coffee powders.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95:2607-2618 

  2. Borriello SP, Hammes WP, Holzapfel W, Marteau P, Schrezenmeir J, Vaara M, Valtonen V. 2003. Safety of probiotics that contain Lactobacilli or Bifidobacteria. Clin Infect Dis 36:775-780 

  3. Choi JB, Shin YW, Paek NS, Kim YM. 2004. Enfluence of herbal extract on lactic acid bacteria growth and cryoprotectants. Korean L Food & Nutr 17:286-293 

  4. Dave R, Shah NP. 1997. Viability of probiotic bacteria in yoghurt made from commercial starter cultures. Int Dairy J 7:31-41 

  5. Dunne C, O'Mahony L, Murphy L, Thornton G, Morrissey D, O'Halloran S. 2001. In vitro selection criteria for probiotics bacteria of human origin: Correlation with in vivo findings. Am J Clin Nutr 73:386S-392S 

  6. FAO/WHO. 2002.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of probiotics in food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Expert Consultation Report.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king Group Report (online) 

  7. Fuller R. 1991. Probiotics in human medicine. Gut 32:439-442 

  8. Gibson G. 2010. Bacillus coagulans as a probiotic, Food Science and Technology Bulletin. Functional Foods 7:103-109 

  9. Gorbach SL. 2002. Probiotics in the third millennium. Dig Liver Dis S2-S7 

  10. Hamilton-Miller J. 2003. The role of probiotics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t J Antimicrob AG 22:360-366 

  11. Isolaure E, Kirjavainen PV, Salminen S. 2002. Probiotics: a role in the treatment of intestinal infection and inflammation. Gut 50:54-59 

  12. Jalali M, Abedi D, Varshosaz J, Najjarzadeh M, Mirlohi M, Tavakoli N. 2012. Stability evaluation of freeze-dried 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tolerance and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in oral capsules. Research in pharmaceutical sciences 7:31 

  13. Kumar M, Verma V, Nagpal R, Kumar A, Behare PV, Singh B, Aggarwal PK. 2011a. Anticarcinogenic effect of probiotic fermented milk and chlorophyllin on aflatoxin-B1 induced liver carcinogenesis in rats. Br J Nutr 107:1006-1016 

  14. Maathuis, AJH, Keller D, Farmer S. 2010. Survival and metabolic activity of the GanedenBC30 strain of Bacillus coagulans in a dynamic in vitro model of the stomach and small intestine. Beneficial Microbes 1:31-36 

  15. Marshall RT, ed. 1992.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Dairy Products, 16th ed. APHA, Washington, D.C. 

  16. Matsuzaki, Takeshi, James Chin. 2000. Modulating immune responses with probiotic bacteria. Immunology and Cell Biology 78:67-73 

  17. Ouwehand, Arthur C, Seppo Salminen, and Erika Isolauri. 2002. Probiotics: an overview of beneficial effects. Antonie Van Leeuwenhoek 82:279-289 

  18. Park SJ, Kim DH, Paek NS, Kim SS. 2006.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ation product of ginseng by lactic acid bacteria (FGL). Journal of Ginseng Research 30:88-94 

  19. Pereira DIA, Gibson GR. 2002. Cholesterol assimil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and Bifidobacteria isolated from the human gut. Appl Environ Microbiol 68:4689-4693 

  20. Ravinder N. 2012. Probiotics, their health benefits and applications for developing healthier foods: a review. FEMS Microbiol Lett 334:1-15 

  21. Reid G, Jass J, Sebulsky MT, McCormick JK. 2003. Potential uses of probiotics in clinical practice. Clin Microbiol Rev 16:658-72 

  22. Salminen S, Boyley C, Boutron-Ruault MC, Cummings JH. 1998. Functional food science and gastrointestinal physiology and function. Br J Nutr 147-171 

  23. Samar M, Zahar E, Leila N. 2013. The effect of heat process on the survival and increased viability of probiotics by microencapsulation. A review. Annals of Biological Research 4:83-87 

  24. Sanders ME, Morelli L, Tomkins TA. 2003. Sporeformers as human probiotics: B. Sporelactobacillus and Brevibacillus. Compr Rev Food Sci F 2:101-110 

  25. Saxelin M. 1997. Lactobacillus GG-A human probiotic strain with thorough clinical documentation. Food Rev Int 13:293-313 

  26. Vanos V, Bindschedler O. 1985. The microbiology of instant coffee. Food Microbiology 2:187-197 

  27. Zavaglia AG, Kociubinsky G, Perez P, de Antoni G. 1998.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fidobacterium strains for probiotics formulation. J Food Prot 61:865-8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