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개병원의 환자안전문화 인식도 조사결과
The results of recognition survey for patient safety culture in a hospital 원문보기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 QIH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22 no.2, 2016년, pp.75 - 90  

김기영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QPS팀) ,  한혜미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QPS팀) ,  박유리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QPS팀) ,  김순애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QPS팀) ,  신현수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방사선종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measures the level of cognition of employee's patient safety culture and evaluates the current level through comparing the results to external levels. Ultimately it is performed to construct a strategic improvement plan through the basic database for patient's safety cultu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개 병원의 종사자인 의사직, 간호직, 보건직 및 행정직을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병원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내부 전체 직원의 환자 안전 문화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따라 일개병원의 환자안전문화를 측정하고 본원의 강점과 약점을 평가하여 환자안전문화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2013년에 Joint commission에 보고된 적신호사건에 대한 근본원인분석 결과[21], ‘의사소통’이 ‘인적요인’ 다음으로 가장 많은 원인을 차지하였고, ‘치료의 연속성’도 주요한 적신호사건의 근본 원인으로 나타났다[22]. 이에 병원 내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부서 간 정보교환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 되었다.

가설 설정

  • 11) 인수인계 및 전과 : 환자치료에 관한 중요한 정보가 전과/전동, 근무교대 시 전달된다.
  • 12) 오류에 대한 비처벌적 대응 : 직원들은 그들의 실수와 사건보고가 그들의 인사고과에 반영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 6) 환자안전의 전반적인 인식 : 절차와 시스템이 과오를 예방하는데 적절하고 환자안전에 문제를 일으킬 만한 요소가 없다.
  • 둘째,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는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 첫째, 부서 간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기관의 질에 있어 중요한 요소는? 환자안전은 의료기관의 질(Quality)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의료기관의 지속적인 질 향상이 강조될수록 환자안전문화 구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
환자안전문화를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영국의 안전 보건위원회(Health and Safety Commission)는 안전 문화를 조직의 의료 및 안전 관리의 방식과 숙련도 및 실행을 결정하는 개인이나 그룹의 가치, 태도, 인식, 능력 및 행동 양식의 혼합체로 정의하고 있다[4]. 이와 같은 환자안전문화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조직에서 중요시되는 가치, 신념, 규범, 환자안전과 관련되어 어떤 태도와 행동이 지원, 보상되고 기대되는지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환자안전문화에 대해 영국의 안전 보건위원회가 말한 개념은? Nieva와 Sorra[3]는 안전 문 화를 조직 설정 시 수행되는 안전 지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회 지향적 행동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영국의 안전 보건위원회(Health and Safety Commission)는 안전 문화를 조직의 의료 및 안전 관리의 방식과 숙련도 및 실행을 결정하는 개인이나 그룹의 가치, 태도, 인식, 능력 및 행동 양식의 혼합체로 정의하고 있다[4]. 이와 같은 환자안전문화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조직에서 중요시되는 가치, 신념, 규범, 환자안전과 관련되어 어떤 태도와 행동이 지원, 보상되고 기대되는지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l-Mandhari A, Al-Zakwani I, Al-Kindi M, Tawilah J, Dorvlo AS, Al-Adawi S. Patient safety culture assessment in oman. Oman Medical Journal. 2014;29(4):264-270. 

  2. Cox S, Cox T. The structure of employee attitude to safety: a European example. Work Stress 1991;5:93-106. 

  3. Nieva VF, Sorra J. Safety culture assessment: a tool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in healthcare organizations.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2003;12(Suppl 2):17-23. 

  4. Health and Safety Commission. Third report: organizing for safety. ACSNI Study Group on Human Factors. HMSO, London, 1993. 

  5.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Hospital survey on patient culture [Internet]. Rockville, USA: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15 [cited 2015]. Available from: http://www.ahrq.gov/professionals/quality-patient-safety 

  6. Lee HW, Cho HS, Kim SH. A study on worker'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a hospital.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2011;17(1):89-105. 

  7. Al-Ahmadi TA. Measuring patient safety culture in Riyadh's hospitals: a comparis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hospitals. The Journal of the Egyptian Public Health Association. 2009;84(5-6):479-500. 

  8. Alahmadi HA.. Assessment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Saudi Arabian hospitals.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2010;19(5):e17 

  9. Arabloo J, Rezapour A, Ebadi Fard Azar F, Mobasheri Y. Measuring patient safety culture in Iran using the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HSOPS): an Exploration of survey reliability and validity.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 Research. 2012;1(1):15-28. 

  10. Bodur S, Filiz 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urkish version of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in public hospitals in turkey.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2010;10:28. 

  11. Chen IC, Li HH. Measuring patient safety culture in Taiwan using the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HSOPSC).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2010;10:152-162. 

  12. El-Jardali F, Jaafar M, Dimassi H, Jamal D, Hamdan R. The current state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Lebanese hospitals: a study at baseline.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10;22(5):386-395. 

  13. Fujita S, Seto K, Ito S, Wu Y, Huang CC, Hasegawa T: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Japan, Taiwan and the United States.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2013;13:20. 

  14. Matsubara S, Hagihara A, Nobutomo K. Development of a patient safety climate scale in Japan.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08; 20(3):211-220. 

  15. Measurement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Iranian hospitals: A national baseline study. Journal of Clinical Research & Governance. 2013;2(2):47-52. 

  16. Nie Y, Mao X, Cui H, He S, Li J, Zhang M.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in China.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2013;13:228. 

  17. Azami-Aghdash S, Ebadifard Azar F, Rezapour A, Azami A, Rasi V, Klvany K. Patient safety culture in hospitals of Ira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dical Journal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2015;29:251. 

  18. Fujita S, Seto K, Kitazawa T, Matsumoto K, Hasegawa T. Characteristics of unit-level patient safety culture in hospitals in Japan: a cross-sectional study.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2014;14:508. 

  19. Wami SD, Demssie AF, Wassie MM, Ahmed AN. Patient safety culture and associated factors: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of healthcare workers' view in Jimma zone Hospitals, Southwest Ethiopia.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2016;16:495. 

  20. Lee YA. A study on worker'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a general hospital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9. 

  21. The Joint Commission. Sentinel event data - Root causes by event type [Internet]. Illinois, USA: The Joint Commission; 2014 [cited 2015]. Available from: http://www.jointcommission.org/Sentinel_Event_Statistics/(2014). 

  22. Mardon RE, Khanna K, Sorra J, Dyer N, Famolaro T. Exploring relationships between hospital patient safety culture and adverse events. Journal of Patient Safety. 2010;6(4):226-232. 

  23. Lee SH, Phan PH, Dorman T, Weaver SJ, Pronovost PJ. Handoffs, safety culture, and practices: evidence from the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2016;16:254. 

  24. Flin R, Burns C, Mearns K, Yule S, Robertson EM. Measuring safety climate in health care.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2006;15(2):109-115. 

  25. Smits M, Wagner C, Spreeuwenberg P, van der Wal G, Groenewegen PP. Measuring patient safety culture: an assessment of the clustering of responses at unit level and hospital level.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2009;18(4):292-29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