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 온라인 목록의 보강된 콘텐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riched Contents of OPAC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0 no.4, 2019년, pp.181 - 201  

윤정옥 (청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OPAC이 제공하는 보강 콘텐츠의 현황 및 내용을 분석하고 도서관의 역할을 검토하는 것이다. 2019년 9월부터 10월 사이 국립중앙도서관의 '국가자료종합목록(KOLIS-NET)'에서 검색한 『전두환 회고록』 소장 125개 공공도서관 및 『반일 종족주의』 소장 260개 공공도서관 OPAC을 조사한 결과, 책 소개, 요약, 서평 등 보강 콘텐츠는 대부분 알라딘 인터넷 서점, 네이버, 다음 등 포털이 제공하였으며, 출판사의 일방적 홍보성 책 소개와 본문 인용만을 포함하였다. 보강 콘텐츠는 서지레코드에서 '외부정보' 등 별도 필드에서 링크 제공, 서지레코드 내에서 직접 전부 혹은 일부 디스플레이, 책 소개를 포함한 여러 보강 콘텐츠를 바로 보여주는 방식 등으로 제공되었다. 그러나 객관적, 전문적 서평 없이, 출판사의 일방적 홍보성 책 소개와 본문 인용에 한정된 보강 콘텐츠는 이용자의 책 이해에 크게 기여하기 어려움에 따라, 사서들의 적극적 평가와 직접적 작성 등 개입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tate of the enriched contents of OPAC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Examined are the OPACs of 125 public libraries which hold Jeon Du-hwan Hoegorok, and 260 public libraries which hold Banil Jongjokjuui retrieved from KOLIS-NET of the National 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OPAC이 어떤 보강 콘텐츠를 제공하는지, 그 내용이 이용자들이 책을 이해하는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 그리고 도서관이 어떤 책임을 가지는지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아무런 사실적 근거 없이 거짓말로 쌓아올린 샤머니즘적 세계관의, 친일은 악이고 반일은 선이며 이웃 나라 중 일본만 악의 종족으로 감각하는 종족주의. 이 반일 종족주의의 기원, 형성, 확산, 맹위의 전 과정을 국민에게 고발하고 그 위험성을 경계하기 위한 책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은 어떤 기관인가? 도서관은 박물관, 아카이브 등과 더불어 오랫동안 일종의 집합기억을 보존하는 기관으로 여겨지며, ‘기억기관(memory institution)’이라고 불리기도 한다(Stainforth 2016, 323-4). 도서관이 어떤 자료를 선정하여 장서에 편입시키고 이용자들에게 접근을 제공하며 다음 세대를 위하여 보존할 것인지 결정함에 따라 사회적으로 기억될 내용이 영향을 받게 된다.
도서관은 지역사회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도서관이 어떤 자료를 선정하여 장서에 편입시키고 이용자들에게 접근을 제공하며 다음 세대를 위하여 보존할 것인지 결정함에 따라 사회적으로 기억될 내용이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에서 “도서관자료의 수집·정리·보존 및 공중에 이용 제공”1)을 기본 업무로 수행해야 함에 따라, 이들의 결정은 지역 주민들이 무엇을 알고, 무엇을 기억하게 되는지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공공도서관의 책무에 따르면 정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거짓정보의 흐름에 대해 어떻게 해야하는가? 공공도서관의 책무는 민주사회에서 자유로운 정보의 흐름과 이용자의 알 권리를 위해서 매우 엄격하면서도 공평무사한 객관적 기준에 근거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들에 대한 이용자 접근을 어떤 상황에서도 최대한 보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서관은 자유로운 정보의 흐름을 차단하려는 어떤 힘에도 저항할 책임을 갖는 동시에, 표현의 자유라는 주장에 기댄 무차별적 거짓정보의 흐름을 제어하지 않음으로써 역설적으로 이들 생각의 확산을 방조하거나 심지어 기여하게 되는 결과 또한 적극 방지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Doh, Tae-Hyeon, and Jung, Young-Mi. 2013. "A Study on the Next Generation OPAC Functionalities Diffusion Status and Adoption by Academic Libraries."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2): 197-215. 

  2. Yoo, Yeong-Jun. 2011. "A Study on Faceted Navigation in Next-Generation Library Catalo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3): 13-30. 

  3. Yoo, Yeong-Jun. 2013. "Analyzing Faceted Navigations of OPAC in Korean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2): 189-205. 

  4. Yoon, Cheong-Ok. 2014. "An Analysis on the Functions of the Next Generation Library Catalog: With a Focus on SearchWor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4): 5-23. 

  5. Korea Library Association. 2009. Library Handbook. Soul: Korea Library Association. 

  6. Breeding, Marshall. 2004. "Integrated Library Softward: A Guide to Multiuser, Multifunction Systems." Library Technology Reports, 40(1): 1-88. 

  7. Calhoun, Karen, et al. 2009. Online Catalogs: What Users and Librarians Want: An OCLC Report. Dublin, Ohio: OCLC. 

  8. Deodato, Joseph. 2015. "Evaluating Web-Scale Discovery: A Step-by-Step Guide." Information Technology & Libraries, 34(2): 19-75. 

  9. Hofmann, M.A. and Yang, S.Q. 2011, "How Next-gen r u: a Review of Academic OPAC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Computers in Libraries, 31(6): 26-29. 

  10. Hofmann, M.A. and Yang, Sharon Q. 2012. "Discovering What's Changed: A Revisit of the OPACs of 260 Academic Libraries." Library Hi Tech, 30(2): 253-274. 

  11. Stainforth, Elizabeth. 2016. "From Museum to Memory Institution: The Politics of European Culture Online." Museum and Society, 14(2): 323-337. 

  12. Yang, S.Q. and Hofmann, M.A. 2011. "Next Generation or Current Generation? A Study of the OPACs of 260 Academic Libraries in the USA and Canada." Library Hi Tech, 29(2): 266-300. 

  13. Yang, S.Q. and Hofmann, M.A. 2010. "The Next Generation Library Catalog: A Comparative Study of the OPACs of Koha, Evergreen, and Voyager." Information Technology & Libraries, 29(3): 141-150. 

  14. Yang, S.Q. and Wagner, K. 2010. "Evaluating and Comparing Discovery Tools: How Close Are We Towards Next Generation Catalog?" Library Hi Tech, 28(4): 690-7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