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Space Syntax Theory를 반영한 덩굴망기반 확률적 보행네트워크 배정기법
A Vine-Based Stochastic Loading Technique in Pedestrian Networks Considering Space Syntax Theory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5 no.6, 2016년, pp.71 - 79  

김종형 (인천발전연구원 교통물류연구실) ,  이미영 (국토연구원 국토계획.지역연구본부) ,  남두희 (한성대학교 공과대학 정보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부 보행네트워크의 보행성 평가를 위해서 Space Syntax Theory(공간구문론)을 반영한 보행모형 구축이 요구된다. 공간구문론은 통합도를 도출하여 보행로의 중심성에 대한 정량적 평가지료를 제공한다. 보행모형은 이동성, 편리성, 안전성의 보행지표로서 보행성을 나타내는 정량적 판단근거를 제시한다. 그러나 보행네트워크에서 공간구문론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회전지체 반영을 위한 네트워크구축기법의 검토가 요구된다. 특히 기존의 연구에서 제안된 나무기반 Dial 알고리즘은 회전지체 반영을 위하여 네트워크확장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는 덩굴망기반 Dial 알고리즘과 공간구문론의 통합방안을 제시하였다. 덩굴망기반 Dial 알고리즘은 인접링크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회전지체를 포함하는 3단계 수행과정을 수행하므로 네트워크확장의 우회가 가능하다. 따라서 공간구문론의 축노드와 축노드가 만나는 시각교차점에서 회전지체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네트워크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시각거리와 물리거리를 일치시키는 측면에서 덩굴망기반 Dial 알고리즘이 활용이 필요하다. 도시부도로와 같이 보행이 복잡한 권역의 평가를 위해서 활용이 가능함을 향후 연구로 제시하였다. 특히 사례연구를 통해서 제안된 기법의 수행과정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valuation of the walkability of the urban pedestrian network requires construction of a pedestrian network model that reflects Space Syntax Theory. Space Syntax Theory deduces an integration value through which materials for evaluation of the pedestrian network's connectivity can be produced; and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im and Lee(2016)이 제안한 공간구문론과 나무기반 Dial 알고리즘은 신호횡단보도와 엘리베이터같이 보행대기시간을 네트워크확장을 통해서 구축하였다[11]. 본 연구는 덩굴망기반 알고리즘[6]을 네트워크 확장없이 효과적으로 공간구문론과 통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 본 연구는 덩굴망기반(Vine Based)을 Dial 알고리즘의 적용하여 공간구문론의 반영을 위한 보행네트워크의 단순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6]. 특히 신호횡단보도와 같이 방향지체가 발생하면 네트워크 확장이 요구되지 않도록 가시거리와 물리거리를 효과적으로 통합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부 보행네트워크의 보행성 평가를 위해 무엇이 요구되는가? 도시부 보행네트워크의 보행성 평가를 위해서 Space Syntax Theory(공간구문론)을 반영한 보행모형 구축이 요구된다. 공간구문론은 통합도를 도출하여 보행로의 중심성에 대한 정량적 평가지료를 제공한다.
공간구문론은 무엇을 제공하는가? 도시부 보행네트워크의 보행성 평가를 위해서 Space Syntax Theory(공간구문론)을 반영한 보행모형 구축이 요구된다. 공간구문론은 통합도를 도출하여 보행로의 중심성에 대한 정량적 평가지료를 제공한다. 보행모형은 이동성, 편리성, 안전성의 보행지표로서 보행성을 나타내는 정량적 판단근거를 제시한다.
덩굴망으로 표현되는 경로에 순환경로가 포함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네트워크이론에서 나무(Tree)는 동일지점으로 돌아오지 못한다. 반면 덩굴망(Vine)은 특정지점을 방문하는 것이 가능하다[1]. 따라서 덩굴망으로 표현되는 경로는 특정노드를 재방문하는 순환경로(Cyclic Path)가 포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Thomas K. (1991), "Traffic Assignment Technique," Avebury Technical Academic Publishers Group. 

  2. Kirby R. F. and Potts R. B. (1969), "The Minimum Route Problem for Networks with Turn Penalties and Prohibi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vol. 3, pp.397-408. 

  3. Lee M. (2015), "Transportation Network Models and Algorithms Considering Directional Delay and Prohibitions for Intersection Movement," Ph.D. Thesis, University of Wisconsin at Madison. 

  4. Choi K. (1995), "Network Representation Schemes for U-TURN and Implementation in the Vine-Based Dijkstra Shortest Path Algorith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13, no. 3, pp.35-52. 

  5. Dial R. B. (1971), "A Probabilistic Multipath Traffic Assignment Algorithm which Obviates Path Enumer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vol. 5, pp.83-111. 

  6. Shin S., Baek N. and Kim J. (2016), "Revisit to Dial Algorithm for Considering Turn Penalty," Submitted to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7. Kim Y. (200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onfiguration and Spatial Cognitio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16, no. 10, pp.37-44. 

  8. Hillier B. and Hanson A. (1984),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Lee M. (2014), "Walkability Evaluation Model for Local Walking Area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10. Lee M., Kim J. and Kim E. (2015), "A Pedestrian Network Assignment Model Considering Space Syntax,"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 14, np. 6, pp.37-49. 

  11. Kim J. and Lee M. (2016), "Integration of Space Syntax Theory and Logit Model for Walkability Evaluation in Urban Pedestrian Network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 15, pp.62-70. 

  12. Sheffi Y. (1985), "Urban Transportation Network," Prentice-Hal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