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WINSPAN과 CCA Ordination에 의한 서해안 곰솔림과 토양환경과의 상관 분석
An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Pinus thunbergii Forests and Soil Conditions by TWINSPAN and CCA Ordination in West Coast of South Korea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9 no.1, 2016년, pp.45 - 59  

김민하 (전북대학교 대학원 임학과) ,  박종민 (전북대학교 산림환경과학과) ,  장규관 (원광대학교 자연식물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egetation and soil conditions of four sites in west coastal forests in South Korea, were examin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inus thunbergii forests structure and soil conditions. The P. thunbergii forests were divided into four clusters; 1) P. thunbergii - Prunus sargentii var. sargenti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서해안에 위치한 해안림을 대상으로 식생특성과 토양환경을 조사하여 군락을 분류하고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해안림의 보호와 관리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안림의 특징은? 최근에는 해안림이 방풍․비사방지․공기 정화․자연적 완충 및 내륙과 해안을 연결하는 생태 축 등 다양한 기능을 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해안림은 해양성 기후라는 독특한 환경과 다른 식물 종들과의 경쟁을 통하여 도태되거나 살아남아 일정한 형태의 식물사회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내륙의 산림과는 달리 종의 구성이 독특하며, 환경 변화에 따라 생물상의 변화도 현저히 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Oh, 2002).
우리나라 서해안 지역 곰솔림의 구조의 문제점은? 이들의 연구 결과을 종합하여 보면, 현재 우리나라 서해안 지역 곰솔림의 구조는 교목층에 주로 곰솔이 분포하고, 아교목층이나 관목층에 아까시나무, 팽나무 및 참나무류 등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곰솔 위주의 단순림 구조는 병해충에 대한 내성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영속성에 문제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해안림이란? 해안림은 오래 전부터 바닷가를 중심으로 농경지나 생활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조성된 숲이다. 최근에는 해안림이 방풍․비사방지․공기 정화․자연적 완충 및 내륙과 해안을 연결하는 생태 축 등 다양한 기능을 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e JY.Kim JS.Lee KJ.Kim JY and Yeum JH. 2013. Changes of vegetation structure in Naejangsan district, Naejangsan National Park for twenty years (1991-2010), Korea. Korea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1): 99-1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i CH. 2004.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of the coastal dune area in Sinduri, Korea.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p. 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i HJ. 2009. Flora and stand structure of the coastal forest at the same latitude of east and west coast in Korea. M.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p. 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ung JC.Jang KK.Choi JH.Jang SK and Oh DH. 1997. An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 and forest community in Mt. Unjang by TWINSPAN and Ordination.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6(4): 459-4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urtis &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nsconsin. Ecology. 32: 476-496. 

  6. Greig-Smith, P. 1983. Quantitative plant ecology. 3rd ed. Blackwell, Oxford. 

  7. Hill, M. O. 1979a. DECORANA -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Ithaca, N. Y. Cornell Univ. Press. p. 100. 

  8. Hill, M. O. 1979b. TWINSPAN-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Ithaca, N. Y. Cornell Univ. Press. p. 50. 

  9. Hill, M. O. and Gauch, H. G. Jr. 1980.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 improved ordination technique. Vegetatio. 42: 47-58. 

  10. Jang JH.Han BH.Lee KJ.Choi JW and Noh TW. 2013. A study on the changes of vegetation structure of the plant community in Mt. Kwanak. Korea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3): 344-3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Jeong JH.Koo KS.Lee CH and Kim CS. 200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 Forest Soils by region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1(6): 694-7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CB. 2012. Effects of soil physical-chemical characteristics on plants on sand dune -A case study on central-western coastal area of Korea-. M.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p. 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CB.Park KH.Lee CW.Youn HJ and Kim KH. 2014. A comparison on the forest type of coastal disaster prevention forest between the coastal area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cience 103(4): 564-5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DG. 2010. Native tree species of tolerance to saline soil and salt spray drift at the coastal forests in the West-sea, Korea. Korea Journal Environment and Ecology 24(2): 209-2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HJ.Jung SH.Hwang CH.Kim H.Choi SM and Lee SH. 2012.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 for windbreak forests along the west coast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6(1): 71-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HP. 2011.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urvival and growth of Pinus thunbergii planted in a coastal snad zone. M.S. thesis, Yeungnam University, Daegu, Korea, p. 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HS.Lee SM.Chung HL and Song HK. 2009. A study of the vegetat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 Korea Journal Environment and Ecology 23(5): 471-484. 

  18. Lee JH.Do MS and Song HK. 2013. Vegetation structure of Hongdo island. Korea Journal Environment and Ecology 27(5): 45-54. (in Korean) 

  19. Lee SC.Kang HM.Kim JS.Yu CY and Choi SH. 2014. A study on the correlation plant commun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ongdosa (Temple) Area, Gajisan(Mt.) Provincial Park. Korea Journal Environment and Ecology 28(6): 715-724. 

  20. Lee SK.Kim KH.Kim YT.Park JY and Lee SH. 2005. Occurrence of Rhizina Root Rot in a black pine (Pinus thunbergii) forest located at the western coastal area in Korea and its spreading patterns. Research in Plant Disease 11(2): 208-212. 

  21.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22. Lee WT.Chon SK. 1984. Ecologiaal studies on the coastal plants in Korea - On the sand dune vegetation of the western coast. Korean Journal of Ecology 7(2): 74-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Nakashima Y. 2005. Situations and problems of coastal forest in Japan. Proc. of joint seminar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Forest and Japanese Society of Coastal Forest, pp. 7-10. 

  24. Oh HK. 2002. Vegetation structure and habitat management of windbreak forest: In case of four sites in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M.S. thesis, University of Yeungnam, Gyungsan, Korea, p. 169. 

  25. Park CM.Kim SW and Park SH. 2009. Study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Pinus thunbergii windbreak forests around Goosipo beach, Gochang-gun. Korea Journal Environment and Ecology 23(4): 365-3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1988. Analysis Methods of Soil Physical and Mineralogical Properties. 

  27. Shin HS. 2013. Community ecological research for the mid west coast vegetation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Ph.D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Korea, p. 1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Song HK.Jang KK and Kwon KW. 1994. An analysis on the forest community in Mt. Odae by Ywo-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 and by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Research Report Environment Science Technique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12: 47-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Song HK.Jang KK and Oh DH. 1998. An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of Quercus mongolica in Soraksan Nationa Park. Korrea Journal of Ecology 11(4): 462-4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Ter Braak, C. J. F. 1987. CANOCO-A FORTRAN program for canonical community ordination by [partical] [detrended] [can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and redundancy analysis(version 2.1) TNO Institute of Applied Computer Science, Statistics Department, Wageningen, The Netherlands. 

  31. www.nature.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