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재합의 문제로 인한 중재절차 지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lay of Process Owing to Problems in Arbitration Agreement 원문보기

중재연구 = Journal of arbitration studies, v.26 no.4, 2016년, pp.43 - 62  

신군재 (신라대학교 무역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ternational arbitration system has been a useful method of settling disputes arising from international transactions. Arbitration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the parties to choose a fair and neutral forum and to participate in the selection of the decision maker and the rules that will be ap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중재합의는 계약서 이면약관에 있다는 이유로 심도있게 검토하지 않고 거래를 하거나, 중재합의 자체가 계약의 각 조건처럼 협상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고 인식하는 등 이를 등한시하여 중재절차가 지연되거나 불능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재합의가 협상의 대상이 되며, 중재제도를 이용하는 데 중재합의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실무자들에게 인식시키기고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재합의에 포함될 수 있는 내용, 중재합의가 당사자 이해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협상의 대상이 된다는 점을 지적하고, 계약 실무자들에게 중재합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중재합의의 유효성이나 내용 상 문제로 절차가 지연되는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 중재절차지연은 중재합의이외에도 중재인선정, 선정된 중재인 기피, 준거법, 관할재판권 등 본안 심리 전 또는 심리 중에 다툼뿐만 아니라 중재판정취소의 소 등 많은 요인들로 인하여 발생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하자있는 중재합의가 절차지연의 큰 원인 중 하나로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기업인들에게 중재합의에 대한 올바른 개념정립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제고로 자신들의 상황에 맞는 중재조항을 삽입하도록 하는 협상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재합의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고, 기존에 문제가 발생하였던 중재합의사례들을 검토함으로써 차후 계약 실무자들이 중재합의를 위한 협상 시 검토할 사항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중재제도가 국내에서 정착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지금까지 논문은 중재합의 관할재판권, 준거법, 중재인 등 개별 주제들에 대한 쟁점들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본 논문은 중재제도가 많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국내에서는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가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재제도가 정착되지 못한 이유로 중재제도에 대한 매우 낮은 인식과, 공급자 중심의 중재서비스도 있지만, 중재합의의 대한 인식부족으로 하자있는 중재합의를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중재절차가 지연되어 중재이용자들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 중재는 이론적으로 단심제, 당사자자치원칙, 탄력적 절차진행이라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실무적으로는 당사자들의 중재제도와 중재합의에 대한 올바른 인식부족으로 절차지연, 절차불능, 소송제기 등으로 이어져 그나마 중재제도를 이용하고자 하는 당사자들에게 불만을 초래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중재제도가 정착되지 않은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 중재합의에 대한 잘못된 인식에 있다고 보았다. 즉, 중재합의는 계약서 이면약관에 있다는 이유로 심도있게 검토하지 않고 거래를 하거나, 중재합의 자체가 계약의 각 조건처럼 협상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고 인식하는 등 이를 등한시하여 중재절차가 지연되거나 불능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이다.
  • 본 논문은 중재제도가 많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국내에서는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가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재제도가 정착되지 못한 이유로 중재제도에 대한 매우 낮은 인식과, 공급자 중심의 중재서비스도 있지만, 중재합의의 대한 인식부족으로 하자있는 중재합의를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중재절차가 지연되어 중재이용자들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중재절차지연은 중재합의이외에도 중재인선정, 선정된 중재인 기피, 준거법, 관할재판권 등 본안 심리 전 또는 심리 중에 다툼뿐만 아니라 중재판정취소의 소 등 많은 요인들로 인하여 발생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하자있는 중재합의가 절차지연의 큰 원인 중 하나로 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재합의가 협상의 대상이 되며, 중재제도를 이용하는 데 중재합의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실무자들에게 인식시키기고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재합의에 포함될 수 있는 내용, 중재합의가 당사자 이해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협상의 대상이 된다는 점을 지적하고, 계약 실무자들에게 중재합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중재합의의 유효성이나 내용 상 문제로 절차가 지연되는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기업인들에게 중재합의에 대한 올바른 개념정립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제고로 자신들의 상황에 맞는 중재조항을 삽입하도록 하는 협상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재합의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고, 기존에 문제가 발생하였던 중재합의사례들을 검토함으로써 차후 계약 실무자들이 중재합의를 위한 협상 시 검토할 사항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중재제도가 국내에서 정착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예컨대 현대의 거래관계는 두 당사자 사이의 일회적 거래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다수 당사자가 복수의 계약을 통해 동시 또는 순차로 관여하는 것이 보통이다.42) 중재는 당사자의 합의에 의한 것이므로 중재하기로 약속하지 아니한 당사자는 중재에 응할 의무가 없다. 그러나 오늘날은 그 당사자가 아닌 제3자에게까지 중재합의의 효력을 확장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재합의 방식 중 실무적으로 중재조항 삽입방식이 많은 이유는? 실무적으로는 중재부탁방식보다는 중재조항 삽입방식이 많다. 이는 분쟁이 발생한 후에는 당사자들의 감정이 악화된 상태에서 분쟁해결방식을 합의하는 것이 어렵기도 하지만 기업들이 자신의 표준계약서의 이면약관(general terms and conditions)에 각 중재기관에서 권장하는 표준중재조항 등을 사전에 삽입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중재 수행의 대전제는 무엇인가? 하지만 중재는 사인인 중재인 또는 중재판정부의 판정에 따라 분쟁을 최종적으로 해결하는 제도이므로, 국가재판권을 적극적으로 배제하고 국가 사법작용의 일환으로 헌법상 인정되는 법관에 의해 재판받을 권리를 포기하는 행위를 일정한 범위 내에서 당사자자치의 일환으로 인정하는 법체계 하에서만 비로서 가능해지게 된다. 따라서 중재를 수행하기 위하여는 당사자간의 합의를 대전제로 한다.9) 즉, 중재에 의해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당사자 간의 중재에 의하여 분쟁을 해결하고자 하는 합의가 존재해야 하며, 이를 중재합의(arbitration agreement)라고 한다.
중재합의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9) 즉, 중재에 의해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당사자 간의 중재에 의하여 분쟁을 해결하고자 하는 합의가 존재해야 하며, 이를 중재합의(arbitration agreement)라고 한다.10) 중재합의는 계약체결 시 계약의 한 조항으로 사후에 분쟁이 발생하였을 경우 중재로 해결한다는 중재조항(arbitration clause)을 삽입하는 방식과 분쟁이 발생한 후 당사자들이 중재로 분쟁을 해결한다고 합의하는 중재부탁(submission to arbitration)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실무적으로는 중재부탁방식보다는 중재조항 삽입방식이 많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강수미, "중재합의의 성립 내지 효력에 관한 준거법", 중재연구 제16권 제2호, 한국중재학회, 2006. 

  2. 강수미, "본계약의 효력이 다투어지는 경우 그에 관한 중재합의의 효력 -분리가능성 이론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제17권 제2호,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연구소, 2007. 

  3. 강정혜, "국제거래상의 대체적 분쟁해결제도", 인권과 정의, Vol. 393, 2009.5. 

  4. 김경욱, "중재당사자의 파산이 중재절차에 미치는 영향", 민사소송.한국민사소송학회지 제10권 제2호, 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06. 

  5. 김상찬.김유정, "싱가포르 국제중재제도에 관한 연구", 중재연구 제24권 제2호, 한국중재학회, 2014. 

  6. 김지홍, "중재합의의 제3자에 대한 효력", 중재연구 제17권 제3호, 한국중재학회, 2007. 

  7. 노태악, "국제상사중재 관련 최근 판결에 관한 단상", 중재 제344호, 대한상사중재원, 2015. 

  8. 목영준, 상사중재법, 박영사, 2011. 

  9. 박철수.류건우, "온라인 紛爭解決에 관한 硏究", 국제학논총, 제8집, 계명대학교. 2003. 

  10. 법률신문, "국제거래 계약 때 '중재합의' 조심해야", 2012.2.14. 

  11. 손경한.심현주, "중재합의에 대한 새로운 고찰", 중재연구 제23권 제1호, 한국중재학회, 2013. 

  12. 시사저널, "국제 무역분쟁, 소송보다 중재가 더 효율적", 제1394호, 2016.7.10. 

  13. 양석완, "중재합의의 효력-주관적 범위", 비교사법 제21권 2호(통권65호), 한국비교사법학회, 2014. 

  14. 유병욱, "국제상사중재합의의 요건과 내용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제32권 제4호, 한국무역학회, 2007. 

  15. 이주원.김경배, "하자중재조항의 사례분석과 시사점", 국제상학 제21권 제1호, 한국국제상학회, 2006. 

  16. 조대연, "중재합의와 중재판정에 관한 고소", 중재연구 제14권 제1호, 한국중재학회, 2004, p.297 

  17. 최성수, "선택적 중재조항에 대한 소고", 법학논총 제38권제3호, 동아대학교, 2014. 

  18. Fletcher N., International Arbitration-Research based report on perceived delay in the arbitration process, International Arbitration, Berwin Leighton Paisner, 2010, 

  19. Friedland P. and Mistelis L., 2015 International Arbitration Survey : Improvements and Innovation in International Arbitration, School of International Arbitration, 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 (www.pwc.com/arbitrationstudy). 

  20. Lagerberg G. and Mistelis L., Corporate choices in International Arbitration Industry perspectives-2013 International Arbitration Survey, School of International Arbitration, 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 (www.pwc.com/arbitrationstudy). 

  21. Luis Alfonso Gomez Dominguez, "Causes and Consequences of Faulty Arbitration Clauses", Estud. Socio-Jurid., Bogota (Colombia), Vol.9 No.2, 2007.9. 

  22. Marrs D. S. and Mulligan P. S., "10 Major Arbitration Issues", Dispute Resolution Journal, Vol. 64 No.3, Aug./Oct. 2009. 

  23. Townsend M. J., "DRAFTING ARBITRATION CLAUSES: Avoiding the 7 Deadly Sins", Dispute Resolution Journal, AAA, Feb.-Apr. 2003. 

  24. Wilner M. G., Domke on Commercial Arbitration, Callaghan & Company, 19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