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재절차 중 '화해의 유도'와 '조정-중재'제도의 구분 필요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Need for Distinction Between "Award by Consent" and "Med-Arb" 원문보기

중재연구 = Journal of arbitration studies, v.30 no.4, 2020년, pp.51 - 70  

도혜정 (대한상사중재원 중재사업본부 국내중재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ediation-Arbitration hybrid is becoming more popular since it makes an amicable relationship and thorough statement possible. The Mediation-Arbitration hybrid has been used to take advantage of both dispute resolution methods. In a Med-Arb process, negotiating a resolution to disputes is attemp...

주제어

참고문헌 (25)

  1. 김갑유.임수현.김홍중.김준우 외, 중재실무강의. 서울: 박영사.2016. 

  2. 金容燮, "行政法上 紛爭解決手段으로서의 調停", 저스티스 통권 제81호, 2004. pp.5-39. 

  3. 남선모, "임대차 분쟁의 조정과 중재에 관한 연구", 중재연구, 25(4), 2015, pp.119-136. 

  4. 도혜정, "국제상사중재의 비사법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법학박사학위논문, 2018., 

  5. 도혜정, "중재제도가 '적절한' 분쟁해결방법이 되기 위한 관심 필요" 대한변협신문. 2020. 2. 24.자, 접속일 2020.10.29, http://news.koreanbar.or.kr/news/articleView.html?idxno21144 

  6. 대한상사중재원, 국내중재 심리절차 표준모델 안내서, 2019. 

  7. 목영준.최승재, 상사중재법. 서울: 박영사, 2018. 

  8. 서정일, "조정제도의 통합적 운용방안에 관한 연구". 중재연구, 23(2), 2013. pp. 37-54. 

  9. 서영상, "기업분쟁 조정으로 해결...우리 정부 "싱가포르 조정협약" 가입" 법률신문, 2019. 8. 9.자 접속일 2020.10.29., https://m.lawtimes.co.kr/Content/Article?serial154976 

  10. 석광현, "2016년 중재법에 따른 국내중재판정의 효력, 취소와 승인.집행에 관한 법리의 변화", 법학논총. 2017. pp.461-499. 

  11. 안대규, "조정에 법적 강제성 부여 "싱가포르 협약"...한국이 "키맨" 됐다" 한국경제. 2019. 4. 14. 자, 접속일 2020.10.29.,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19041434081 

  12. 오원석, 이경화. "중국의 "중재와 조정의 결합" 제도와 시사점". 무역학회지, 38(4), 2013. pp.93-115. 

  13. 이호원, 중재법연구. 서울: 박영사. 2020. 

  14. 이강빈, "국제상사조정 및 중재제도 개선에 관한 UNCITRAL 논의동향". 중재연구. 10, 2000. pp. 3-36. 

  15. 이주원, "한국조정제도의 발전방향". 중재연구, 12(1). 2002. pp. 89-122, 

  16. 이로리, "mediation과 Conciliation의 개념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중재연구 19(2), 2009. pp. 28-42면(2009) 

  17. 이은재, "중재사건에 조정 시도 기회 제공", 리걸타임즈. 2017.5.2.자, 접속일 2020.10.30. https://www.legaltimes.co.kr:5000/view.htm?kindmenu_code&keys4&UID33374 

  18. 장문철, "Party Autonomy in Korean and U.S Court". 중재연구, 17(2), 2007. pp. 125-139. 

  19. 정용균, "미국의 조정-중재(Med-Arb) 제도에 관한 연구". 중재연구, 24(1), 2014. pp.85-109. 

  20. Benjamin Charles van der Berg., "Court-annexed mediation: Should it be embraced by the legal profession?", DE REBUS APRIL. 2015. pp. 24-26. 

  21. Blankley, Kristen M., "KEEPING A SECRET FROM YOURSELF? CONFIDENTIALITY WHEN THE SAME NEUTRAL SERVES BOTH AS MEDIATOR AND AS ARBITRATOR IN THE SAME CASE". University of Nebraska College of Law, Faculty Publications. 122. 2011. pp. 317-366. 

  22. Fernando Vieira Luiz., "Designing a Court-Annexed Mediation Program for Civil Cases in Brazi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15 Pepp. Disp. Resol. L.J., 2015. pp. 1-84. 

  23. LISA A. KLOPPENBERG, "Implementation of Court-Annexed Environmental Mediation: The District of Oregon Pilot Project". OHIO STATE JOURNAL ON DISPUTE RESOLUTION [Vol. 17:3 2002] 2002. pp.559-596. 

  24. ROBERT W. RACK, JR., "Thoughts of a Chief Circuit Mediator on federal court-annexed mediation SOURCE", Ohio State Journal on Dispute Resolution 17 no3, 2002. 

  25. Shivam Goel, ""MED - ARB": A Novel ADR Approach", Electronic journal. 2016. 1-1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