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변화율 관점에서 농도 변화에 대한 인식과 표현의 변화 과정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High School Students' Recognitions and Expressions of Changes in Concentration as a Rate of Change 원문보기

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6 no.3, 2016년, pp.333 - 354  

이동근 (문정고등학교) ,  김숙희 (청담고등학교) ,  안상진 (문정고등학교) ,  신재홍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학생들의 '비와 비율 개념의 발달 과정'에서 변화율 개념이 어떻게 드러나는지에 대한 연구는 추후 변화율 관점에서 미분의 원리를 지도하는 연구에 중요한 기초연구가 될 수 있다. 특히 비율 개념 이해의 상태에 따라 이후 변화율 개념 발달에 장애물 혹은 중요한 개념적 발판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학생을 대상으로 확인한 연구가 드물다는 점에서, 비율 개념과 변화율 개념의 관계에 대한 교수실험은 이후 변화율 관점에서의 미분 학습 관련 연구에 의미 있는 연구 자료를 제공해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비율 개념이 변화율 관점에서 함수의 변화를 인식하는데 영향을 준다는 가설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자, 내포량에 해당하는 농도의 변화 과정에 대한 탐구과정을 통하여 학습자의 비율 개념에서 변화율 개념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세 명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가지고 있는 비율 개념을 확인하고 과제 수행과정에서 비율 개념의 변화를 관찰했다. 또한 비가 변하는 상황 속에서 비율로 함수의 변화를 설명하는 활동을 통하여, 참여 학생들이 변화율 관점에서 함수의 변화를 인식하고 표현하는 것을 관찰한 결과, 비율 개념의 변화가 변화율 관점에서 함수의 변화를 인식하는 것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wofold. One is to confirm a hypothesis that a student's rate concept influences her conceiving change of a function in the view of rate of change and the other is to build up foundations for understanding the transition process from her rate concept to the concept of...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수 실험의 목표는?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교수 실험은 질적 연구의 기본 전제와 특징을 그대로 지닌다. 연구대상을 복잡한 교육 현상 속에서 행동하는 존재로 보기 때문에 연구대상의 행동 방식에 대하여 단순히 그 안에 있는 요인들의 성질을 각각 분리하여 분석하는 것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복잡한 체계로 간주하고, 이 체계가 지속적으로 주변 상황에 반응, 적응해가는 체계를 연구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Lesh & Clarke, 2000). 또한 교수 실험을 통하여 교수ㆍ학습 상황에서 학생들의 사고에 대한 개념적 분석을 토대로 참여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 및 학습과정을 직접 경험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수학지식 발달에 관한 역동적 모델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Steffe & Thompson, 2000).
미분학습에서 어떤 지적이 제기되어왔는가? 미분학습에서 변화율의 의미를 드러내기보다는 대수적 절차에 의한 기계적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왔으며(이현주, 류중현, 조완영, 2015; 최영주, 홍진곤, 2014; 정연준, 이경화, 2009; 한재영, 연용호, 이상한, 임성모, 1996), 변화율을 통해서 미적분의 중요한 원리를 설명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접근으로 볼 수 있음에도, 변화율의 의미를 드러내어 미적분의 중요한 원리를 지도하는 연구는 거의 진행되고 있지 않다(정연준, 이경화, 2009).
현 교육과정에서는 순간변화율을 어떻게 도입하고 있는가? 현 교육과정에서는 할선의 기울기의 극한값이 접선의 기울기가 된다는 것을 이용하여, 순간변화율을 평균변화율의 극한으로 도입하고 있는데, 임재훈, 박교식(2004)은 접선에 대한 논의 과정에서 기하학적 접선 개념과 함수적 접선 개념으로 구분하여 순간 변화율을 접선의 기울기로 동일시하는 것에서 자칫 수정하기 힘든 1차 직관을 형성할 수 있음을 지적했다. 한편 강향임(2012)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물체의 움직임에 대한 순간 속도를 부정하고 평균 속도만을 인정했다고 언급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강향임 (2012).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서 접선 개념의 재구성을 통한 미분계수의 재발명과 수학적 개념 변화, 학교수학, 14(4), 409-429. 

  2. 강향임, 최은아(2015). 비와 비율에 관한 학생의 오류와 어려움 해결을 위해 필요한 교사지식. 학교수학, 17(4), 613-632. 

  3. 김경희, 백희수(2010). 비와 비율 영역에 대한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학교수학, 12(4), 473-491. 

  4. 김성희, 방정숙(2005). 수학교수.학습 과정에서 과제의 인지적 수준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5(3), 251-272. 

  5. 임재훈, 박교식 (2004). 학교 수학에서 접선 개념 교수 방안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4(2), 171-185. 

  6. 박희옥, 박만구(2012). 비와 비율 학습에서나타나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식론적 장애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15(2), 159-170. 

  7. 박희자, 정은실(2010). 우리나라 교과서와 미국 MIC 교과서의 비와 비율관련 단원 비교.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769-788. 

  8. 이동근, 문민정, 신재홍(2015). 이차함수에서 두변량사이의 관계 인식 및 표현의 발달 과정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54(4), 299-315. 

  9. 이현주, 류중현, 조완영(2015). 통합적 이해의 관점에서 본 고등학교 학생들의 미분계수 개념 이해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29(1), 131-155. 

  10. 임태훈, 노석호, 백종민, 이복영, 강대훈, 장효순, 김주성, 이용철, 황인신, 고현덕, 신미영 (2015). 중학교 과학 2, 서울: 비상교육(주) 

  11. 장혜원(2002). 초등학교 수학에서의 비의 값과 비율 개념의 구별에 대한 논의. 학교수학, 4(4), 633-642. 

  12. 정연준, 이경화 (2009). 미적분의 기본정리에 대한 고찰 - 속도 그래프 아래의 넓이와 거리의 관계를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9(1), 123-142. 

  13. 정은실(2003a). 비 개념에 대한 교육적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3(3), 247-265. 

  14. 정은실(2003b). 비 개념에 대한 역사적, 수학적, 심리적 분석. 학교수학, 5(4), 421-440. 

  15. 정은실(2010).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의 양의 계산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0(4), 445-458. 

  16. 정은실(2013). 초등학교 수학 교과에서의 비례 추론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3(4), 505-516. 

  17. 최영주, 홍진곤(2014). 도함수의 성질에 관련한 학생들의 사고에 대하여. 수학교육, 53(1), 25-40. 

  18. 한재영, 연용호, 이상한, 임성모(1996). 교과과정상의 미분의 개념에 대한 대수적 고찰. 수학교육, 35(1), 101-107. 

  19. 홍갑주(2013). 초등학교 2007 개정 교과서 비와 비율 관련 용어에 대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23(2), 285-295. 

  20. Byerley, C., Hatfield, N., & Thompson, P. W. (2012). Calculus student understandings of division and rate. In S. Brown, S. Larsen, K. Marrongelle, & M. Oehrtman (Eds.), Proceedings of the 15th Annual Conference on Research in Undergraduate Mathematics Education (pp. 358-363). Portland, Oregon: SIGMAA/RUME. 

  21. Confrey, J. & Smith, E. (1994). Exponential functions, rates of change, and the multiplicative unit.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6(2), 135-164. 

  22. Ellis, A. B. (2011). Algebra in the middle school: Developing functional relationship through quantitative reasoning. In J. Cai, & E. Knuth (Eds.), Early algebraization (pp. 215-238).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23. Freudenthal, H. (1983). Didactical phenomenology of mathematical structures. Dordrecht: D. Reidel Publishing Company. 

  24. Lesh, R., & Clarke, D. (2000). Formulating operational definitions of desired outcomes of instruction in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In A. E. Kelly & R. A. Lesh (Eds.), Handbook of research design in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pp. 113-150).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5. Lobato, J., & Ellis, A. B. (2010). Essential understandings: Ratios, proportions, and proportional reasoning. In R. M. Zbiek (Series Ed.), Essential understanding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NCTM). 

  26. Steffe, L. P. & Thompson, P. W. (2000). Teaching experiment methodology: Underlying principles and essential elements. In A. E. Kelly & R. A. Lesh (Eds.), Handbook of research design in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pp. 267-306).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7. Thompson, P. W. (1994).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speed and its relationship to concepts of rate. In G. Harel & J. Confrey (Eds.), The development of multiplicative reasoning in the learning of mathematics (pp. 179-234). Albany, NY: SUNY Press. 

  28. Thompson, P. W. (2008). Conceptual analysis of mathematical ideas: Some spadework at the founda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In O. Figueras, J. L. Cortina, S. Alatorre, T. Rojano, & A. Sepulveda (Eds.), Proceedings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pp. 45-64) Morelia, Mexico. PME. 

  29. Zandieh, M. (2000).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yzing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derivative. CBMS Issues in Mathematics Education, 8, 103-1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