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섬망 간호수행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for General Hospital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2 no.2, 2016년, pp.183 - 193  

김지연 (대구보훈병원) ,  이은주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among general hospital clinical nurses.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and conducted from July 20 to July 30 2015, with a sample consisting of 167 registered nurses in three general hospital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섬망 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섬망 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봄으로써 성공적인 섬망 간호수행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주요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섬망 간호수행에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섬망 간호수행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섬망 간호수행 영향요인은 섬망 간호 자신감, 간호근무환경, 섬망 간호 교육경험, 임상경력이었으며, 섬망 간호 자신감이 가장 큰 설명력을 나타내었으며 총 설명력은 32%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섬망 관련 지식, 섬망 간호 자신감, 섬망 간호 스트레스 및 간호근무환경이 섬망 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앞서 정규성 검정을 위해 Kolmogorov-Smirnov test를 시행한 결과, 정규성 검정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의 목적은 섬망 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섬망 간호수행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틀로 하여 간호사의 특성인 일반적 특성과 직무적 특성, 섬망 관련 특성 및 간호근무환경 특성이 섬망 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망 발생 환자의 특징은 무엇인가? 섬망은 급성 혼돈 상태(acute confusional state), 급성 뇌증후군(acute brain syndrome), 급성 기질성 반응(acute organic reaction)[1], 중환자실 정신증(intensive care unit psychosis)[2]이라고도 불리며, 급성으로 발병하는 의식, 인지기능 및 지각의 장애로 변동적인 기복이 특징인 임상상태를 말한다[1,3,4]. 섬망은 병원 입원 환자의 10~30%에서 발생하며[1], 섬망 발생 환자는 재원일수가 길고 치매 발생률이 높으며 낙상 및 욕창과 같은 병원성 합병증에 걸릴 가능성이 증가하고, 이는 경제비용의 발생, 장기요양시설 입소 및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3].
섬망은 무엇인가? 섬망은 급성 혼돈 상태(acute confusional state), 급성 뇌증후군(acute brain syndrome), 급성 기질성 반응(acute organic reaction)[1], 중환자실 정신증(intensive care unit psychosis)[2]이라고도 불리며, 급성으로 발병하는 의식, 인지기능 및 지각의 장애로 변동적인 기복이 특징인 임상상태를 말한다[1,3,4]. 섬망은 병원 입원 환자의 10~30%에서 발생하며[1], 섬망 발생 환자는 재원일수가 길고 치매 발생률이 높으며 낙상 및 욕창과 같은 병원성 합병증에 걸릴 가능성이 증가하고, 이는 경제비용의 발생, 장기요양시설 입소 및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3].
섬망 발생 환자들에 대한 간호사들의 역할은 무엇인가? 이러한 섬망 관리에 있어 간호사는 다른 의료진들에 비해 환자 접촉시간이 많아 환자의 의식수준 및 인지기능 변화를 가장 빨리 인지할 수 있는 최초의 목격자이다[5]. 또한 섬망 발생 후 환자의 증상을 지속적으로 감시 감독하고 신체적 정신적 지지, 치료적 의사소통, 안전한 환경 유지, 환자 회복, 건강 증진 및 합병증 예방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4,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rown TM, Boyle MF. Delirium. British Medical Journal. 2002;325(7365):644-647. http://dx.doi.org/10.1136/bmj.325.7365.644 

  2. Ely EW, Shintani A, Truman B, Speroff T, Gordon SM, Harrell Jr FE, et al. Delirium as a predictor of mortality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The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4;291(14):1753-1762. http://dx.doi.org/10.1001/jama.291.14.1753 

  3. National Clinical Guideline Centre. Delirium: Preven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Internet]. Manchester: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2010[cited 2015 March 9]. Available from: https://www.nice.org.uk/guidance/CG103. 

  4. Inouye SK. Delirium in older person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06;354(11):1157-1165. http://dx.doi.org/10.1056/NEJMra052321 

  5. Park YS, Kim KS, Song KJ, Kang J. A preliminary survey of nurses' understanding of delirium and their need for delirium education: In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6;36(7):1183-1192. 

  6. Rapp CG, Mentes JC, Titler MG. Acute confusion/delirium protocol.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001;24(4):21-33. http://dx.doi.org/10.3928/0098-9134-20010401-07 

  7. Waddell DL. The effects of continuing education on nursing practice: A meta-analysis. Th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Nursing. 1991;22(3):113-118. 

  8. Shin YW, Lee H, Lim Y. Predictors of clinical competence in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1):37-47. http://dx.doi.org/10.11111/jkana.2010.16.1.37 

  9. Kim JA. Work 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3;9(4):515-527. 

  10. Suh HJ, Yoo YS. Intensive care unit nurse's knowledge, nursing performance, and stress about delirium.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6;19(1):55-65. 

  11. Kim MY, Eun Y. Knowledge, performance and stress about care for delirium in orthopedic hospital nurse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3;20(1):72-80. http://dx.doi.org/10.5953/JMJH.2013.20.1.72 

  12. Yang YK. Intensive care unit nurse's knowledge and nursing performance on intensive care unit syndr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2):240-249. http://dx.doi.org/10.11111/jkana.2010.16.3.240 

  13. Ludwick R, O'Toole AW. The confused patient: Nurses' knowledge and intervention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1996;22(1):44-49. http://dx.doi.org/10.3928/0098-9134-19960101-08 

  14. Flagg B, Cox L, McDowell S, Mwose JM, Buelow JM. Nursing identification of delirium. Clinical Nurse Specialist. 2010;24(5):260-266. http://dx.doi.org/10.1097/NUR.0b013e3181ee5f95 

  15. Kim YH. ICU psychosis experience of nurse in intensive care unit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6. p. 1-60. 

  16. Rapp CG, Wakefield B, Kundrat M, Mentes J, Tripp-Reimer T, Culp K, et al. Acute confusion assessment instruments: Clinical versus research usability. Applied Nursing Research. 2000;13(1):37-45. http://dx.doi.org/10.1016/S0897-1897(00)80017-8 

  17. Steis MR, Fick DM. Are nurses recognizing delirium?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008;34(9):40-48. 

  18. Akechi T, Ishiguro C, Okuyama T, Endo C, Sagawa R, Uchida M, et al. Delirium training program for nurses. Psychosomatics. 2010;51(2):106-111. http://dx.doi.org/10.1016/S0033-3182(10)70670-8 

  19. Kim M, Lee H. The effects of delirium care training program for nurses in hospital nursing uni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4;26(5):489-499. http://dx.doi.org/10.7475/kjan.2014.26.5.489 

  20. Lake ET.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002;25(3):176-188. http://dx.doi.org/10.1002/nur.10032 

  21. Lee YW, Kim CG, Kong ES, Kim KB, Kim NC, Kim HK, et al. A study of nurses' knowledge level and assessment experience of delirium.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7;19(1):35-44. 

  22. Park J, Park JW. Effects of a delirium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on knowledge of delirium, importance of nursing intervention and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013;20(2):152-159. 

  23. Park YS, Gu MO.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 for cancer patients with delirium. Evidence and Nursing. 2013;1(1):4-15. 

  24. Park SH, Kang J.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Korean nursing work environment scale.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2015;8(1):50-61. 

  25. Kang JS. Factors affecting the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patients [master's thesis]. Jeju: Jeju National University; 2015. p. 1-55. 

  26. Moon MY, Jeon MK, Jaung AH. Relationship between nurses'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 Bioethics Association. 2013;14(1):27-47. 

  27. Wu MC, Hsu MF, Wen RY. An exploration of the professional confidence, practice competency and related factors of new nurses in surgical wards. Hu Li Za Zhi The Journal of Nursing. 2008;55(5):25-34. 

  28. Seo JA. The effect of nursing work environment on nursing performance in the hemodialysis unit: Focusing on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empowerment [master's thesis]. Daegu: Keimyung University; 2015. p. 1-60. 

  29. Van Bogaert P, Kowalski C, Weeks SM, Van Heusden D, Clarke SP.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 practice environment, nurse work characteristics, burnout and job outcome and quality of nursing care: A cross-sectional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3;50(12):1667-1677.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13.05.0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