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구개발단계별 연구개발투자와 논문 성과 간의 시차효과 분석: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Distributed Lag Effects of Expenditure by Type of R&D on Scientific Production: Focusing on the National Research Development Program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19 no.4, 2016년, pp.687 - 710  

박철민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과학기술경영정책학과) ,  구본철 (기초과학연구원, UST 과학기술경영정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을 대상으로 각 연구단계별 연구개발 지출과 논문 성과 간의 시차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6T(IT, BT, NT, ST, ET, CT) 기술로 범주화 된 104개 기술의 횡단면 자료와 2007년부터 2014년까지의 시계열로 구성된 패널자료를 분석 자료로서 활용하였으며, 일반적인 시차분포모형을 통해 회귀분석을 실시할 경우 다중공선성이 내포된 분석결과가 도출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다항시차분포모형을 통해 시차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초연구의 경우 4년 간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응용연구와 개발연구의 경우 각각 3년, 2년간 투자효과가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건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논문 성과를 진단함에 있어 각 연구개발단계별 시차적 특성을 감안한 분석 및 평가가 신중하게 고려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stimate distributed lag effects of expenditure by type of R&D on scientific publication in the national R&D program. To analyze the lag structure between them, we used a dataset comprised of panel data from 104 technologies categorized by 6T (IT, BT, NT, ST, ET, CT)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연구개발 활동에 대한 성과평가는 연구기간과 무관하게 연구 수행기간 한 해 동안 발생한 성과물에 의존하고 있으며, 특히 연구개발 투입과 논문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룬 연구들도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시차효과를 추정함으로써 연구개발 성과의 분석・평가시 시차효과를 반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하는 바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연구개발을 연구 개발단계별로2) 구분한 후 각각의 투자지출이 해당 논문 성과에 어떠한 시차효과를 띠는지 다항시차분포모형(polynomial distributed lag model)을 통해 실증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상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R&D 시차효과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 및 투자효율성을 분석・ 평가함에 있어 진일보한 모형 수립에 한층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이처럼 시계열 자료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통계적 유의성을 찾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당 시계열자료에 횡단면을 추가한 패널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이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패널자료는 시계열자료에 비해 방대한 자료를 확보함으로써 자유도를 높이고, 설명변수 간 다중공선성 문제를 줄여주기 때문이다(Hsiao, 1986).
  • 본 연구에서는 다항시차분포모형을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비 투입과 논문 성과 발생 간의 시차효과를 분석하고, 연구개발단계별 시차구조의 차이유무를 도출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를 다항시차분포모형에 의거하여 모형화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식 (6-1), (6-2), (6-3)은 연구개발단계중 기초연구의 다항시차분포모형, 응용연구의 다항시차분포모형, 개발연구의 다항시차분포모형을 각각 나타낸다.
  • 의 값이 최대가 되거나, 정보기준이 최소가 될 수 있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추정치들이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활용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두 번째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식 (7-1)부터 (7-4)까지의 모델을 축차적으로 회귀 분석하여 모형 내 변수의 회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되는 t기의 시차변수를 최대 시차길이로 간주하고자 하였다.
  • 아울러 단위근을 검정함에 있어 상수항(intercept) 및 추세항(trend)을 추정식에 포함시키거나 포함시키지 않고 실시할 수 있는데, 본 연구는 상수항만 고려한 추정식과 상수항 및 추세를 모두 고려한 추정식을 통해 단위근 여부를 판단하고자 한다.
  • 이에 과거 연구자들은 시차 변수의 회귀 계수에 다양한 형태의 가정을 부과함으로써 이러한 한계점들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그 중 대표적으로 Almon(1965)의 경우 시차변수를 다항식으로 표현함으로써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줄일 수 있다고 보았다.
  • 선행연구들에 대한 검토결과, 분석대상이 대체로 특정 산업들의 시차구조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연구개발단계별로 구분하여 그들 각각에 대한 논문 성과의 시차효과를 추정함으로써 연구개발단계에 따라 시차의 차이는 있는지, 그리고 그 분포형태는 각각 어떠한지 상호 비교・분석한다는 점에 차별성을 두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그리고 응용연구는 식 (7-3)에서 최초로 RD(t - 2)의 회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마찬가지로 개발 연구도 식 (7-3)에서 최초로 RD(t - 1)와 RD(t - 2)의 회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기초연구는 4년, 응용연구와 개발 연구는 3년을 최대시차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D 투자에 대한 성과 및 효율성을 분석 할 때 주의해야할 점은? 그러나 R&D 투자에 대한 성과 및 그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 한 가지 주의해야할 점은 반드시 그 회임기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이다(양희승, 2010). 경제학적인 분석에 있어서 한 변수 Y가 또 다른 변수 X에 의존하고 있는 관계는 동시적(contemporaneous)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적 간격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국가연구개발사업이 무엇인가? 국가연구개발사업이란 “정부가 국가차원에서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분야의 과학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정한 지향성과 목표를 설정하고, 연구개발 자원을 전략적으로 집결하여 추진 하는 사업”을 말한다(이상엽 외, 2006). 이는 다시 광의의 개념과 협의의 개념으로 나눌 수 있는데, 광의의 개념은 민간기업의 연구개발이 포함된 국가차원의 과학기술 계획 또는 과학기술전략 수립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협의의 개념은 정부예산이나 정부가 조성한 기금으로 국가가 직접 연구개발 활동을 수행하거나 이러한 활동들을 지원하는 일련의 과정 및 제도로 볼 수 있다(유화선, 2016).
연구개발 활동, R&D 투자 및 그 성과 간의 관계에서 시차의 발생이 발생하는 이유는? 시차의 발생은 연구개발 활동 즉, R&D 투자 및 그 성과 간의 관계에서도 예외 없이 나타나는 현상이다.1) 연구성과물인 특허의 출원 및 등록은 물론이고 논문 게재를 위해서도 반드시 일련의 기간이 수반되기 때문이다. 특히 학술논문의 경우 학술지의 수준 및 그 분야에 따라서도 그 지연시간에는 어느 정도 차이가 존재하고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정병호 외,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KISTEP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 KISTEP (2016가),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 보고서, 과천: 미래창조과학부. 

  3. KISTEP (2016나),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천: 미래창조과학부. 

  4. 김근령.김기홍 (2016), "제약기업 R&D투자의 시차효과에 관한 연구",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22(1): 21-38. 

  5. 김옥경 (1995), "알몬(Almon)모형 추정에 관한 연구: 다항식의 차수와 시차길이 결정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박수동.성웅현 (2010), "주성분 회귀모형을 이용한 과학기술 지식생산함수 추정", 기술혁신학회지, 13(2): 231-251. 

  7. 박수동.홍순기 (2003), "비모수적 방법을 이용한 OECD 국가별 R&D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기술혁신연구, 11(2): 151-173. 

  8. 박철민.한정민.구본철 (2016), "R&D기여율 차등적용에 관한 탐색연구: ICT R&D사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9(1): 29-47. 

  9. 박철민.구본철.남상성 (2015), "R&D 디플레이터 산출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공학회지, 20(3): 121-137. 

  10. 안승구.김주일 (2016), 2016년도 정부연구개발예산 현황분석,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1. 양희승 (2010), "R&D 예비타당성조사에서의 편익 추정의 정형화 가능성에 관한 고찰", 정책평가학회보, 20(2): 77-101. 

  12. 유화선 (201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예산편성과 성과평가 간의 관계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이경석.박명철.이덕희 (2006), "시차분석을 통한 정보통신산업 연구개발투자가 총요소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통신학회논문지, 31(2B): 154-163. 

  14. 이길우.천세봉.고윤미 (2009), "연구관리 전문기관의 실태분석을 통한 유형화에 관한 탐색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2(1): 1-35. 

  15. 이상엽.박석종.엄익천.김성진.김인자 (2006), 국가연구개발사업백서,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6. 이수지.김태윤 (2015), "국가R&D 사업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부품.소재산업경쟁력 향상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8(4): 590-620. 

  17. 이재하.권철신 (1999), "산업 R&D 성과의 시간지연에 관한 분석", 기술혁신연구, 7(1): 176-186. 

  18. 이헌준.백철우.이정동 (2014), "기업 R&D투자의 시차효과분석", 기술혁신연구, 22(1): 1-22. 

  19. 정병호.천강민.양재경 (201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학술적 성과의 시차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35(1): 87-92. 

  20. 최종서 (2009),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적 시차효과에 대한 시계열분석, 회계학연구, 34(1): 67-105. 

  21. 홍순기.홍사균.안두현 (1991), 연구개발투자의 산업부문간 흐름과 직.간접 생산성 증대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소. 

  22. 홍재표.최나린.김방룡 (2012), "IT산업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적 효과 분석", 한국통신학회논문지, 37(9): 837-848. 

  23. 황석원.김병우.유승훈.박규호.류태규.추기능.이민규 (2008), 기초연구 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4. Almon, S. (1965), "The Distributed Lag between Capital Appropriation and Expenditures", Econometrica, 33(1): 178-196. 

  25. Branch, B. (1974), "R&D Activity and Profitability: A Distributed Lag Analysi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2(51): 999-1011. 

  26. Crespi, G. A. and Geuna, A. (2008), "An Empirical Study of Scientific Production: A Cross Country Analysis, 1981-2002", Research Policy, 37(4): 565-579. 

  27. Donald, W. K. A. and Ray, C. F. (1992), "Estimation of Polynomial Distributed Lags and Leads with End Point Constraints", Journal of Econometrics, 53: 123-139. 

  28. Geweke, J. (1978), "Temporal Aggregation in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Econometrica, 46(3): 643-661. 

  29. Granger, C. W. J. and P. Newbold (1974), "Spurious Regressions in Econometrics", Journal of Econometrics, 2(2): 111-120. 

  30. Griliches, Z. and Schmookler, J. (1963), "Investing and Maximizing",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53(4): 725-729. 

  31. Gujarati, D. N. (2009), Basic Econometrics, Boston: McGraw-Hill. 

  32. Hall, B. H., Griliches, Z. and Hausaman, J. A. (1986), "Patent and R&D: Is There a Lag?", International Economic Review, 27(2): 265-283. 

  33. Hill, R. C., Griffiths, W. E. and Judge, G. G. (2010), Principal of Econometrics, Willey. 

  34. Hsiao, C. (1986), Analysis of Panel Dat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Im, K. S., Pesaran, M. H. and Shin, Y. (2003), "Testing for Unit Roots in Heterogeneous Panels", Journal of Econometrics, 115(1): 53-74. 

  36. Koyck, L. M. (1954), Distributed Lags and Investment Analysis, Amsterdam: North-Holland Publishing Company. 

  37. Levin, A., Lin, C. F. and Chu, C. (2002), "Unit Root Tests in Panel Data: Asymptotic and Finite-Sample Properties", Journal of Econometrics, 108(1): 1-24. 

  38. Maddala, G. S. and Wu, S. (1999), "A Comparative Study of Unit Root Tests with Panel Data and a New Simple Test", Oxford Bulletin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1: 631-652. 

  39. OECD (2002), "The Measurement of Scientific and Technical Activity", Frascati Manual. 

  40. Pakes, A. and Schankerman, M. (1984), "The Rate of Obsolescence of Patents, Research Gestation Lags, and the Private Rate of Return to Research Resources", In Z. Griliches (ed), R&D, Patents and Productivi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209-232. 

  41. Scherer, F. M. (1965), "Firm Size, Market Structure, Opportunity, a nd t h e Output of Patented Inventions",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55(5): 1097-1125. 

  42. Sims, C. A. (1974), "Distributed Lags", in M.D. Intriligator and D.A. Dendrick(eds.), Frontiers of Quantitative Economics, Vol. II, Amsterdam: North-Holland Publishing Co. 

  43. Wang, N. and John, H. (2014), "The Lag Structure Relationship between Patenting and Internal R&D Revisted", Research Policy, 43, 1275-12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