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지역 일부 초·중학교 영양(교)사의 식품알레르기 관리 현황 및 중요도 인식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Management of Food Allergy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in Busan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2 no.1, 2016년, pp.114 - 122  

홍혜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류은순 (부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management of students affected by food allergy and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school foodservice. A survey was conducted on 300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For food allergy management, 79.3% of participants regularly ch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영양(교)사의 식품알레르기 유병 학생 관리 현황과 관리수행 사항에 대한 중요성 인식을 파악하여 학교급식에서의 식품알레르기 관리의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앞으로 정부에서 식품알레르기 유병 학생에 대한 관리 방안을 세우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알레르기란? 식품알레르기는 특정 식품항원에 대한 과민한 면역 반응을 보이는 증상이 자주 발생하거나 만성화되는 질환이며 식품이나 식품첨가물을 섭취한 후 발생되는 식품이상 반응이다(Shon SM 등 2006). 알레르기 반응은 장 점막이나 면역체계가 완벽하게 갖춰지지 않은 어린이에게 잘나타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2005년 서울지역 초등학생의 식품알레르기 유병률이 11.
알레르기 반응은 누구에게 잘 나타나는가? 식품알레르기는 특정 식품항원에 대한 과민한 면역 반응을 보이는 증상이 자주 발생하거나 만성화되는 질환이며 식품이나 식품첨가물을 섭취한 후 발생되는 식품이상 반응이다(Shon SM 등 2006). 알레르기 반응은 장 점막이나 면역체계가 완벽하게 갖춰지지 않은 어린이에게 잘나타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2005년 서울지역 초등학생의 식품알레르기 유병률이 11.7%라 보고되었고(Son KY 등 2007), 서울 일부지역 초등학교 1학년 1,020명 중 식품알레르기로 특정 식품을 제한하고 있는 학생은 12.
영양(교)사들의 식품알레르기 유병 학생 관리에서 중요도 점수가 가장 낮은 대체식 및 제거식 제공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영양교육 및 상담 수행 비율을 높이기 위해 어떤 것이 필요한가? 이상을 살펴 볼 때, 영양(교)사들의 식품알레르기 유병 학생 관리에서 중요도 점수가 가장 낮은 대체식 및 제거식 제공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영양교육 및 상담 수행 비율을 높여야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인력 및 시설 환경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고 지속적인 직무연수를 통한 영양(교)사의 인식 전환도 필요하겠다. 또한 직무 연수 시 영양(교)사가 실천 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를 제공하고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학교급식에서 식품알레르기 유병 학생을 잘 관리 할 수 있는 제도적인 보완이 필요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ranum AM, Lukacs S. 2008. Food allergy among US children: Trends in prevalence and hospitalizations. In: NCHS Data Brief NCHS Data Brief No. 10.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Hyattsville, MD, USA. pp 1-7 

  2. Gupta RS, Springston EE, Warrier MR, Smith B, Kumar R. Pongracic J, Holl JL. 2011. The prevalence, severity, and distribution of childhood food allergy in the United States. Pediatrics 128(1):e9-17 

  3. Imai T, Odajima Y. 2004. Problems of food allergy in school lunch in Japan. Jap J Pediatric Allergy Clin Immunol 18(3):251-255 

  4. Jung KJ, 2014. Survey on food allergy-related dietary behaviors and educational status of students at atopy and asthma friendly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Chungcheongnamdo.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Gyeongbuk, Korea. pp 36-42 

  5. Kim DS, Ban JS, Park EA, Lee JY, Lee JO, Chang EY, Kim JH, Han YS, Ahn KM, Lim IS. 2011. Survey of food allerg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ongjak-gu using questionnaire.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31(4):254-259 

  6. Kim EG. 2010. Comparison of the perception for food allergy between nutrition teachers and childre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pp 18-49 

  7. Kim HH. 2015. Perception on the food allergen labeling among high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ju area.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pp 13-46 

  8. Kim TH. 2014. Study on awareness of food allergen labeling. Master's thesis. Gyeonggi University, Suwon, Korea. pp 20-49 

  9. Kim YG. 2013.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in Gyeongbuk area on allergenic food labeling system and children's food allergy status.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Gyeongbuk, Korea. pp 10-39 

  10. Kim YM. 2013. Perception and practices regarding food allergy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nutritionists in the Jeonnam area. Master's thesis. Jeonnam University, Jeonnam, Korea. pp 23-68 

  11. Lee AH, Kim KE, Lee KE, Kim SH, Wang TW, Kim KW, Kwak TK. 2013. Prevalence of food allergy and perceptions on food allergen labeling in school foodservice among Korean students. Allergy Asthma Respir Dis 1(3):227-234 

  12. Lee HJ. 2012. The perception for food allergy management nutritionists and nutrition teathers region of Gyeongbuk. Master's thesis. Yeongnam University, Gyeongbuk, Korea. pp 15-31 

  13. Lee JA. 2014. Perception on the allergy to food and allergen labeling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pp 17-44 

  14. Ministry of Education. 2012. The manual of school lunch food allergen labeling. Available from: http://www.moe.go.kr/newsearch/search.jsp. Accessed March 3, 2015 

  15. Muraro A. Clark A, Beyer K, Borrego LM, Borres M, Lodrup Carlsen KC, Carrer P, Mazon A, Rance F, Valovirta E, Wickman M, Zanchetti M. 2010. The management of the allergic child at school: EAACI/GA2LEN task force on the allergic child at school. Allergy 65(6):681-689 

  16. Park EJ. 2012. Study on level of perception and execution about food allergy in Seoul district school meal services.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pp 19-43 

  17. Park JY, Park GY, Han YS, Shin MY. 2013. Survey of food allerg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Bucheon-city and relationship between food allergy and other allergic diseases. Allergy Asthma Respir Dis 1(3):266-273 

  18. Seoul Metropolitan. 2011. Food allergy training and foodservice management manual. Food safety improvement bureau. Available from: http://fsi.seoul.go.kr/front/bbs/bbsView.do?bbsCode1021&bbsSeq1350. Accessed March 3, 2015 

  19. Seo WH, Jang EY, Han YS, Ahn KM, Jung JT. 2011. Management of food allergies in young children at a child care center and hospital in Korean. Pediatr Allergy Respir Dis 21(1):32-38 

  20. Shon SM, Im HS, Lee JH, Seo JS, Kim JH. 2006. Clinical Nutrition. Gyomoon Publishers, Paju, Korea. pp 448-454 

  21. Son KY, Park KS, Hwang HH, Yun BS, Lee SJ, Kim MA, Park JY, Kim KE, Jang KC. 2007.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among primary school children in Ilsan, Gyeonggi and changes of symptoms after environmental control in 2005. Pediatr Allergy Respir Dis 17(4):384-393 

  22. Yoon AR. 2015. Examine the state of food allergy management in nutritionists and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region of Incheon.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pp 11-32 

  23. Yu SN. 2013. A study on the awareness of food allergy and dietary habits according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Ulsan city.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Kyungnam, Korea. pp 28-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