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서표현 양가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연구 ; 대학생을 대상으로
Study on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at Impact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ffects Subjective Well-being ;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3, 2016년, pp.335 - 345  

황희숙 (신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이영식 (대진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대인관계 속에서 느끼는 정서표현 양가성이 대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유연성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경기, 서울 대학생 300명 대상으로 직접 1대1 설문조사 하였고 이 중 부적절한 응답 5부를 제외한 295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서표현 양가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자기방어 양가성은 주관적 안녕감에 강한 부적 영향을 미치었으나 관계관여 양가성은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그리고 심리적 유연성의 조절효과는 자기방어 양가성에서는 주관적 안녕감에 조절효과를 보였으나, 관계관여 양가성에 있어서의 심리적 유연성의 조절효과는 주관적 안녕감에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표현 양가성에서 그 동기의 속성인 관계 관여는 그 자체가 심리적 유연성 역할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과 심리적 유연성은 자기방어 양가성 에는 부적인 영향과 주관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조절변수로의 효과를 보이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대학생 스스로 적극적인 경험수용을 통하여 심리적 유연성을 키울 수 있도록 대학생 상담현장에서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on impact which students feel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summa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Self-defence ambivalence is strong negative influence on subjec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대인관계에서 느끼는 정서표현 양가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심리적 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아 초기 성인으로 진입하는 대학생의 올바른 성숙과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상담현장에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심리적 유연성의 역할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근거의 틀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 연구 결과인 관계관여 양가성 집단이 자기방어 양가성 집단에 비하여 심리적 안녕감이 높다[6]에서 그 결과의 원인을 관계관여 그 자체가 심리적 유연성의 역할을 하였기 때문이라고 가정하고 심리적 유연성을 정서표현 양가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변수로 사용하였다. 아울러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 상담현장에서 실질적인 사용을 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과 대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을 올리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이처럼 심리적 수용은 대인관계에 있어서 자기개방을 통하여 자신을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고 할 수 있고 삶에 대한 적응력과 장기적으로는 주관적 안녕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 상승 및 초기성인기의 발달과업인 성숙한 성인으로의 완성에 도움을 주는 심리적 유연성이 가지는 역할에 대한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심리적 유연성을 정서표현양가 성과 주관적 안녕감 사이의 조절변인으로 사용하여 심리적 유연성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서란? 정서란 자극에 대한 복합적인 반응들이 연결된 것으로 인지적 판단 및 평가, 자극에 대한 생리적 변화, 자동화된 느낌, 행동 경향성, 그리고 자극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기 위한 행동을 포함하며[7], 이는 자신의 외적 자극 사건에 대한 즉각적인 생리, 인지, 현상, 행동 등 여러 가지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통합하여 외부 자극에 대하여 적합성을 증진한다[8]. 그리고 정서는 자신과 타인에게 자신의 욕구와 자신의 상황 및 상태를 전달하는 정보적 역할을 하기에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신뢰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타인과 공유하는 정서적 소통이 필요하다[9].
심리적 유연성은 어떤 능력인가? 심리적 유연성(Psychological flexibility)은 수용전념치료 (Acceptance-Commitment Therapy: ACT)에서 설명하고 있는 수용의 확장된 개념이다. 이는 어떤 순간의 생각이나 느낌, 그리고 신체반응을 방어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충분히 체험하고 자신의 목표나 가치를 달성하기 위하여 개인이 처한 상황에 맞추어 자신의 행동을 유지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심리적 유연성에 포함되는 내용은 현재 순간에 머무는 것, 원하지 않는 감정과 생각을 체험하는 것, 그리고 가치 또는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의욕을 떨어뜨리는 사건을 경험하더라도 가치 또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을 계속 하는 것이고[21].
주관적 안녕감을 만드는 핵심요소는 무엇이 있는가? 즉, 주관적 안녕감이란 자신의 삶에 대하여 자신이 내린 자신의 주관적 평가를 의미한다. 주관적 안녕감을 만들게 하는 핵심요소로 볼 수 있는 삶의 만족도,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는 한 개인 안에서 발생하지만, 이는 서로 연결되어 서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때론 분리되어 그것이 높고 낮음을 평가하여서 한 개인의 주관적 안녕감이 결정될 것이다. 긍정적인 정서를 자주 경험하고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지 않을수록 행복한 사람에 가깝고 높은 수준의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를 모두 경험하는 사람은 매우 감정적인 사람에 가까우며 긍정적 정서를 거의 경험하지 않고 부정적 정서를 자주 경험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강이나 자신의 소득, 다른 생활 조건이 만족스럽다고 믿는다면 이는 삶의 만족도가 높은 사람 쪽에 가깝고, 긍정적인 정서는 경험 하지 못하고 부정적인 정서만 경험하면 할수록 이는 불행한 사람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2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L. A. King and R. A. Emmons,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Psychology and physical correla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8, pp.864-877, 1990. 

  2. I. M. Katz and J. D. Campell,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well-being: Nomothetic and idiographic tests of the stress-buffering hypothe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7, pp.513-524, 1994. 

  3. E. A. Butler, T. B. Lee, F. H. Wilhelm, N. C. Smith, E. A. Erickson, and J. J. Gross, "The social consequence of expressive suppression," Emotion, Vol.3, pp.48-67, 2003. 

  4. 김우석, 정서표현성, 자아방어기제 및 대처방식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5. 안희애, 애착과 정서표현 갈등에 따른 대인관계특성, 가톨릭대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6. 엄정은,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7. R. A. Plutchik, eneral psychoevolutionary theory of emotion, In R, Plutchik, & H, Kellerma(eds.), Emotion: Theory, research, and experience, New York: Academic Press, Vol.1, pp.3-33, 1980. 

  8. D. Keltner and M. N. Shiota, "New displays and new emotions: A commentary on Rozin and Cohen," Emotion, Vol.3, pp.86-91, 2003. 

  9. A. J. Fridund, "Sociality of solitary smiling: Potentiation by an implicit audi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0, pp.229-240, 1991. 

  10. 임민주, 정서표현의 양가성과 정서조절 양식이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1. J. W. Pennebaker, "Traumatic experience and psychosomatic disease exploring the roles of behavior inhibition obsession, and confiding," Canadian psychology, Vol.26, pp.82-95, 1985. 

  12. 박지선, 김인석, 유재학, 현명학, "정서자각 결함, 정서표현성에 대한 양가감정이 신체화, 우울, 스트레스 경험빈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건강, Vol.13, No.3, pp.571-581, 2008. 

  13. 이은경, 서은국, T. Chu, S. Kim, D. K. Sherman, "정서억제와 주관적 안녕감:문화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3권, 제1호, pp.131-146, 2009. 

  14. E. Suh, Emotion norms, values, familiarity and subject well-being : A cross-cultural examin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Illnois at Urbana-Champaign, 1994. 

  15. 최해연, 민경환,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의 타당화 및 억제 개념들 간의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 사회 및 성격, Vol.21, pp.71-89, 2007. 

  16. 강민완, 김선아, 심제은, "대학 경호학과 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2호, pp.318-327, 2010. 

  17. R. S. Lazarus, Emotion and adapt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18. 이주일, 황석연, 민경환. 정서의 체험 및 표현성이 건강과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사회 및 성격, 제11권, 제1호, pp.117-140, 1997. 

  19. 유주현,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감정과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0. 김종운, 김지현,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248-259, 2013. 

  21. 허재홍, 최명식, 진현정, "한국어판 수용 행동질문지 II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1권, 제4호, pp.861-878, 2009. 

  22. L. S. Greenberg, Acceptance in experiential therapy. In S. C. Hayes, N. S. Jacobson, V. M. Follette, & M. J. Dougher(Eds.), Acceptance and change: content and context in psychotherapy, Reno, NV: Context Press, pp.53-72, 1994. 

  23. M. J. Dougher, The act of acceptance, In S. C. Hayes, N, S. Jacobson, V. M. Follette, & M. J. Dougher(Eds.), Acceptance and change; content and context in psychotherapy, Reno, NY: Context Press, pp.37-50, 1994. 

  24. 윤효균, "심리 상담의 치료적 기제," 한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7권, 제1호, pp.1-13, 2005. 

  25. A. Szalai, A. The meaning of comparative research of life. In A., Szalai & F. M. Andrews(Eds.), The Quality of life. Comparativw Studies(7-21), Beverly Hills, California: SAGE Publication, 1890. 

  26. E. Diener,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95, pp.542-575, 1984. 

  27. R. Veenhoven, "Is Happiness relative?,"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24, pp.1-34, 1981. 

  28. R. E. Lucas, E. Diener, and E. Suh, "discriminant of well-being meas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1, p.628, 1996. 

  29. F. W. Bond, S. C. Hayes, R. A. Bear, K. M. Capenter, H. K. Orcutt, T. Waltz, and R. D. Zettle, "Preliminary psychometic properties of the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II: revised measure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acceptance," Behavior Therapy, Vol.42, No.4, pp.676-688, 2011. 

  30. E. Diener, R. A. Emmons, R. J. Larsen, and S. Griffi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ment, Vol.49, pp.71-15, 1985. 

  31. 류연지, 성격 및 욕구수준이 주관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32. E. Diener, Assessing subjective well-being progress and opportunit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31, pp.103-157, 1984. 

  33. 김완석, 김영진, "주관적안녕감척도: 공동생활 및 활동관의 연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3권, 제1호, pp.61-81,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