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사의 관점에서 제안된 초등 과학 영역의 모바일 앱 콘텐츠 유형 및 주제
Types and Themes of Mobile Application Contents in Primary Science Learning Derived From Teachers' Perspectiv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3, 2016년, pp.488 - 497  

소효정 (이화여자대학교) ,  윤혜경 (춘천교육대학교) ,  최형신 (춘천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모바일 앱의 활용을 통해 기존에 팽배한 디지털 교과서나 인터넷 강의 위주의 모바일 학습의 형태와는 다른 새로운 학습 기회의 창출이 가능함에 주목하고,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속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모바일 앱 콘텐츠의 유형 및 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서책형 및 디지털 교과서의 양식에 대해 느끼는 장점과 단점, 모바일 학습의 장점과 단점, 모바일 앱 개발에 적합하다고 인식하는 주제에 대한 데이터를 개별 면담 형식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특정 단원이나 주제로 콘텐츠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수평적 활용'보다는 활동중심의 앱을 개발하여 '수직적 활용'을 유도하는 것이 더욱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교육적 어포던스의 개념에서 볼 때 도출된 아이디어의 대부분이 멀티미디어 접근 위주였으며, 협동적 상호작용과 위치 인식 기능 등 모바일 기기만의 어포던스를 적극 활용한 아이디어는 많이 도출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향후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속에서 모바일 학습을 확산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개발뿐만 아니라, 직접적 탐구활동과 모바일화를 반대되는 개념으로 보는 교사들의 인식론을 극복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iven the potential of mobile applications to create new learning opportunities beyond the prevalent use of digital textbooks and Internet lectures, this study aims to derive types and themes of mobile application content that can be effectively integrated with the school curricula. Twenty primary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앞서 제시된 1) 교사들이 서책형 및 디지털 교과서에 대해 느끼는 장점과 단점, 2) 모바일 학습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3) 모바일 앱 개발에 적합하다고 인식하는 주제 및 활동에 대한 아이디어를 종합하여 초등 과학교과에서 서책형 또는 디지털 교과서와 연계하여 활용될 수 있는 모바일 앱의 콘텐츠 유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모바일 앱 콘텐츠의 유형을 다음 [표 6]과 같이 크게 1) 실험 및 관찰 지원, 2) 자료제공, 3) 자기주도적 학습의 세 가지 형태로 도출하고 각 유형에 따른 여섯 가지 콘텐츠 유형도 제시하였다.
  • 더불어 콘텐츠 개발의 관점에서 볼 때, 본 연구는 각 교과목의 교수방법적 특성 및 테크놀로지를 통합하는 방법이 다르므로 구체적으로 ‘모바일화(mobilized)’된 콘텐츠가 필요한 주제 및 영역이 무엇인지 교과목의 구체성을 가진 담론이 필요하다는 관점에 기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4학년 과학교과를 대상으로 기존의 서책형 또는 디지털 교과서와 연계 및 보완해서 사용될 수 있는 질적인 모바일 앱의 콘텐츠를 교사의 관점을 통해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속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모바일 앱 콘텐츠의 유형 및 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도출된 구체적인 모바일 앱 개발 콘텐츠 아이디어는 교과목 주제와 교육적 어포던스 그리고 이동성의 관점에서 분석되었다.
  •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과학 교과서를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 서책형 과학 교과서 개발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모바일 앱 콘텐츠의 유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실제 학습 주체인 학생의 수요를 주요하게 연구해 볼 필요가 있으며, 현재 활용되고 있는 과학 학습용 모바일 앱의 분석을 통해서 다각적으로 초등 과학교육과 연계될 수 있는 모바일 앱 콘텐츠 유형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교사가 인식하는 모바일 학습의 가능성과 초등 과학 교과와 연계되어 활용가능한 모바일 앱 개발에 적합한 콘텐츠 아이디어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데이터 수집을 위해 2014년 초등과학교과 3-4학년 디지털 교과서 적용 시범학교였던 초등학교 두 곳을 선정하여, 디지털 교과서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교사 8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 서책형 과학 교과서와 함께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학습을 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는지 또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해 질문하였다[표 3]. 면담에 참여한 교사 중,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혹은 ‘활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부정적 의견을 제시한 교사는 3명이며, ‘매우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사는 1명, 나머지 교사들은 ‘부분적으로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모바일 앱의 활용을 통해 기존의 디지털 교과서나 인터넷 강의 위주의 모바일 학습과는 다른 ‘블렌디드 학습(blended learning)’ 유형의 모바일 학습 기회 창출이 가능함에 주목하고,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속에서 활용될 수 있는 모바일 앱 콘텐츠의 유형 및 주제를 교사의 관점에 기반하여 도출하고자 하였다.
  • 교사들은 과학 탐구에 대해 순박한(naive) 인식론을 가지고 있는데, 가장 많이 발견되는 것 중의 하나는 실제로 해보는 ‘조작적 활동(hands-on activity)’이 ‘탐구’라고 생각하는 것이다[18]. 학교에서의 과학 탐구 지도가 실제 과학자들의 과학 탐구 과정을 모델링하는 것이며, 과학자들이 실제 연구에서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여러 가지 목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교사들의 인식론을 고려할 때 직접체험이 불가능하거나 대체적 활동이 필요한 주제영역에 대한 앱을 중점적으로 개발하여야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바일 학습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된 계기는? 최근 다양한 모바일 기기와 애플리케이션이 확산 및 보편화되면서 모바일 학습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학교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질적인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및 콘텐츠의 활용은 미흡한 실정이다.
모바일 기기가 가장 많이 활용된 기능은? 이러한 점은 모바일 학습 연구 동향을 분석한 Cheung & Hew[10]의 연구에서도 뒷받침이 된다. 이 리뷰는 모바일 학습에 관한 44개 논문을 분석하였는데, 모바일 기기가 가장 많이 활용된 기능은 커뮤니케이션, 멀티미디어 접근과 활동 관리 도구였다. 사용자의 능동성 및 이동성이 요구되는 데이터 캡쳐 및 분석, 표현을 위한 도구로서의 활용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콘텐츠 개발의 관점에서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활용의 문제점 두가지는? 콘텐츠 개발의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현상은 크게 두 가지 문제점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먼저 첫 번째 문제는 상업적 목적으로 개발된 교육용 모바일 앱의 주 대상이 유아 및 성인 학습자인 경우가 많고, 따라서 모바일 콘텐츠도 유아용 스토리텔링 앱이나 청소년 및 성인 학습자의 시험대비용 앱 등에 개발이 편중되고 있기 때문이다[1]. 두 번째 문제점은 모바일 테크놀로지만의 어포던스(affordance), 즉 이동성, 연결성, 보편성, 휴대성을 제대로 구현한 질적인 교육용 모바일 앱의 개발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아직까지도 상당수의 모바일 앱 콘텐츠가 지식이나 정보 전달 위주로 설계되었으며, 교사 -학생 그리고 학생-학생간의 상호작용 및 모바일 학습만의 고유한 특성을 설계에서 제대로 구현한 앱은 그리많지 않은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윤현민, "유아용 인기 교육 애플리케이션의 유형 및 특성 분석," 한국 HCI 학회, pp.481-484, 2014. 

  2. 조규락, 고등학생의 모바일 러닝 실태 및 인식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5권, 제6호, pp.53-64, 2012. 

  3. 이상수, 김은정, 김춘화, "학생, 교사, 전문가들이 예측한 디지털교과서가 미래교육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제30권, 제4호, pp.717-743, 2014. 

  4. E. Klopfer and K. Squire, "Environmental detectives-the development of an augmented reality platform for environmental simulation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Vol.56, No.2, pp.203-228, 2008. 

  5. D. A. Norman, "Affordance, conventions, and design," Interactions, Vol.6, No.3, pp.38-43, 1999. 

  6. 황윤자, 김성미, "교육적 어포던스 증진을 위한 사용자 중심 설계 스마트 포트폴리오 개발," 학습과학연구, 제8권, 제3호, pp.87-109, 2014. 

  7. D. Churchill and N. Churchill, "Educational affordances of PDAs: A study of a teacher's exploration of this technology," Computers & Education, Vol.50, No.4, pp.1439-1450, 2008. 

  8. B. Patten, I. A. Sanchez, and B. Tangney, "Designing collaborative, constructionist and contextual applications for handheld devices," Computers &education, Vol.46, No.3, pp.294-308, 2006. 

  9. 임정훈, "모바일 학습 (Mobile Learning) 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의 설계 방향 탐색," 한국교육논단, 제8권, 제1호, pp.101-124, 2008. 

  10. W. S. Cheung and K. F. Hew, "A review of research methodologies used in studies on mobile handheld devices in K-12 and higher education settings,"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25, No.2, 2009. 

  11. 양미경,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점 검토," 교육과정연구, 제31권, 제4호, pp.51-75, 2013. 

  12. 임철일 외, 디지털 교과서 2.0 모형 및 개발 방법(과학과)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13. G. Vavoula, M. Sharples, E. Scanlon, P. Lonsdale, and A. Jones, Report on literature on mobile learning, science and collaborative activity, (Deliverable D33.2.2, Mobile Learning in Informal Science Settings), Kaleidoscope Network of Excellence, 2005. 

  14. M. Koehler and P. Mishra, "What i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Contemporary Issues in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Vol.9, No.1, pp.60-70, 2009. 

  15. L. H. Wong, C. S. Chai, X. Zhang, and R. B. King, "Employing the TPACK framework for researcher-teacher co-design of a mobileassisted seamless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IEEE Transactions on Learning Technologies, Vol.8, No.1, pp.31-42, 2015. 

  16. R. E. Boyatzis, Transforming qualitative information: Thematic analysis and code development, Sage, 1998. 

  17. 임희준 외, "과학 디지털 교과서 활용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제33권, 제4호, pp.795-805, 2014. 

  18. M. T. Haye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truggles to define inquiry-based science teaching,"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Vol.13, No.2, pp.147-165, 2002. 

  19. 윤정현, 안인영, 노태희, "과학 수업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개념 적응적 개별화 학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35권, 제2호, pp.325-331,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