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참뽕가지를 첨가한 어간장게장 소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Eoganjang-geajang Sauce added Mulberry Branches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2 no.2 = no.77, 2016년, pp.163 - 175  

박기홍 (우석대학교 외식산업조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비린 냄새 제거와 미생물 항균작용으로 저장성 향상 효과가 있는 참뽕가지를 어간장게장 제조에 이용하고자 이화학적 특성, VBN, 미생물 변화 및 아미노산 변화, 관능적 품질 특성을 평가하여 첨가량과 최적조건을 제시하는 것이다. pH는 숙성 1일과 5일 각 시료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1), 참뽕가지를 동일한 양으로 첨가하였을 경우, 숙성 기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염도는 숙성 1일에서 대조구보다 참뽕가지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낮아졌다(p<0.001). 당도는 숙성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졌다. L-value는 같은 양의 참뽕가지를 첨가하였을 때 숙성기간이 늘어날수록 값이 감소하여 색이 어두워졌다. a-value와 b-value는 숙성기간 1일, 참뽕가지 함량 100 g일 때 유의적(p<0.05)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VBN 함량은 숙성기간 1일과 5일에서 G4에서 가장 낮은 VBN 함량을 나타내어 부패도가 가장 낮았으며, 미생물 수는 숙성 1일에 대조구가 가장 높았고, 참뽕가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균작용을 하여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총유리아미노산은 숙성기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성차이검사 결과는 쓴맛, 풀 냄새, 텁텁한 맛이 참뽕가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p<0.05)으로 진하다고 평가되었다. 감칠맛은 G4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참뽕가지를 첨가한 모든 시료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p<0.001)으로 구수하다고 평가되었다. 비린내는 참뽕가지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한다고 평가되었다(p<0.001). 일반소비자들에 대한 기호도 검사결과, 향, 맛, 전반적인 기호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ptimal condition for making marinated crabs sauce added mulberry branches(M/B), which is effective in removing smells and storing food with antibacterial function of microorganism, and present the biochemical properties, VBN, changes of microorganism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비린 냄새 제거와 미생물 항균작용으로 저장성 향상 효과가 있는 참뽕가지를 어간장게장 소스 제조에 이용하고자 참뽕가지 첨가량을 달리한 어간장게장을 제조하여 어간장게장 소스에 적합한 첨가량과 최적조건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비린 냄새 제거와 미생물 항균작용으로 저장성 향상 효과가 있는 참뽕가지를 어간장게장 제조에 이용하고자 참뽕가지 첨가량을 달리한 어간장게장을 제조하였으며, 이화학적 특성, VBN, 미생물 변화 및 아미노산 변화, 관능적 품질 특성을 평가하여 어간장게장 소스에 적합한 첨가량과 최적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G2: eoganjang-geajang sauce contained 25 g of mulberry branches.
  • G3: eoganjang-geajang sauce contained 50 g of mulberry branches.
  • G4: eoganjang-geajang sauce contained 100 g of mulberry branches.
  • G4: eoganjang-geajang sauce contained 200 g of mulberry branche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뽕나무 잎의 외형에 대해 설명하시오. )는 뽕나무과의 낙엽교목 또는 관목으로서, 가는 가지는 회갈색 또는 회백 색이고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잎은 난상원형 또는 긴 난상타원형이며, 3∼5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표면은 거칠거나 평활하면 뒷면은 맥 위에 잔털이 있다(Chae JY 등 2003). 참뽕은 단백질, 아미노산, 비타민, 미네랄 및 다량의 식이성 섬유소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당뇨(Kim YS 등 2008; Kim MS 등 1998), 항고 지혈증(Kim SY 등 1998; Kim SY & Lee WC 1996) 및 항산화작용(Doi K 등 2000; Kim SY 등 1999; Yen GC 등 1996) 등 여러 가지 생리적 ․약 리적 작용을 갖고 있어, 최근 기능성 식품, 화장품및 의약품의 신소재로서 이용되고 있다.
어간장게장 제조 시, 참뽕 가지 첨가 여부 및 첨가량에 따른 비린내의 변화는? 001)으로 구수하다고 평가되었다. 비린내는 참뽕가지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한다고 평가되었다(p<0.001). 일반소비자들에 대한 기호도 검사결과, 향, 맛, 전반적인 기호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
참뽕이 갖는 생리적, 약리적 작용은 무엇인가? 잎은 난상원형 또는 긴 난상타원형이며, 3∼5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표면은 거칠거나 평활하면 뒷면은 맥 위에 잔털이 있다(Chae JY 등 2003). 참뽕은 단백질, 아미노산, 비타민, 미네랄 및 다량의 식이성 섬유소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당뇨(Kim YS 등 2008; Kim MS 등 1998), 항고 지혈증(Kim SY 등 1998; Kim SY & Lee WC 1996) 및 항산화작용(Doi K 등 2000; Kim SY 등 1999; Yen GC 등 1996) 등 여러 가지 생리적 ․약 리적 작용을 갖고 있어, 최근 기능성 식품, 화장품및 의약품의 신소재로서 이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ng IS (2005).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Milk with Mulberry Leaf Extract. MS Thesis.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23-25, Anseong. 

  2. Brewer MS, Sprouls GK, Russon C (1994). Consumer attitudes toward food safety issues. J of Food Safety 14:69-76. 

  3. Chae JY, Lee JY, Hoang IS, Whangbo D, Choi PW, Lee WC, Kim JW, Kim SY, Choi SW, Rhee SJ (2003). Analysis of functional components of leaves of different mulberry cultivars. J of Kor Soc Food Sci Nutr 32(1):15-21. 

  4. Choi SI, Chang KM, Lee YS, Kim GH (2008). Antibacter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om Zanthoxylum piperitum A.P.D.C.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17:195-198. 

  5. Dapkevicius A, Venskutonis R, Beek T, Linssen JP (1998).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obtained by different isolation procedures from some aromatic herbs grown in Lithuania. J of Sci Food Argric 77:140-146. 

  6. Doi K, Kojima T, Fujimoto Y (2000). Mulberry leaf extract inhibits the oxidative modification of rabbit and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Bio Pharm Bull 23:1066-1071. 

  7. Gould GW (1996). Industry perspectives on the use of natural antimicrobials and inhibitors for food applications. Food Prot Suppl: 82-26. 

  8. Jeon YH, Park MH, Kim MR (2012).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from Cornus officinalis against some bacteria related to foodborne illness and food spoilage. J of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5):692-700. 

  9. Joen YJ, Park PJ, Byun HG, Song BK, Kim SK(1998). Production of chitosan oligosaccharides using chitin-immobilized enzyme. KSBB Journal 13(2):147-154. 

  10. Jung DY, Jung JH (1992). Studies on antimicrobial substances of Canoderma lucidum. Korean J of Food Sci 24:552-557. 

  11. KFN (2000). Handbook of Experimental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Hyoil Publish Co, 96-127:625-627, Seoul. 

  12. Kim BM (2014). Development of Ganjang-gejang added with Antibacterial Medicinal Herbs and It's Storability.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3-45, Jeonju. 

  13. Kim HB, Koh SH, Seok YS (2006). Anti-oxidative effect of 'Cheongilppong' with mulberry leaves according to different collection areas and some kinds of mulberry branches. Korean J of Sericultural Sci 48(2):41-45. 

  14. Kim MS, Choue RW, Chung SH, Koo SJ (1998). Blood glucose lowering effects of mulberry leaves and silkworm extracts on mice fed with high-carbohydrate diet. Korean J of Nutr 31:117-121. 

  15. Kim SY, Lee WC (1996). The effects of mulberry on inhibition of HMG-Co A reductase activity. RDA J Agric Sci 38:133-139. 

  16. Kim SY, Lee WC, Kim HB, Kim AJ, Kim SK (1998).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mulberry leaves in cholesterol-induced hyperlipidemia rats. J of Kor Soc Food Sci Nutr 27:217-1222. 

  17. Kim SY, Ryu KS, Lee WC, Ku HO, Lee HS, Lee KR (1999). Hypoglycemic effect of mulberry leaves with anaerobic treatment in alloxan-induced diabetic mice. Kor J of Phamacogn 30:123-129. 

  18. Kim YS, Yeum DM, Roh SB, Kim YH, Chung SK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anchovy sauce added with medicinal herbs. Korean J of Food Preserv 15(3):367-376. 

  19. Lee FZ, Lee JC, Jung DS, Eun JB (2001). Chemical composition of blue crabs preserved in soy sauce. Korean J of Food Sci Technol 33(6):714-719. 

  20. Lee YS, Rho JO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mulberry leaves enzyme liquid and its acceptability by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of Human Ecology 23(3):467-481. 

  21. Park WI, Kim HS, Choi KH, Choi SN, Kim JB, Lim SH (2008). Food composition of crab (Charybdis japonica) preserved in brine. J of Fish Mar Sci 20(1):95-106. 

  22. Seo JE, Lee EJ, Lee JK, Oh SW, Jung JH, Oh MJ, Kim YJ (2008). Study on the bio-chemical safety of ganjang gejang distributed in Korea. J of Food Hyg Safety 23(3):233-238. 

  23. Seo JS, Lee TS (1995) The contents of organic acid and fatty acid in traditional soy sauce prepared from meju under different fermentations. Korean J of Food Nutr 8(3):206-211. 

  24. Shin SM, La SH, Choi MK (2007).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mulberry leaf powder. Korean Soci of Food & Nutrition 20(1):53-62. 

  25. Yen GC, Wu SC, Duh PD (1996).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components from the leaves of mulberry (Morus alba L.). J of Agric Food Chem 44:1687-16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