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부문에서의 협업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Impact of Collaboration on Business Performance in the Public Sector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3, 2016년, pp.35 - 43  

이향수 (건국대학교 행정복지학부 행정학전공) ,  이성훈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초록

우리사회를 둘러싸고 있는 대내외적인 환경변화는 우리 정부로 하여금 여러 가지 난제들을 해결하도록 압박을 하고 있다. 이러한 난제들은 대개 어느 한 부처 혹은 어느 특정기관만이 해결할 수 없는 다부처관련 혹은 여러 기관에 걸친 문제들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정부의 문제해결 능력을 높이기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협업이 문제 해결을 위한 필수적인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사회에서 많은 논란거리가 되어왔으나 여러 부처에 관련되어 있어 해결이 쉽지 않았던 난제들을 각고의 노력 끝에 해결한 지방자치단체의 사례를 분석하여 협업을 성공적으로 이끄는데 필요한 요인들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우선, 협업 및 협업의 유형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하였다. 둘째, 협업의 사례를 고찰하기 위해 관련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끝으로 정부부문내에서 협업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분석결과 협업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협업의 공동 목표를 공유해야 하며, 협업을 유도할 인센티브, 지원제도 등의 요인들이 매우 중요함을 밝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changes surrounding our society are pressing our government to solve a lot of difficult problems. These problems are more likely to be solved by a number of ministries and agencies, rather than a single ministry or agency. Thus collaboration is a necessary strateg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협업의 사례를 고찰하기 위해 관련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끝으로 정부 부문 내에서 협업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본 연구는 협업성공사례들을 분석하여, 협업과정 및 협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출발하였다. 따라서 협업과정을 논의함에 있어 양적인 연구방법 보다는 질적 연구방법이 적당하다고 판단했다.
  • 이하에서는 C기관의 물통합관리의 협업사례를 분석하고 있다. 우선적으로 협업의 추진배경을 분석하고, 협업의 목표는 무엇이었는지, 협업의 지원체계는 어떻게 되었는지를 분석하여 협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는데 필요한 요인들을 추론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C기관의 세분화된 물 관리 어려움을 협업을 통해 해결한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 우선적으로 협업의 추진배경을 분석하고, 협업의 목표는 무엇이었는지, 협업의 지원체계는 어떻게 되었는지를 분석하여 협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는데 필요한 요인들을 추론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C기관의 세분화된 물 관리 어려움을 협업을 통해 해결한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이하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협업사례를 분석하면서 협업을 성공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사례 연구기관이 어떻게 목표를 공유하고, 보상제도 등 어떻게 지원체계를 어떻게 운영했는지 등 협업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협업과정을 분석하면서 협업목표의 공유, 협업에 대한 지원 등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 즉, 다원화된 물관리에서 통합관리로 물관리 패러다임을 변화하자고 하는 목표를 정하고, 이와 연계된 전략 등을 수립하였다. 특히 C도청의 경우 도지사가 협업의 중요성을 강조해왔으며, 도지사로 부임한 이후 도내의 소위 그동안 해결책을 찾지 못했던 난제들을 대상으로 협업을 추진하여 왔다.
  • 그렇다면 과연 우리나라 정부부처 또는 공공기관간의 협업의 정도는 어떠 한가 ? 하는 질문으로부터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 내에서 여러부서간 또는 타 기관과 협업을 통해 해결이 쉽지 않았던 난제들을 해결한 사례를 분석하여 협업을 성공적으로 이끄는데 필요한 요인들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 이하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협업사례를 분석하면서 협업을 성공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사례 연구기관이 어떻게 목표를 공유하고, 보상제도 등 어떻게 지원체계를 어떻게 운영했는지 등 협업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협업과정을 분석하면서 협업목표의 공유, 협업에 대한 지원 등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 특히 세종시로 이관된 부처나 기관과의 협업을 위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우리나라 정부부처 또는 공공기관간의 협업의 정도는 어떠 한가 ? 하는 질문으로부터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 내에서 여러부서간 또는 타 기관과 협업을 통해 해결이 쉽지 않았던 난제들을 해결한 사례를 분석하여 협업을 성공적으로 이끄는데 필요한 요인들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협업의 사전적 의미는 무엇인가? 협업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일을 하기 위해 또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른 사람 또는 다른 집단과 함께 작업을 하는 것을 말한다[8]. 또한 위키피디어에 의하면 협업은 '모두 일하는', '협력하는 것'이라는 의미로 공동 출연, 경연, 합작, 공동 작업을 가리키는 말이다(wikipedia).
협업활동에 대한 보상제도와 같은 지원제도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협업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협업활동에 대한 보상제도 등 지원제도가 필요하다. 협업은 매우 이타적인 활동이므로 이에 상응하는 보상활동이 있어야 한다. 즉, 협업공동체 내의 타인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필요할 때는 자원을 공유하는 행위에는 그에 상응하는 보상활동이 작동해야 협업을 활성화하기 쉬워진다는 것이다.
협업의 생애주기는 무엇인가? 협업은 일종의 생애주기를 거쳐 이뤄지는데, AIIM’s Life Cycle Collaboration Model[14]에 의하면, 공동의 목적을 가진 참여자들 간에 협업의 필요성을 공유하고 (awareness), 협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동기부여를 통해(motivation), 참여자들이 스스로 동기화과정(synchronization)을 거쳐, 협업에 참여하게 되고(participation), 협업에 참여하는 구성원들과의 조정 (mediation), 상호 호혜적 관계(reciprocity)를 거쳐 숙고(reflection)하여 적극적으로 협업에 참여(engagement)하게 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J. W. Kim, "Collaboration Strategy for Smart Government", IT Policy Series 15, National Information Agency, 2011. 

  2. H. S. Kim, "A Study on the Cooperation for the activation-type curriculum development site clos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1 No.10, pp.59-69, 2013. 

  3. J. H. Kang,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9 No.3 pp.261-271, 2011. 

  4. J. M. Do & J. D. Kim, "A Study on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Enterprise Security Collabor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No.10, pp.235-242, 2014. 

  5. 3.0 Government Committee & Sairam, "Study of Collaborative Map for the public sector to promote collaboration", 3.0 Government Committee, 2014. 

  6. M. McGuire, "Collaborative Public Management: Assessing What We Know and How We Know I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Special Issue. 66: 33-43, 2006. 

  7. J. S. Jin,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 of public sector administrative convergence", Korea Personnel Administration Science Review, Vol.12 No. 1, pp. 117-146, 2013. 

  8. DOI:http://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cooperation 

  9. D. Wu, & K. Passerini, "Uncovering Knowledge-Based Time Management Practices: Implications for Project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ing Projects in Business, Vol. 6 No. 2, 2013. 

  10. J. Y. Lee, "A Study on the User Authentication and the Protection of Data in the Collaborative Cloud Storag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9, pp.153-158, 2014 

  11. A. T. Himmelman, "Collaboration for a change: Definitions, decision-making roles, and collaboration process guide". Minneapolis: Himmelman Consulting, 2002. 

  12. T. B. Lawrence, C. Hardy & N. Phillips, "Institutional Effects of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The Emergence of Proto-Institutionsm",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45, No. 1 pp. 281-290, 2002. 

  13. E. Elgar, "Technological Collaboration and Innovation", in M. Dodgson and R. Rothwell (eds.), The Handbook of Industrial Innovation. Cheltenham: Edward Elgar, 1994. 

  14. DOI: http://www.aiim.org/What-is-Collaboration 

  15. H. Tellioglu, "Collaboration Life Cycle", Multidisciplinary Design Group, Published in: Collaborative Technologies and Systems, 2008. CTS 2008. International Symposium on Date of Conference: 19-23 May 2008. 

  16. Y. K. Kim, "Study on the Drivers and Constraints of Administrative Cooperation", Spring Conference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pp. 1-34, 2013. 

  17. M. S. Lee, "Theory and Practice of Aadministrative Cooperation", Creative Economy Seminar for Collaborative Administration, 35-58. 2013. 

  18. H. S. Lee, "Leadership and Knowledge Manage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No.10, pp35-43, 2014. 

  19. Jae-Yong Lee,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Improvement Training and Collaboration Capabilities Optimized to the Psychological Type of ICT Enginee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4, pp. 105-111, 2015. 

  20. Jung-Hoon Kim, Keun-Ho Lee, "Measures to Improve the Work Process Through the Convergence of Social Welfare based on I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5, No. 4, pp. 33-38,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