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직성과에 대한 인식연구: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Stud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cused on Public Institution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3, 2017년, pp.47 - 54  

이향수 (건국대학교 행정복지학부 행정학전공) ,  이성훈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조직성과를 재무적 관점이 아니라 정책관점, 고객관점, 조직내부관점 등으로 구분하여 공공기관 직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사례로 선정된 공공기관은 환경부 산하의 공공기관으로서 환경산업육성과 환경기술개발사업 등의 관리, 개발된 환경기술의 보급 및 실용화 촉진을 목적으로 설치된 기관이다. 연구대상이 된 공공기관은 조직성과를 어떻게 정의하며 어떻게 하면 조직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재무적 성과보다는 고객이나 정책의 관점에서 성과를 측정해보자 하는 데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연구대상이 된 공공기관의 정책적인 측면, 고객적인 측면, 조직내부적 측면에서의 성과에 대해서는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의 정책성과, 고객성과 및 조직내부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들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수평적 조직구조, 고객의 정책과정에의 참여독려, 업무 프로세스를 조직의 고객입장에서 재설계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divided into the policy perspective, the customer perspective, and the internal viewpoint rather than the financial perspective. The public institutions selected as examples of this study are public institutes und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hic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도 조직구성원들은 조직과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하므로서 직원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성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직원들은 조직이 추구하고 있는 정책이 성과를 도출하고 있는지, 고객들의 만족도는 올라가는지 혹은 헌신을 얼마나 하고 있는지, 그리고 조직내부 프로세스나 업무생산성 등에 대해서는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측정하므로서 조직의 성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조직의 성과를 재무적인 성과를 배제하고 비재무적인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비재무적 관점을 크게 정책성과, 고객성과, 조직내부성과 등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Pfeffer & Salacik[22]의 경우 조직의 대내외적인 성과를 조직구성원들의 인식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조직의 성과에 대한 인식분석을 하기 위해 조직구성원들이 그들 스스로 비재무적 조직성과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출발하였다. 따라서 연구대상 공공기관 직원들을 대상으로 정책성과, 고객성과, 조직내부성과 등에 대한 인식정도를 분석하였다.
  • 이처럼 조직성과는 조직을 보는 관점이나 시각에 따라서 매우 다양하게 정의되어 질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의 조직성과를 분석함에 있어 재무적 성과보다는 공공기관의 추구해야 할 공공부문에서의 공공정책의 측면에서의 성과, 고객에 대한 측면에서의 성과, 조직내부측면에서의 성과 등에 초점을 두어 조직성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하에서는 그러한 비 재무적 관점에서의 조직성과에 대한 문헌고찰을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조직의 성과를 재무적인 성과를 배제하고 비재무적인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비재무적 관점을 크게 정책성과, 고객성과, 조직내부성과 등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 Pfeffer & Salacik[22]의 경우 조직의 대내외적인 성과를 조직구성원들의 인식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조직구성원들은 조직과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하므로서 직원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성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직원들은 조직이 추구하고 있는 정책이 성과를 도출하고 있는지, 고객들의 만족도는 올라가는지 혹은 헌신을 얼마나 하고 있는지, 그리고 조직내부 프로세스나 업무생산성 등에 대해서는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측정하므로서 조직의 성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연구대상 공공기관 직원들을 대상으로 정책성과, 고객성과, 조직내부성과 등에 대한 인식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할 때 특히 비재무적 조직성과에 있어 현재의 수준에 대한 인식조사와 중요도에 대해서는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비교를 통해 현재수준과 중요도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보직자와 비보직자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 둘째, 연구대상을 중심으로 조직성과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셋째, 조직성과 인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조직성과에 대한 문헌연구를 검토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을 중심으로 조직성과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 더군다나 정부부문이나 공공기관의 경우 재무적 성과 보다는 민주성이나 공정성 등의 가치가 훨씬 더 중요한 성과로 인식되기도 한다[5, 6].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에서는 조직성과를 재무적 관점이 아니라 정책관점, 고객관점, 조직내부관점 등으로 구분하여 공공기관 직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조사는 정형화된 설문지를 통한 정량적 방법으로 5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등을 이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3가지 측면에서의 조직성과에 대한 분석을 통한 성공적인 조직성과 구축 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의 조직성과를 분석함에 있어 재무적 성과보다는 공공기관의 추구해야 할 공공부문에서의 공공정책의 측면에서의 성과, 고객에 대한 측면에서의 성과, 조직내부측면에서의 성과 등에 초점을 두어 조직성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하에서는 그러한 비 재무적 관점에서의 조직성과에 대한 문헌고찰을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객성과를 제고시키기 위한 고객만족도 및 높은 품질의 정책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무엇이 중요한가? 또한 고객성과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고객만족도 및높은 품질의 정책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 고객과의 의사소통 채널의 다각화이다[26, 27]. 이러한 활발한 고객과의 소통을 통해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 평가하는 과정에 고객의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정책성과이란 무엇인가? 정책성과란 조직이 추구하고 있는 정책이 과연 목표를 제대로 달성하고 효과적인지를 의미한다. 고객성과란 조직이 정의하고 있는 고객들에 대한 서비스 제공에 대한 만족도나 헌신 등에 대한 성과를 의미하며, 조직내부 성과란 내부 프로세스나 업무생산성 등이 효과적이었는 지를 의미한다.
조직 연구의 궁극적인 관심은 무엇인가? 조직 연구의 궁극적인 관심은 조직성과의 향상과 경쟁력 확보에 있다[1]. 조직성과의 개념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양한 조작적 정의가 가능하며, 다양한 측정요소로 구성되는 불확정 개념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J. H.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formance: An Examinationof Public Employment Service", Labor Policy Research, Vol. 7, No. 2, 2007. 

  2. C. J. Collins & K. G. Smith. "Knowledge Exchange and Combination: The Role of Human Resource Practices in the Performance of High-Technology Firm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49, No. 3: 544-560, 2006. 

  3. W. Q. Jr. Judge, "Correlate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Multilevel Analysis of a Multidimensional Outcome".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 13, No, 1: 1-10, 1994. 

  4. R. S. Kaplan & D. P. Norton. "The Balanced Scorecard: 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Vol. 70, No. 1: 71-79, 1992. 

  5. H. G. Frederickson, "Public Administration and Social Equity".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50: 228-37, 1990. 

  6. S. C. Selden, G. A. Brewer, & J. L. Brudney, "Reconciling Competing Values in Public Administration:Understanding the Administrative Role Concept". Administration and Society, Vol. 31: 171-204, 1999. 

  7. K. E. Newcomer, "Measuring Government Performance". In K. T. Liou(Eds.). Handbook of Public Management Practice and Reform(pp. 321-348). New York: Marcel Dekker AG, 2001. 

  8. T. H. Poister, "Measuring Performance in Public and Nonprofit Organiz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2003. 

  9. Y. S. Le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for Performance Management in Korea: Focusing on the case of central ministry",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Vo. 17, No. 3: 1-30, 2007. 

  10. M. S. Park, "A Study on the Effect of Corporate Culture Development Activitie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 13, No. 2: 69-86, 2006. 

  11. G. G. Gordon & N. DiTomaso, "Redicting Corporate Performance from Organizational Culture",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Vol. 29: 783-798, 1992. 

  12. D. R. Denison.& A. K. Mishra,"Toward a Theory of Orgazational Culture and Effectiveness", Organization Science, Vol. 6: 204-233, 1995. 

  13. P. N. Khandwalla, "The design of organizations", New York: Harcourt Brace, 1977. 

  14. J. S. Ko, "An Effect of Person-Organization Fit and Self Esteem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Management Education Research, Vol.80 No, 2013 

  15. D. R. Denison, "Bringing Corporate Culture to the Bottom Line", Organizational Dynamics, Vol. 13, No. 2: 5-22, 1984. 

  16. G. A. Brewer, & S. C. Selden, "Why Elephants Gallop: Assessing and Predict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Federal Agencies".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Vol. 10, No. 4: 685-711, 2003. 

  17. H. G. Rainey, "Understanding & Managing Public Organization(2nd Edition)". N. Y.: John Wiley & Sons, Inc, 1997. 

  18. J. E. Jreisat, "Public Organization Management; The Development of Theory and Process.. Westport": Greenwood Publishing Group Inc, 1997. 

  19. A. D. Jr. Szilagyi, & M. J. Wallac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Performance(5th)". New York: Harper Collins Publishers, 1990. 

  20. D. N. Ammons, "Overcoming the Inadequacies of Performance Measurement in Local Government". N. Y.: 324, 1995. 

  21. P. D. Epstein, "Get Ready: The Time for Performance Measurement is Finally Coming". Public Administration Review,Vol. 52, No. 5, 1992. 

  22. J. Pfeffer & G. R. Salancik, "The External Control of Organizations". New York: Harper and Row, 1978. 

  23. S. Choi and D. Kim, "Analysis of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culture's type and creating performance of convergence corporat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 no.8, pp.169-176, 2015. 

  24. S. K. Lee, D. J. Lee & S. H. Jang, "A Study on influence of R&D Organizational Culture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mediating effects of Trus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Vol. 9, No. 3, pp.145-163 , 2011. 

  25. H. S. Lee & S. H. Lee, "Impact on Internalization of Management Strategy in Public Organiz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5, 2016. 

  26. S. K. Lee, D. J. Lee & S. H. Jang, "A Study on influence of R&D Organizational Culture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mediating effects of Trus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Vol. 9, No. 3, pp.145-163 , 2011. 

  27. H. Yoon, Y. Lee, K. S. Park, "Management Performance and Announcement Effect of Seasoned Equity Offer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1, no.2, pp.101-114, 2013. 

  28. Seong-Hoon Lee, Dong-Woo Lee, "On Issue and Outlook of wearable Computer based on Technology in Converge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3, pp. 73-78, 2015. 

  29. Keyong-Hwa Yeon, "The Suggestion for Successful Factory Converging Automation by Reviewing Smart Factories in Germa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1, pp. 189-196,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