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간기업사례분석을 통한 협업환경에 대한 연구: 공공부문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Environment of Collaboration on Private Enterprises: Focusing on the Implications for Public Organiz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9, 2016년, pp.1 - 7  

이향수 (건국대학교 행정복지학부 행정학전공) ,  이성훈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초록

최근 들어 민간기업 뿐 아니라 공공부문에서도 협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최근 민간 기업을 대상으로한 연구들에서는 기업과 대학, 다른 기관들과의 협업을 통한 혁신을 강조하고 있다. 자신이 필요한 기술이 다른 기업이나 기관에 존재할 수 있고, 따라서 그런 기술이나 지식을 공유하고 각자 더 새로운 것을 만드는 체제로 발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협업을 통한 당사자들 모두가 윈윈할 수 있는 협업체계를 의미하는 것이다. 공공부문도 역시 협업이 필요하다. 갈수록 개별기관 수준에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생태적으로 공공기관은 민간 기업에 비해 협업이 불리한 환경에 놓여있다. 조직구조가 계층적일 뿐 아니라 협업 주체들 간의 관계 또한 수평적으로 인식하지 않고 있다. 의사소통의 양이 적은 것은 물론이다. 본 연구에서는 민간기업 중 협업을 성공적으로 이어가고 있는 기업의 협업과정을 분석하여 우리 공공기관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공공부문에서 협업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has been emphasized in the public sector as well as private companies. In a study for private enterprises, individual enterprises stressed the innovation through collaboration with other organization such as enterprise, university, and other agenci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선도적인 협업기업들의 사례들을 살펴보고, 협업의 성공요인들을 도출해내고자 한다. 끝으로 민간부문의 협업사례분석을 바탕으로 우리 정부 부문 내에서 협업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우선, 협업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하였다. 둘째, 선도적인 협업기업들의 사례들을 살펴보고, 협업의 성공요인들을 도출해내고자 한다. 끝으로 민간부문의 협업사례분석을 바탕으로 우리 정부 부문 내에서 협업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따라서 우리 공공기관들 역시 이러한 난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기관 들 간의 협업이나 정보공유 등을 통해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산적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민간기업의 협업이나 의사소통 방식을 분석한 후 우리 공공기관들이 성공적으로 협업을 하고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전략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하에서는 위의 민간기업의 협업과정을 분석을 바탕으로 공공부문의 협업의 성공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민간기업의 협업의 과정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정부부문에서 협업을 추진하고자 할 때 필요한 정책적 대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 AST는 ST 전체 그룹의 시스템 R&D 분야의 핵심조직이다. 반도체 칩이나 기술을 직접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3년 후나 5년 후 ST가 집중해야 할 새로운 기술연구에 전념하며 새로운 지식을 전략적으로 축적하는 것이다. AST 구성원은 조직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임원진을 제외하고는 수평적 구조다.
  • 이하에서는 2개 민간기업의 협업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우선적으로 협업의 추진배경을 분석하고, 협업의 목표는 무엇이었는지, 협업의 과정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정부부문에서 협업을 추진하고자 할 때 정책적 대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 우선적으로 협업의 추진배경을 분석하고, 협업의 목표는 무엇이었는지, 협업의 과정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정부부문에서 협업을 추진하고자 할 때 정책적 대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 민간기업의 협업의 과정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정부부문에서 협업을 추진하고자 할 때 필요한 정책적 대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 이하에서는 민간기업의 협업사례들을 분석하여 정부 부문의 협업을 성공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방안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위의 협업의 유형 중에서도 민간기업의 협업과정을 분석하면서 온라인 협업과 오프라인협업 등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 이하에서는 위의 민간기업의 협업과정을 분석을 바탕으로 공공부문의 협업의 성공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민간기업의 협업의 과정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이하에서는 민간기업의 협업사례들을 분석하여 정부 부문의 협업을 성공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방안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위의 협업의 유형 중에서도 민간기업의 협업과정을 분석하면서 온라인 협업과 오프라인협업 등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기업들의 혁신 트랜드는 무엇인가? 즉, 자신이 필요한 기술이 다른 기업이나 기관에 존재할 수 있고 따라서 그런 연구들을 공유하고 각자더 새로운 것을 만드는 체제로 발전해야 한다는 것이다[1]. 최근기업들의 혁신 트랜드는 협업과 소통에 초점을 두고 있는 듯하다. 그렇다면, 우리 공공기관은 어떠한가? 이윤을 최우선시 하는 민간 기업들이 이렇게 적극적으로 협업을 우선시하고 있는데 비해 과연 우리 공공기관들은 다른 공공기관이나 민간영역과 얼마나 협업을 하고 있는가 하는 질문에서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공공부문에 협업이 필요한 이유는? 공공부문도 역시 협업이 필요하다. 갈수록 개별기관 수준에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생태적으로 공공기관은 민간 기업에 비해 협업이 불리한 환경에 놓여있다.
협업의 유형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협업의 유형은 다양한 기준에 의해 구분될 수 있는데, 우선 협업의 주체 내지 대상자가 내부인 인지 혹은 외부인인지에 따라 내부협업과 외부협업으로 구분할 수 있다[6]. 내부협업은 조직 내의 부서 또는 팀 간 수행하는 업무에 대한 협업을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sun Ilbo, 2016. 2. Article 27 issue, eliminate slow growth period, R & D center Be C & D. 

  2. A. T. Himmelman, "Collaboration for a change: Definitions, decision-making roles, and collaboration process guide". Minneapolis: Himmelman Consulting, 2002. 

  3. E. Elgar, "Technological Collaboration and Innovation", in M. Dodgson and R. Rothwell (eds.), The Handbook of Industrial Innovation. Cheltenham: Edward Elgar, 1994. 

  4. Shergold, P. Getting through Collaboration. in J. O'Flynn and J. Wanna. (eds.). Collaborative Governance A New Era of Public Policy in Australia.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E Press, Canberra: 13-22, 2008. 

  5. Gray, B. Collaboration: Finding Common Ground for Multiparty Problems. San Francisco: Jossey Boss, 1989. 

  6. S. B. Kim, "The new bow of SMEs, network-type cooperation", CEO Information, Vol. 729, 2011. 

  7. Electronic Times, 2014.0101,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in successful companies 

  8. http://supremacy.tistory.com/846 

  9. Electronic Times, 2013.11.10., Global Innovation DNA 

  10. J. Y. Lee, "A Study on the User Authentication and the Protection of Data in the Collaborative Cloud Storag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9, pp.153-158, 2014 

  11. H. S. Kim, "A Study on the Cooperation for the activation-type curriculum development site clos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1 No.10, pp.59-69, 2013. 

  12. J. H. Kang,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9 No.3 pp.261-271, 2011. 

  13. J. M. Do & J. D. Kim, "A Study on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Enterprise Security Collabor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No.10, pp.235-242, 2014. 

  14. M. McGuire, "Collaborative Public Management: Assessing What We Know and How We Know I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Special Issue. 66: 33-43, 2006. 

  15. H. S. Lee, "Leadership and Knowledge Manage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No.10, pp35-43, 2014. 

  16. Jae-Yong Lee,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Improvement Training and Collaboration Capabilities Optimized to the Psychological Type of ICT Enginee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4, pp. 105-111, 2015. 

  17. Yeob-Myeong Son, Byeong-Soo Jung, "Convergence Development of Video and E-learning System for Education Disabled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4, pp. 113-119, 2015. 

  18. Chun-Ok Jang, "A Study on Convergence Family Function and parameter validation fusion of youth protection facto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4, pp. 121-126,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