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관협업을 통한 "열린 혁신"에 대한 사례 연구: 공기업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Open Innovation through Public-Private Collaboration: Focused on Public Enterpris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9, 2018년, pp.73 - 79  

이향수 (건국대학교 인문사회융합대학) ,  이성훈 (고려대학교 경제통계학부 경제정책학전공)

초록

본 연구에서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열린 혁신"에 대한 개념 및 내용들을 살펴보고, 특정 공기업에서 추진하였던 "열린 혁신"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이 된 공기업에 대한 사례를 통해 정부의 "열린 혁신"을 추진하는데 있어서의 시사점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이 된 공기업의 경우 행정안전부의 "열린 혁신" 평가에서 공기업 중 협업을 통한 "열린 혁신"을 훌륭하게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은 기관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공기업 및 인근공공기관, 지역농민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협업을 통한 "열린 혁신"의 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우선 협업 주체들 간에 협조를 구하기 위해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목표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서로가 서로에게 이득이 되는 관계라는 것을 인식하고 공동의 목표를 향해서 움직인다라는 공감대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협업에 참여하는 주체들에게 지속적으로 협업이나 혁신 작업에 참여하도록 하는 유인체계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협업을 독려할 수 있도록 공공 기관 등에서는 협업행위에 대한 인사가점이나 경제적 보상 등의 유인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case of Moon Jae-In's government based on the specific public enterprises. The public companies that were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evaluated as having done a good job of open innovation through open innovation evalua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uccess fact...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주민들이 참여하여 영농형 태양광발전사업을 하는 것으로 ND발전 주식회사, 농민, 지자체의 협업을 통해 추진되었다. ND발전 주식회사의 경우 태양광 발전설비를 구축하고 발전 사업을 하며, 농민의 경우 논농사와 겸업할 수 있는 태양광설비 부지를 임대해주며, 지자체의 경우 농가 수익이 증대될 수 있는 모델을 제공하여 세수 증대를 꾀하고자 하였다. ND발전과 지자체, 그리고 농민외에도 농업기술원, 인근대학, 중소기업 등이 참여하여 태양광 발전과 병행하여 벼농사를 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조언들을 제시해 주었다.
  • 기존농지에 농사와 겸하여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는 시범단지를 구축하여 농가수익을 증대시키고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본 사업을 추진되었다. 특히 주민들이 참여하여 영농형 태양광발전사업을 하는 것으로 ND발전 주식회사, 농민, 지자체의 협업을 통해 추진되었다.
  • 끝으로 “열린 혁신”을 추구하는 정부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여 공기업 뿐 아니라 정부부문,지방자치단체의 “열린 혁신”의 추진에 일조하고자 한다.
  • 끝으로 결론부분에서는 우리나라 공공부문의 “열린 혁신”을 추진하는데 있어서의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또한 인터뷰에 참여했던 사람들은 일반 직원과 중간관리자, 상위관리자, 일반농민 등 다양한 직급으로 배치하여 협업을 통한 “열린 혁신”에 대한 다양한 인식태도에 있어서의 차이점 등을 분석하고자 노력하였다.
  • 또한 협업은 이타적인 행위이므로 이를 위해서 어떠한 지원이 있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협업 이전과 이후에 어떻게 협업에 대한 인식이나 해당업무에 대한 성과 등이 변화했는지 그 차이를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했다. 또한 인터뷰에 참여했던 사람들은 일반 직원과 중간관리자, 상위관리자, 일반농민 등 다양한 직급으로 배치하여 협업을 통한 “열린 혁신”에 대한 다양한 인식태도에 있어서의 차이점 등을 분석하고자 노력하였다.
  • 협업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협업의 동기와 목표를 공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데 이를 위해 어떻게 목표를 공유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협업은 이타적인 행위이므로 이를 위해서 어떠한 지원이 있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협업 이전과 이후에 어떻게 협업에 대한 인식이나 해당업무에 대한 성과 등이 변화했는지 그 차이를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했다.
  • 본 연구는 특정사례를 분석하여 “열린 혁신”을 추구하기 위한 협업 과정을 분석하고 협업을 통한 혁신을 위한 영향요인들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열린 혁신”에 대한 개념과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ND발전 주식회사의 “열린 혁신” 사례를 분석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ND발전 주식회사의 “열린 혁신”사례분석을 위해서 문헌연구, 해당공기업의 담당자들 그리고 협업을 위해 참여했던 정부기관에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 등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열린 혁신”에 대한 개념 및 내용들을 살펴보고, 특정 공기업에서 추진하였던 “열린 혁신”의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해당 공기업의 경우 그동안 공공부문 혁신에 대한 노력을 꾸준히 해왔고, “열린 혁신”에 있어서도 모범적으로 안착을 시도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공기업이다. 본 연구진들은 ND 발전 주식회사의 담당자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 및 자료들을 토대로 그동안의 혁신추진과정을 성공적으로 유도하고 있는 영향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끝으로 결론부분에서는 우리나라 공공부문의 “열린 혁신”을 추진하는데 있어서의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사례를 분석시에는 먼저 협업을 통해 “열린 혁신”을 추진하게된 배경을 분석하고, “열린 혁신”의 목표는 무엇이었는지, “열린 혁신”의 지원체계는 어떻게 되었는지를 분석하여 협업을 통한 “열린 혁신”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는데 필요한 요인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 연구대상이 된 ND발전주식회사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고 정부의 “열린 혁신”을 추진하는데 있어서의 시사점을 밝혀보고자 한다.
  • 이하에서는 그러한 “열린 혁신”의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하에서는 먼저 “열린 혁신”에 대한 의의와 내용을 살펴보고, 해당 사례내용들을 “열린 혁신”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문재인 정부의 정부혁신은 “열린 혁신”이라는 슬로건으로 표현된다. 혁신을 추진하면서 국민들의 참여, 지역사회의 참여 등 다양한 사회구성원들의 혁신과정에의 참여를 이야기 한다. 따라서“열린 혁신”이란 기존의 정부의 혁신방식이 폐쇄적으로 운영됨에 따라 성과를 내지 못하였다는 자기반성이 내포된 개념으로 보여 진다.
  • 인터뷰의 내용은 Table 1에 제시한대로 주로 협업의 목표 및 협업의 지원정도에 대해서 측정하고자 하였다. 협업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협업의 동기와 목표를 공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데 이를 위해 어떻게 목표를 공유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협업은 이타적인 행위이므로 이를 위해서 어떠한 지원이 있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재인 정부의 열린 혁신이란 무엇인가? 혁신을 추진하면서 국민들의 참여, 지역사회의 참여 등 다양한 사회구성원들의 혁신과정에의 참여를 이야기 한다. 따라서“열린 혁신”이란 기존의 정부의 혁신방식이 폐쇄적으로 운영됨에 따라 성과를 내지 못하였다는 자기반성이 내포된 개념으로 보여 진다.
개방형 혁신이 폐쇄형 혁신과 다른점은 무엇인가? 폐쇄형 혁신은 외부와 단절된 연구개발을 중심으로 한다면, 개방형 혁신은 외부까지 적극적으로 활용한 연구개발을 의미한다[4]. 또한 폐쇄형혁신이 업계에서 가장 많은 그리고 가장 뛰어난 아이디어를 내는 것이 성공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개방형 혁신은 내부와 외부의 아이디어를 가장 잘 이용하는 것이 성공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5, 6]. 이처럼 개방형의 “열린 혁신”은 매우 개방적이며 모든 사회구성원들의 참여를 매우 강조하는 혁신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7].
열린 혁신의 목적은 무엇인가? 특히 정부혁신의 구체적 내용을 보면 맞춤형 서비스,일하는 방식의 혁신, 공공데이터의 개방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다. 맞춤형 서비스는 국민의 입장에서 필요한 서비스와 정보를 국민의 특성이나 요구에 따라 제공하는 맞춤형 원스톱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안심상속 원스톱서비스나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처럼 생애주기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정부 서비스이다. 또한 일하는 방식이 혁신이란 정부, 기업, 국민간의 협업을 통한 일하는 방식의 혁신을 말한다. 이처럼 일하는 방식을 변화시켜 유능한 정부를 구현하는 것이 일하는 방식 혁신의 최종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9-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https://ko.wikipedia.org/wiki/%ED%95%9C%EA%B5%AD%EB%82%A8%EB%8F%99%EB%B0%9C%EC%A0%84 

  2. K.. Laursen & A. Salter. (2006). Open for innovation: the role of openness in explaining innovation performance among UK manufacturing firm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7(2), 131-150. DOI: 10.1002/smj.507 

  3. D. J. Teece. (2007). Explicating dynamic capabilities: the nature and microfoundations of (sustainable) enterprise performanc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8(13), 1319-1350. DOI : 10.1002/smj.640 

  4. K. Asakawa, H. Nakamura & N. Sawada. (2010). Firms' open innovation policies, laboratories' external collaborations, and laboratories' R&D performance. R&D Management, 40(2), 109-123. DOI : 10.1111/j.1467-9310.2010.00598.x 

  5. S. D. Chang & Y. M. Zhu. (2012). Corporate Entrepreneurship, Social Capitals, and SMEs' Performance in China. The e-Business Studies, 13(2), 283-299. DOI : 10.15719/geba.13.2.201206.283 

  6. Z. Hoque., & W. James. (2000). Linking balanced scorecard measures to size and market factors: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urnal of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12(1), 1-17. DOI : 10.2308/jmar.2000.12.1.1 

  7. J. C. Hayton, (2003). Strategic human capital management in SMEs: An empirical study of entrepreneurial performance. Human Resource Management, 42(4), 375-391. DOI : 10.1002/hrm.10096 

  8. H. P. Zhang, J. K. Kim, H. H. Wang & Y. K. Lee. (2018). The Effect of Intrapreneurship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Open Innovation -Focused o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Busa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3), 101-111. DOI : 10.14400/JDC.2018.16.3.101 

  9. B. Y. Jeung. (2018). Influence on Successful Aging and Mediation Effect of Retirement Preparation by Social Paritication Attitude of Public Officials in Korean Baby Boom Gener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 93-101. DOI : 10.14400/JDC.2018.16.1.093 

  10. M. S. Jeong. (2017). A Study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Learning on Corporate Performance: Case Study on Mediating Effects of Intangible Asses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1), 97-105. DOI : 10.14400/JDC.2017.15.11.97 

  11. E. G. Kang & S. K. Lee. (2017). A Study on the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the convergence age -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9), 99-110. DOI : 10.14400/JDC.2017.15.9.99 

  12. K. Nah, S. Sung, Y. Jeon & E. K. Lee. (2017). A Study on Design Development Direction for Designing Aging Friendly City through The Case Analysi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6), 61-69. DOI : 10.14400/JDC.2017.15.6.61 

  13. H. S. Lee & S. H. Lee. (2017). Diagnosis of Organizational Culture: Focused on Public Institutio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3), 9-16. DOI : 10.14400/JDC.2017.15.3.9 

  14. J. T. Kim & J. S. Han. (2017). Cultural Management Innovation through the Adoption of Internet of Things: Case of Smart Far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3), 65-75. DOI : 10.14400/JDC.2017.15.3.65 

  15. B. Baruah, & A. Ward, (2015). Metamorphosis of intrapreneurship as an effective organizational strategy.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Journal, 11(4), 811-822. DOI : 10.1007%2Fs11365-014-031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