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기초 및 광역지자체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위한 웹기반 지원 도구(VESTAP) 개발
Development of Web-Based Supporting Tool (VESTAP) for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ment in Lower and Municipal-Level Local Government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9 no.1, 2016년, pp.1 - 11  

오관영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  이명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  한도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는 환경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화두이며, 인류에게 직면한 가장 도적적인 과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 차원의 1~2차 국가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수립하고, 각 광역 및 기초 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 시행대책 수립을 의무화하고 있다.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는 기후변화 적응 시행대책을 수립함에 있어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취약성 평가는 다양한 영향인자의 복합적 연산을 통해 도출됨으로 개별적인 평가를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초 및 광역 지자체 차원에서 활용 가능한 웹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VESTAP)를 개발하였다. VESTAP은 크게 지표 DB와 취약성 평가 및 표출 도구로 구성되어 있다. 지표 DB는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4.5와 8.5로 모의된 총 455개의 미래 기후자료, 대기 환경자료, 기타 인문사회통계 자료와 그에 따른 메타데이터 정보를 포함한다. 표출 도구는 각 취약성 평가의 결과에 대한 공간분포, 편향성, 도표화 등 다양한 분석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편의성을 극대화 하였다. VESTAP를 활용하여 세종특별자치시에 대한 미세먼지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를 시범적으로 수행하였으며, 부강면이 상대적으로 취약성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개발된 도구를 활용하여 각 지자체는 보다 쉽고, 편리하게, 그리고 과학적 증거에 기반한 기후변화 적응 시행대책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imate change is the issue that attracts the most attention in the field of environment, as well as the most challenging task faced by the human race. There are various ways to resolve this issue. South Korea has established the primary and secondary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s at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VESTAP의 취약성 평가 및 표출 도구는 기본 사용자를 위한 편의성 강화, 전문 사용자를 위한 편집 및 분석 기능의 강화를 주된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VESTAP의 표출 기능은 크게 취약성평가 조회, 지자체별 인벤토리, 시나리오 DB 조회, DB 조회로 구분된다.
  • 본 연구에서는 VESTAP 개발을 위한 지표 DB의 구축, 취약성 평가 및 표출 도구 등 전반적인 개발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개발된 도구를 통해 도출된 취약성 평가결과를 제시함으로써 도구 활용을 통한 평가 및 분석 결과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VESTAP 개발을 위한 지표 DB의 구축, 취약성 평가 및 표출 도구 등 전반적인 개발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개발된 도구를 통해 도출된 취약성 평가결과를 제시함으로써 도구 활용을 통한 평가 및 분석 결과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변화 취약성평가의 의미는 무엇인가? 또한, 적응능력이란 기후자극에 대한 시스템의 적응역량을 지칭한다. 즉, 기후변화 취약성평가는 기후변화에 대하여 시스템의 적응역량정도를 상대적인 수치로 나타낸 결과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이 크고, 적응능력이 작으면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Kang and Lee, 2012).
VESTAP이 개발된 배경은 무엇인가? 이상의 배경에서 기존의 문제점을 개선한 평가도구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 되었으며, 이를 위하여 기초 및 광역지자체 단위의 취약성 평가를 웹기반의 동일한 시스템 내에서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VESTAP(Vulnerability Assessment Tool tobuild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도구는 취약성 지수를 3가지 지표들 즉 기후노출, 민감도, 적응능력으로 구분하고, 대리 변수의 표준화 및 가중치 부여를 통해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수행한다.
VESTAP은 취약성 지수를 어떻게 구분하는가? 이상의 배경에서 기존의 문제점을 개선한 평가도구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 되었으며, 이를 위하여 기초 및 광역지자체 단위의 취약성 평가를 웹기반의 동일한 시스템 내에서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VESTAP(Vulnerability Assessment Tool tobuild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도구는 취약성 지수를 3가지 지표들 즉 기후노출, 민감도, 적응능력으로 구분하고, 대리 변수의 표준화 및 가중치 부여를 통해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수행한다. 각각의 대리 변수들은 우리나라 17개 광역 지자체와, 251개 기초 지자체의 시군구 및 읍면동별로 기후변화 취약성과 연관된 자료의 수집을 통해 산정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ack, G.H., M.J. Lee and B.J. Kang. 2011. Development of spatial statistical downscaling method for KMA-RCM by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3):136-149 (백경혜, 이명진, 강병진. 2011. GIS를 활용한 KMA-RCM의 규모 상세화 기법 개발 및 검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3):136-149). 

  2. Han, H.J., S.Y. Ann, Y.J. Cho, G.J. Han, J.T. Lee, H.D. Kim, Y.H. Son, Y.H. Park, G.Y. Cho, J.H. Yoon, Y.A. Lee and S.M. Kim. 2007.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and development of adaptation strategies in Korea. Korea Environment Institute Research Report. p.432 (한화진, 안소은, 최은진, 한기주, 이 정택, 김해동, 손요환, 박용하, 조광우, 윤정 호, 이은애, 김승만. 2007. 기후변화 영향평 가 및 적응시스템 구축II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432쪽). 

  3. IPCC. 1997. Revised 199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4.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Joh, H.G., S.B. Kim, H. Jung, H.J. Sin and S.J. Kim. 2011. Projection of future snowfall by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3):188-202 (조형경, 김샛별, 정혁, 신형진, 김성준. 2011.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미래의 강설량 예측.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3):188-202). 

  6. Kang, J.Y. and M.J. Lee. 2012.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using fuzzy model and GIS in Seou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5(3):119- 136 (강정은, 이명진. 2012. 퍼지모형과 GIS 를 활용한 기후변화 홍수취약성 평가-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3):119-136). 

  7. Kim, C.H., C.G. Song, Y.D. Hong, J.A. Ryu, S.H. Ryu and G.Y. Lim. 201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CGIS for the estimation of vulnerability index over Korea. The Korean Society of Climate Change Research 3(1):13-24 (김철희, 송창근, 홍유덕, 유정아, 류성현, 임광영. 2012. 한반도 기후변화 취약성 지수 산정을 위한 CCGIS의 개발 및 활용. 한국기후변화학회지 3(1):13-24). 

  8. Kim, Y.S and S.H. Lee. 2014. Improvement of vulnerability assessment to climate change using LCCGIS. The Korean Society of Climate Change Research 5(2):165-178(김영수, 이승훈. 2014. LCCGIS를 활용한 취약성 평가방법의 개선. 한국기후변화학회지 5(2):165- 178). 

  9.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Environmental Institute. 2014. Establishment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information utilization system (환경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4. 기후변화 적응 정보 공동 활용체계 구축). 

  10.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maps for loc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ning (환경부, 국립과학원. 2012.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세부시행계획 수립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취약성 지도). 

  11. Moss, R.H., A.L. Brenkert, and E.L. Malone. 2001.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 a quantitative approach. 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 operated by Batelle for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12. UNDP. 2005. Adaptation Police Framework for Climate Change Developing Strategies, Police and Meas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Yoo, G.Y. and I.H. Kim.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ex. Korea Environment Institute Research Report. p.97 (유가영, 김인애. 2008. 기후 변화 취약성 평가지표의 개발 및 도입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97 쪽). 

  14. Yoo, G.Y., S.W. Park, D.K. Chung, H.J. Kang, and J.H. Hwang. 201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ethodology for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sea level rise impact on a coastal city. Environmental Policy Research 9(2):185-2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