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필리핀의 한류수용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Reception of Hallyu in the Philippin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4, 2016년, pp.153 - 169  

허윤정 (동국대학교 사회학과) ,  송정은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SSK 글로컬문화와 지역발전연구단) ,  장원호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필리핀 한류 조사를 바탕으로, 필리핀의 한국에 대한 인식과 한국문화수용의 특징을 살펴보고 필리핀의 한류수용의 특징과 배경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필리핀 현지 대학생과 한국에 거주하는 필리핀인을 대상으로 FGI 조사, 문헌연구 및 통계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필리핀과 한국은 한류를 매개로 교류를 한층 강화하고 있지만, 한편 코피노 및 한국인 상대 범죄 등 갈등요소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필리핀인을 대상으로 한 한류연구는 향후 양국간 사회문화적 관계를 예측하는데 있어 중요한 변수가 된다. 본 연구는 필리핀 현지 대학생과 한국 거주 필리핀인의 한류 문화소비의 인식, 태도, 행동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두 집단 모두 '한국인과의 접촉경험'이 한국과 한국문화를 인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나타내었다. FGI 조사 참여자들은 한국드라마 관람, 한국어 공부, 그리고 주변 한국인과의 관계형성을 위해 노력하였다. 필리핀과 한국의 관계가 향상되기 위해서는 한류가 한국문화의 특징뿐만 아니라 보편적 문화로서의 가치를 높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필리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문화적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향후 한국문화의 전반을 아우르는 한류 3.0이 현지의 일상문화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receiving Hallyu based on the cognitions and attitudes toward Korea and Korean culture in the Philippines. With the background of Business Hallyu and Cultural Hallyu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s study conducted the Focus Group D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류의 확산과정은 무엇에 의해 3단계로 구분되는가? 한류의 확산과정은 한류의 유행시기 및 지역, 유행장르, 전달매체인 미디어에 의해 크게 3단계로 구분된다. 초기 한류는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중반까지 동북/동남아시아 지역에서 한국의 영화와 드라마가 유행한 한류 1.
일본과 비교하면 2000년대 중후반부터의 중국에서 반한류 움직임은 어떠했는가? 한편 중국에서 2000년대 중후반부터 인터넷에서 청년들이 “‘외래상품이나 외국문물을 배척하여 이겨낸다’라는 의미의 저제한류”적 움직임을 보였다. 이는 일본과 달리 반한감정에 의한 반한-류가 아니라 외래문화인 한류의 유행이 현지 문화분야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에 대한 경계심으로서의 반한-류라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신광철은 반한류를 해소하기 위해서 한류 수용국과의 공감대 형성과 경쟁이 아닌 공동발전방향을 모색하고, 해외에서 한국과 현지문화 간의 문화적 차이를 경험한 코리안 디아스포라에 대한 관심을 강조하였다.
문화란 무엇이라 정의되는가? 본 연구는 필리핀 현지인과 한국에 온 필리핀인들의 문화 수용의 차원을 이해하기 위해 관련된 문화 및 문화변용 등의 이론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베네딕트 (Benedic)의 문화 유형(Patterns of Culture)에서 문화는 인간 개개인의 생각과 행동의 일관된 유형이라고 정의 한다[11]. 또한 칙센트미하이(Csikszentmihaly)는<몰입(Flow)론>에서 문화란 “우연적이고 임의적인 요인들이 우리 경험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계된 방어기제”라고 규정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http://www.mcst.go.kr 

  2. 백종훈, "필리핀인의 한류 수용 특성이 한국산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예술경영연구, 제30집, pp. 141-183, 2014. 

  3. 임학순, "필리핀 청소년들의 K-pop 소비요인 및 영향인식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 20, No. 1, pp. 85-112, 2010. 

  4. Ikki Kim, Jung Eun Song, and Wonho Jang, "Toward a comprehensive approach to the Korean Wave," 2012 Conference The Korean Wave and Formation of Asian Cultural Community: 한류와 아시아 공동체 형성 발표 자료집, 2012. 

  5. 김은중, "세계화, 정체성, 다문화주의," 라틴아메리카연구, 제8권, 제1호, pp. 152-154, 2005. 

  6. 히라타 유키에, 한국을 소비하는 일본: 한류, 여성, 드라마, 서울, 책세상, 2005. 

  7. Doobo Shim, "Hybridity and the Rise of Korean Popular Culture in Asia," Media, Culture & Society, Vol. 28, No. 1, pp. 26-28, 2006. 

  8. Ikki Kim, Jung Eun Song, and Wonho Jang, "Anti-Hallyu in East Asia: The case of China, Japan, Vietnam, and Indonesia," Korean Journal of Sociology, Vol. 48, No. 3, pp. 1-24, 2014. 

  9. 송정은, 장원호, "인도네시아 한류의 의미 분석과 향후 발전방안 모색," 예술경영연구, 제26집, pp. 107-135, 2013. 

  10. 안남일, 인문학적 관점에서 본 한류3.0의 확산 전략,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4. 

  11. R. Benedict, Patterns of culture (Vol. 8), Boston, 2006. 

  12. Csikszentmihalyi, FINDING FLOW, HARPER, 1992. 

  13. Amartya Sen, Our Culture, Their Culture, Nandan, 1996. 

  14. 박정수, "세계화와 민족주의의 문화갈등: 한국과 중국 간의 한류와 반한류 사례 연구," 중소연구, 제37권, 1호, pp. 271-307, 2013. 

  15. Ik ki Kim, "Korea wave and anti-Hallyu in the East Asia," Conference of East Asian Sociologists, 2012. 

  16. Eun Hee Kim, “Discussion on the Hallyu by the Perspectives of China,” Discourse 201, Vol. 15, No. 4, pp. 235-55, 2012. 

  17. 한은경, 장우성, 이지훈, "반한류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16집, 제3호, pp. 217-235, 2007. 

  18. 이윤경, "반한류 현황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9. 

  19. 신광철, "한류와 인문학:"동력으로서의 인문학"과 "성찰시점으로서의 한류," 코기토, 제76호, pp. 67-91, 2014. 

  20. Sarah Domingo Lipura, "Korean Wave in Motion: Exploring the Potential of Hallyu in Bridging Peoples & Cultures-The Philippine Experience," Presented at 2014 Philippines-Korea Forum: Envisioning the Future Partnership between Korea and the Philippines within the ASEAN, p.36, 2014. 

  21. https://www.cesi.kedi.re.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