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노인의 성공적 노화 예측요인과 초월감의 매개효과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in Community-dwelling Elders and Mediation Effect of Transcendenc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4, 2016년, pp.582 - 593  

안지원 (극동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 초월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고령화 사회에서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함이다. 연구대상은 65세 이상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 162명이었으며, 자료분석은 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초월감, 자녀관계, 우울, 영성, 주관적 경제수준은 성공적 노화의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설명력은 77%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관계, 우울, 영성, 주관적 경제수준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초월감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지역사회 노인의 성공적 노화 수준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전략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노년기의 초월감에 대해 재조명할 수 있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and to determine mediating effect of transcendence between successful aging and influencing factors of community-dwelling elders in Korea. 162 eld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who visited seniors welfare center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영적 영역의 다양한 변인들과 함께 기존의 성공적 노화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던 초월감을 매개 변인으로 포함하여 성공적 노화와 관련된 간호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으며, 간호학적 관점에서의 노년기 초월감에 대한 개념과 중재 개발 등의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 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성공적 노화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초월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성공적 노화를 위한 간호중재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성공적 노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초월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지역사회 노인의 성공적 노화 영향요인으로는 초월감, 자녀관계, 우울, 영성, 주관적 경제수준으로 확인되었고, 변수들의 총 설명력은 77%였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성공적 노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초월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초월감은 노화에 따른 신체적 제한에 얽매이지 않게 하여 의미있는 활동에 참여하도록 해주며 사회적 고립감, 주변인의 죽음으로 인한 심리적 부담감이나 우울 등의 부정적 감정을 뛰어 넘도록 해주어 자연스럽고 긍정적인 노후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연구에서 성공적 노화의 예측요인으로 새로운 변인인 초월감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하지만 이를 확인한 선행연구는 아직 드물며, 본 연구결과를 확인하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겠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 노화 이론과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신체적, 심리적, 영적 측면을 포함한 일상생활 활동,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자기효능감, 배우자관계, 자녀관계, 영성, 초월감을 변인으로 고려하였으며, 관련 변인들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정도와 초월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고령화 사회에서의 지역사회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년기에 접어들면서 어떠한 부적정인 심리를 느끼게 되는가? 노년기는 건강악화, 직장에서의 은퇴, 생산성의 저하, 자녀의 독립 등으로 인하여 역할상실을 경험하게 되며 점차 신체적, 정신적 의존성이 증가되는 시기이다. 이제까지 가져왔던 인간관계 범위가 축소되고 소외감, 사회적 고립감, 우울 등을 느끼게 되며, 이러한 심리적 특성 들은 성공적 노화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 신체적 쇠약 뿐만 아니라 배우자와의 사별, 은퇴, 경제적 여건의 변화 등에서 오는 정서적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어 우울증이 증가하는 시기이며, 우울은 노인의 정신건강을 나타내는 지표이자 성공적 노화 증진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8].
2011년 통계청이 작성한 장래인구추계 결과에 따르면 2026년 노인 인구는 전체 인구의 몇 퍼센트인가? 0% 를 차지하면서 고령화 사회가 되었으며, 2018년에는 14.5%, 2026년에는 20.8%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되어 매우 빠른 속도로 초고령 사회에 도달할 전망이다[1]. 노인인구 비율의 증가는 전 세계적인 추세로 우리나라의 경우 특히 노인인구 증가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로 인한 고령자의 건강요구와 돌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2][3].
성공적 노화란 무엇인가? 최근에는 노인을 사회적으로 생산능력을 잃은 의존적인 존재로 보는 부정적 태도에서 벗어나 노인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변화된 상황에서 새로운 삶과 생산성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신노년학(new gerontology)이 주목을 받으면서[4]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성공적 노화(successful aging)는 연장된 노년기 삶 동안 건강과 안녕 (well-being)을 유지하는 것이며[5],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인 다양한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을 가짐으로써 삶의 만족감과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이다[3]. 성공적 노화는 신체적, 심리사회적, 정신적, 영적 건강을 모두 포함하는 다차원적 개념으로[6][7]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보편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변화들에 영향을 받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http://www.kostat.go.kr 

  2. 김은주, 김영희, "Successful Aging Theory (SAT)에 근거한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예측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7권, 제4호, pp. 378-387, 2011. 

  3. M. Flood, "A mid-range nursing theory of successful aging," The Journal of Theory Consturction & Testing, Vol. 9, No. 2, pp. 35-39, 2005. 

  4. M. B. Holstein and M. Minkler, "Self, society, and the "new gerontology," The Gerontologist, Vol. 43, No. 6, pp. 787-796, 2003. 

  5. 김은주, "노인의 성공적 노화 측정도구에 대한 요인 구성타당도 평가," 대한간호학회지, 제43권, 제4호, pp. 568-578, 2013. 

  6. T. D. Cosco, A. M. Prina, J. Perales, B. C. Stephan, and C. Brayne, "Operational definitions of successful aging: a systematic review," Int Psychogeriatr, Vol. 26, No. 3, pp. 373-381, 2014. 

  7. E. A. Phelan, L. A. Anderson, A. Z. LaCroix, and E. B. Larson, "Older adults' views of "successful aging"-how do they compare with researchers' definitions?,"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Vol. 52, pp. 211-216, 2004. 

  8. D. V. Jeste, G. N. Savla, W. K. Thompson, I. V. Vahia, D. K. Glorioso, A. S. Martin, B. W. Palmer, D. Rock, S. Golshan, H. C. Kraemer, and C. A. Depp, "Association between older age and more successful aging: critical role of resilience and depression.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 170, No. 2, pp. 188-196, 2013. 

  9. 한수정, 한진숙, 문영숙, "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지, 제21권, 제4호, pp. 423-434, 2009. 

  10. J. W. R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Vol. 37, No. 4, pp. 433-440, 1997. 

  11. 윤현숙, 유희정,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제18권, pp. 5-31, 2006. 

  12. 정여진, 안정신, "노인의 부부친밀감과 성공적 노화간의 관계에 대한 자녀애착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제32권, 제1호, pp. 185-206, 2012. 

  13. 김순이, 이정인, "재가노인의 자기초월, 영적안녕, 죽음불안,"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7권, 제3호, pp. 480-489, 2013. 

  14. M. R. Crowther, M. W. Parker, W. A. Achenbaum, W. L. Larimore, and H. G. Koenig, "Rowe and Kahn's model of successful aging revisited: positive spirituality the forhatten factor," The Gerontologist, Vol. 42, No. 5, pp. 613-620, 2002. 

  15. P. G. Reed, "Self-transcendence and mental health in oldest-old adults," Nursing Research, Vol. 40, pp. 5-11, 1991. 

  16. L. M. Wayman and H. L. Gaydos, "Self-transcending through suffering,"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Nursing, Vol. 7, No. 5, pp. 263-270, 2005. 

  17. L. Tornstam, "Gerotranscendence: The contemplative dimension of aging," Journal of Aging Studies, Vol. 11, No. 2, pp. 143-154, 1997. 

  18. V. L. McCarthy, J. Ling, and R. M. Carini, "The role of self-transcendence: a missing variable in the pursuit of successful aging?," Research in Gerontological Nursing, Vol. 6, No. 3, pp. 178-186, 2013. 

  19. C. Depp and D. Jeste, "Definitions and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a comprehensive review of larger quantitative studies,"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 14, No. 1, pp. 6-20, 2006. 

  20. 신영희, 이혜정, "일 도시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 관련 요인," 한국노년학, 제29권, 제4호, pp. 1327-1340, 2009. 

  21. 김수현, 김윤정, "노년기 여가활동참여와 성공적 노화 인식간의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5권, 제4호, pp. 3-23, 2011. 

  22. F. Franz,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 41, No. 4, pp. 1149-1160, 2009. 

  23. 원장원, 양금열, 노용균, 김수영, 이은주, 윤종률, 조경환, 신호철, 조비룡, 오정렬, 윤도경, 이홍순, 이영수, "한국형 일상생활 활동 측정도구 (K-ADL)와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 구(K-ADL)의 개발," 노인병, 제6권, 제2호, pp. 107-120, 2002. 

  24. J. I. Sheikh and J. A. Yesavage,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Clinical Gerontology, Vol. 5, No. 1/2, pp. 165-173, 1986. 

  25. 기백석, "한국판 노인우울 척도의 표준화 예비연구," 신경정신의학, 제36권, 제6호, pp. 1875-1883, 1996. 

  26. R. Schwarzer and M. Jerusalem, "Generalized Self-Efficacy scale. In J. Weinman, S. Wright, & M. Johnston, Measures in health psychology: A user's portfolio," Causal and control beliefs. Windsor, England: Nfer-Nelson.1995. 

  27. 박경민,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노년기 우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28. 정현숙, "한국형 결혼만족도척도 개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39권, 제12호, pp. 205-224, 2001. 

  29. 유민지, 노년기 가족관계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30. 한동희, 노인의 가정내 역할과 자녀와의 유대관계,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31. S. S. Kim, P. G. Reed, Y. Kang, and J. Oh, "Translation and Psychometric Testing of the Korean Versions of the Spiritual Perspective Scale and the Self-transcendence Scale in Korea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2, No. 7, pp. 974-983, 2012. 

  32. 김동배,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0권, pp. 211-231, 2008. 

  33.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1, pp. 1173-1182, 1986. 

  34. 전보영,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생산적 활동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5. 윤민석, "노화에 대한 재해석 : 노년초월 이론과 9단계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32권, 제2호, pp. 431-446, 2012. 

  36. 정영숙, 조설애, 안정신, 정여진, "한국 노인의 삶의 의미 원천으로서 가족관계와 자기초월가치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발달, 제25권, 제1호, pp. 19-41, 2012. 

  37. S. Torres, "A preliminary empirical test of a culturally-relevant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study of successful aging," Journal of crosscultural gerontology, Vol. 18, No. 1, pp. 79-100, 2003. 

  38. W. J. Strawbridge, S. J. Shema, R. D. Cohen, R. E. Robert, and G. A. Kaplan, "Religiosity buffers effects of some stressors on depression but exacerbates others,"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 Vol. 53B, No. 3, pp. S118-S126, 1988. 

  39. 정순화, 임정하,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영성의 관련성 탐색," 인간발달연구, 제20권, 제4호, pp. 59-79, 2013. 

  40. 오복자, 김영현, "영적중재의 신체적, 심리적, 영적 효과크기에 대한 메타분석," 대한간호학회지, 제42권, 제6호, pp. 833-842, 2012. 

  41. 소희영, "ICF 모델에 근거한 노인의 삶의 질 예측 모형," 대한간호학회지, 제41권, 제4호, pp. 481-490, 2011. 

  42. 김명숙, 고종욱, "노인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통합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 246-259, 2013. 

  43. 김남희, 최수일, "여성 노인의 신체적, 사회적 특성이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 241-252,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