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후천성 뇌손상 환자의 화용언어와 집행기능 간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Pragmatic Language and Execu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Acquired Brain Injur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5, 2016년, pp.58 - 67  

이미숙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언어재활(치료) 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후천성 뇌손상(ABI) 환자의 인지-언어 능력은 하위 영역 간 상호작용의 맥락에서 고려되어야 하는데, 특히 화용언어는 통합적 인지 처리를 관장하는 집행기능과 직결된다. 본 연구에서는 ABI 환자를 대상으로 화용언어와 집행기능 간의 상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55세 이상의 ABI 환자군 35명(뇌졸중에 의한 실어증 21명, TBI 14명)을 대상으로 화용언어와 집행기능 관련 5개 하위 과제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어증 집단은 비유언어 이해 및 기능/상징언어가 실행화 과제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고, TBI 집단은 모든 과제 간에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실어증 집단의 비유언어 이해는 실행화, 그리고 TBI 집단의 비유언어 표현과 기능/상징언어는 각각 계획화와 실행화를 가장 잘 예측하는 과제였다. 본 연구를 통해 ABI 이후의 인지-언어적 중재 시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화용언어 및 집행기능 과제들을 제시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agmatic language impair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patients with acquired brain injury(ABI).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correlation between two domains following ABI. Thirty-five participants with ABI were grouped into 21 aphasics due to stroke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를 통해 ABI 환자의 화용언어와 집행기능 간 상관성을 살펴봄으로써 임상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인지-언어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ABI 환자를 대상으로 화용언어와 집행기능 간의 상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BI 환자군을 뇌졸중으로 인한 실어증 및 TBI로 분류한 후 이들의 화용언어와 집행기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화용 언어와 집행기능의 하위 영역을 고루 포함하고 있는 도구를 활용함으로써 양자 간 상관성을 보다 세부적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특히, 화용언어의 경우 속담, 은유, 모순 등 하위 영역의 이해 및 표현 능력을 다양하게 포함하고 있어 본 연구 결과의 타당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상관성에 관한 근거가 제한적인 경우가 많았으나, 본 연구를 통해 양자 간 상관성을 하위 영역별로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용언어는 무엇인가? 화용언어는 언어적, 인지적, 운동감각적 과정의 상호작용에 의한 기능적 및 맥락적 언어 사용을 의미한다[7]. 여기에는 속담, 은유, 모순 등의 비유언어나 일상생활의 기능적이고 상징적인 언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이 포함된다[8].
TBI 환자에게 맥락을 벗어난 질문, 자기중심적 대화, 부적절한 비유나 유머의 사용, 표현의 양적 또는 질적 문제 등이 빈번하게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TBI 환자는 화용언어를 표현하는 데 있어 결함을 보이는데, 맥락을 벗어난 질문, 자기중심적 대화, 부적절한 비유나 유머의 사용, 표현의 양적 또는 질적 문제 등이 빈번하게 나타난다[46]. 이는 단지 언어 능력의 저하 때문이 아니라 인지적 요소의 영향이 크다. 특히, 목표나 맥락에 부합하는 언어의 사용을 통제하는 집행기능의 결함에 기인한다[47]. 예컨대, TBI 이후에는 충동적이거나 유연하지 못한 사고를 하는 경향이 있고 반응과 행동을 계획하고 조절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은유, 모순, 반어, 관용어구 등을 산출하는 능력이 현저히 떨어진다[8][47].
ABI의 원인 질환은 무엇인가? 천성 뇌손상(Acquired Brain Injury, 이하 ABI)이란 유전적 또는 선천적 장애가 아닌 후천적 원인에 의해 뇌가 손상된 경우를 의미한다[1]. ABI의 원인 질환에는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의한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 이하 TBI)과 뇌졸중, 뇌종양, 감염, 중독 등으로 인한 비외상성 뇌손상이 포함된다[1]. 파킨슨병, 알쯔하이머병, 헌팅턴병 등 신경퇴행성(neurodegenerative) 질환에 기인한 손상은 ABI의 범주에서 제외된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http://www.obia.ca/, "What is acquired brain injury". 

  2. http://www.Neurodegenerationresearch.eu/, "What is neurodegenerative disease?". 

  3. The Consortium for the Study of Programs for the Brain Injured in the California Community Colleges, The ABI handbook, serving students with acquired brain injuries in higher education, CA: California Community Colleges, 1997. 

  4. R. C. Martin and C. M. Allen, "A disorder of executive function and its role in language processing," Seminars in Speech and Language, Vol.29, No.3, pp.201-210, 2008. 

  5. G. Ramsburger, "Preface," Seminars in Speech and Language, Vol.21, No.2, p.93, 2000. 

  6. M. Purdy, "Executive function ability in persons with aphasia," Aphasiology, Vol.16, No.4/5/6, pp.549-557, 2002. 

  7. M. R. Perkins, "Pragmatic ability and disability as emergent phenomena," Clinical Linguistics and Phonetics, Vol.19, pp.367-377, 2005. 

  8. 이미숙, 김향희,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화용언어 능력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호, 제2권, pp.370-377, 2013. 

  9. J. Douglas, C. Bracy, and P. Snow, "Exploring the factor structure of the La Trobe Communication Questionnaire: insights into the nature of communication deficits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Aphasiology, Vol.21, pp.1181-1194, 2007. 

  10. S. Channon and M. Watts, "Pragmatic language interpretation after closed head injury: relationship to executive functioning," Cognitive Neuropsychiatry, Vol.8, pp.243-260, 2003. 

  11. J. M. Douglas, "Relation of executive functioning to pragmatic outcome following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53, No.2, pp.365-382, 2010. 

  12. E. Miller, "The prefrontal cortex and cognitive control," Nature Reviews Neuroscience, Vol.1, No.1, pp.59-65, 2000. 

  13. R. Busch, A. McBride, G. Curtiss, and R. Vanderploeg, "The components of executive functioning in traumatic brain injury,"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Vol.27, pp.1022-1032, 2005. 

  14. D. Stuss and M. Alexander, "Does damage to the frontal lobes produce impairment in memor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Vol.14, pp.84-88, 2005. 

  15. F. G. Yang, "Figurative language processing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in adults: a preliminary study," Neuropsychologia, Vol.48, No.7, pp.1923-1929, 2010. 

  16. N. Helm-Estabrooks and N. B. Ratner, "Executive functions: what are they and why do they matter? description, disorders, management," Seminars in Speech and Language, Vol.21, No.2, pp.91-92, 2000. 

  17. O. Yeung, S. P. Law, and M. Yau, "Treatment generalization and executive control processes: preliminary data from Chinese anomic individual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Vol.44, No.5, pp.784-794, 2009. 

  18. J. Kim, J. Whyte, T. Hart, M. Vaccaro, M. Polansky, and H. Coslett, "Executive function as a predictor of inattentive behavior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Vol.11, pp.434-445, 2005. 

  19. A. Miyake, N. Friedman, M. Emerson, A. Witzki, A. Howerter, and T. Wager, "The unity and diversity of executive functions and their contributions to complex 'frontal lobe' tasks: a latent variable analysis," Cognitive Psychology, Vol.41, pp.49-100, 2000. 

  20. K. Youse and C. Coelho, "Working memory and discourse production abilities following closed head injury," Brain Injury, Vol.19, pp.1001-1009, 2005. 

  21. C. Coelho, K. Youse, and K. Le, "Conversational discourse in closed head- injured and non-brain-injured adults," Aphasiology, Vol.16, pp.659-672, 2002. 

  22. 김향희, 나덕렬, 파라다이스.한국판-웨스턴 실어증 검사, 서울: 파라다이스 복지재단, 2001. 

  23. B. R. Bigler, "Critical care nursing. expanding roles and responsibilities within the community," Critical Car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Vol.2, pp.493-502, 1990. 

  24. J. Whyte, D. Cifu, S. Dikmen, and N. Temkin, "Prediction of functional outcomes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a comparison of 2 measures of duration of unconsciousnes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2, pp.1355-1359, 2001. 

  25. P. Green, M. L. Rohling, G. L. Iverson, and R. O. Gervais, "Relationships between olfactory discrimination and head injury severity," Brain Injury, Vol.17, pp.479-496, 2003. 

  26. C. H. Salmond, D. A. Chatfield, D. K. Menon, J. D. Pickard, and B. J. Sahakian, "Cognitive sequelae of head injury: involvement of basal forebrain and associated structures," Brain, Vol.128, pp.189-200, 2005. 

  27. L. Himanen, R. Portin, H. Isoniemi, H. Helenius, T. Kurki, and O. Tenovuo, "Longitudinal cognitive changes in traumatic brain injury: a 30-year follow-up study," Neurology, Vol.66, pp.187-192, 2006. 

  28. http://www.ClinicalTrials.gov/, "Effect of Namenda on short term memory and attention in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traumatic brain injury". 

  29. 강연욱, "K-MMSE의 노인 규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일반), 제25권, 제2호, pp.1-12, 2006. 

  30. 이미숙, 김향희, "노년층의 인지-화용언어 능력평가: 평가도구 및 내용타당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280-292, 2012. 

  31. 이미숙,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화용언어 능력에 대한 평가도구 개발 및 적용,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32. D. R. Dawson, N. D. Anderson, M. A. Binns, C. Bottari, T. Damianakis, A. Hunt, H. J. Polatajko, and M. Zwarenstein, "Managing executive dysfunction following acquired brain injury and stroke using an ecologically valid rehabilitation approach: a study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rials, Vol.14, p.306, 2013. 

  33. M. Laine and N. Martin, "Cognitive neuropsychology has been, is, and will be significant to aphasiology," Aphasiology, Vol.26, No.11, pp.1362-1376, 2012. 

  34. N. J. Donovan, D. L. Kendall, S. C. Heaton, S. Kwon, C. A. Velozo, and P. W. Duncan, "Conceptualizing functional cognition in stroke,"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Vol.22, No.2, pp.122-135, 2008. 

  35. G. M. Nys, M. J. van Zandvoort, P. L. de Kort, H. B. van der Worp, B. P. Jansen, A. Algra, E. H. de Haan, and L. J. Kappelle, "The prognostic value of domain-specific cognitive abilities in acute first-ever stroke," Neurology, Vol.64, pp.821-827, 2005. 

  36. K. Helmick,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military personnel with mild traumatic brain injury and chronic post-concussional disorder: results of April 2009 consensus conference," NeuroRehabilitation, Vol.26, No.3, pp.239-255, 2010. 

  37. L. Togher, S. McDonald, C. Code, and S. Grant, "Training communication partners of people with traumatic brain injur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phasiology, Vol.18, No.4, pp.313-335, 2004. 

  38. M. R. Kennedy, J. Ponsford, J. Douglas, D. Velikonja, M. Bayley, and M. Stergiou-Kita, "INCOG recommendations for management of cognition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part III: executive function and self-awareness," Journal of Head Trauma Rehabilitation, Vol.29, No.4, pp.338-352, 2014. 

  39. L. Rees, S. Marshall, C. Hartridge, D. Mackie, and M. Weiser, "Cognitive interventions post acquired brain injury," Brain Injury, Vol.21, No.2, pp.161-200, 2007. 

  40. N. Helm-Estabrooks, "Cognition and aphasia: a discussion and a study,"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Vol.35, pp.171-186, 2002. 

  41. M. Vukovic, J. Vuksanovic, and I. J. Vukovic, "Comparison of the recovery patterns of language and cognitive functions in patients with post-traumatic language processing deficits and in patients with aphasia following a stroke,"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Vol.41, No.6, pp.531-552, 2008. 

  42. J. V. Baldo, N. F. Dronkers, D. Wilkins, C. Ludy, P. Raskin, and J. Kim, "Is problem solving dependent on language?," Brain and Language, Vol.92, No.3, pp.240-250, 2005. 

  43. C. S. Prat, R. A. Mason, and M. A. Just, "An fMRI investigation of analogical mapping in metaphor comprehension: the influence of context and individual cognitive capacities on processing demand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Vol.38, No.2, pp.282-294, 2012. 

  44. J. Zinken, "Discourse metaphors: The link between figurative language and habitual analogies," Cognitive Linguistics, Vol.18, pp.445-466, 2007. 

  45. L. Emery, S. Hale, and J. Myerson, "Age differences in proactive interference, working memory, and reasoning," Psychology and Aging, Vol.23, No.3, pp.634-645, 2008. 

  46. S. McDonald, S. Flanagan, I. Martin, and C. Saunders, "The ecological validity of TASIT: a test of social perception. Neuropsychological Rehabilitation, Vol.14, pp.285-302, 2004. 

  47. S. McDonald, A. Gowland, R. Randall, A Fisher, K. Osborne-Crowley, and C. Honan, "Cognitive factors underpinning poor expressive communication skills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theory of mind or executive function?," Neuropsychology. Vol.28, No.5, pp.801-811, 2014. 

  48. D. Wilson, "New directions for research on pragmatics and modularity," Lingua, Vol.115, pp.1129-1146, 2005. 

  49. C. Bracy and J. Douglas, "Marital dyad perceptions of injured partners' communication following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Brain Impairment, Vol.6, pp.1-12, 2005. 

  50. S. O. Demir, N. Altinok, G. Aydin, and F. Koseoglu, "Functional and cognitive progress in aphasic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during post-acute phase," Brain Injury, Vol.20, pp.1383-1390, 2006.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