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식품안전에 대한 위생 지식, 태도, 식품취급 행동을 파악함으로써 식품안전 위험요인을 진단하여 노인을 위한 식생활 안전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도시와 농촌지역의 65세 이상 노인 400명을 대상으로 2011년 4월 13일부터 28일까지 진행되었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58부를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응답자의 83.6%가 65세~80세, 69.5%가 단독거주 또는 노인 부부였으며, 49.2%가 50만 원 미만의 수입이었다. 노인들의 식품위생 지식은 '장을 볼 때 라면보다 냉동 오징어를 먼저 구입해야 한다'(도시 60.5%, 농촌 42.0%, P<0.001), '귤을 씻어서 먹어야 한다'(도시 75.4%, 농촌 49.7%, P<0.001), '간 쇠고기로 만든 고기완자전은 내부까지 완전히 익혀 먹어야 한다'(도시 95.4%, 농촌 90.2%, P<0.001)의 항목에서 도시 노인이 농촌 노인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지식을 보였다. 식품위생 태도는 '나물은 맨손으로 무쳐야 맛이 좋다'(도시 34.9%, 농촌 33.2%, P<0.05)의 문항에서 도시 노인이 올바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먼저 구입한 식품을 먼저 먹으려고 한다'(도시 88.2%, 농촌 92.1%, P<0.001), '냉장고에 있는 음식이 조금이라도 이상하다고 느끼면 버리려고 한다'(도시 84.1%. 농촌 91.4%, P<0.001), '불고기를 조리할 때 고기가 완전히 익었는지 확인을 하려고 한다'(도시 88.8%, 농촌 87.8%, P<0.05), '돼지고기를 굽던 젓가락과 식사에 사용하는 젓가락을 구분하려고 한다'(도시 78.5%, 농촌 70.6%, P<0.001)의 문항에서 도시 노인과 농촌 노인의 태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점심때 밖에서 사 온 김밥을 식탁 위에 두었다가 저녁에 먹을 경우 상했을지 걱정을 한다'(도시 82.6%, 농촌 86.5%, P<0.05), '날달걀은 영양이 풍부하고 건강에 좋아서 마시는 것을 선호한다'(도시 71.8%, 농촌 76.7%, P<0.05), '생굴을 먹을 때 배탈이 날까 걱정을 한다'(도시 53.9%, 농촌 64.2%, P<0.05)의 문항에서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식품위생 행동 분석 결과 대부분의 노인이 화장실에 다녀온 후, 외출에서 돌아온 후, 식사하기 전에는 손을 씻는다고 응답하였으나, 조리하는 도중 다른 일을 하고 다시 조리하게 될 경우 손을 씻는다고 응답한 노인은 도시 거주 노인(67.9%), 농촌 거주 노인(58.7%)으로 조사되었다. 생쇠고기를 자른 후 채소를 잘라야 할 때 도마세척 방법은 '흐르는 물로 도마를 닦는다'의 응답이 가장 많았다. '얼린 냉동고기를 해동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싱크대 위 또는 식탁 위에서 해동시킨다'고 45명(33.8%)이 응답하였고,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40명(39.6%)이 응답하였다. 노인들이 얼린 냉동고기를 해동하는 방법으로 싱크대 위나 식탁 위에서 해동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해동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식중독의 위험성에 대해 인지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노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은 물론 건강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학습동기 강화프로그램을 접목하거나 일회성이 아닌 지속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는 남성 노인의 비율보다 여성 노인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으며, 설문조사가 복지관을 중심으로 수행되어 노인들이 경제적으로 여유롭지 못한 경우가 많아 중산층 이상의 일반노인들에게 확대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의 식품안전 문제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ood safety knowledge, food safety attitudes, and handling behavior in the elderl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58 individuals over 65 years old in urban and rural areas.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analysis and ${\chi}^2$ test analy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들의 가정 내 식품취급관리 실태와 식품위생 지식, 식품위생 태도를 조사하여 식품안전 위험요인을 규명하여 노인을 위한 식생활 안전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들의 식품관리는 어떻게 행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가? 소비자들의 식품관리는 위생 지식이 낮은 소비자들이 더 위험한 식품관리 행동을 보인다(10). 특히, 노인들은 일반 소비자보다 비위생적으로 식품을 관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되었다(11). 노인들을 대상으로 위생 지식을 평가한 연구에서는 손 씻기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였고, 위생 지식과 수행도와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2). 한편 많은 연구에서 식중독은 가정 내 주방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13-15).
식중독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장소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위생 지식을 평가한 연구에서는 손 씻기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였고, 위생 지식과 수행도와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2). 한편 많은 연구에서 식중독은 가정 내 주방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13-15). 미국 노인집단의 경우 일반적으로 안전한 식품 취급 기준과 함께 더욱 엄격한 가이드라인이 요구되고 있으며, 노인과 같은 특정 집단을 위한 식품안전 매체와 도구를 개발하여 교육을 수행하고 있다(9,16).
우리나라 노인들이 경험하는 가장 어려운 문제는? 이렇듯 급속한 고령 인구의 증가는 인구 구조의 변화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차원의 중요한 문제이며, 우리나라 노인들이 경험하는 가장 어려운 문제는 경제적인 문제와 건강 문제로 조사되었다(3,4). 노인은 나이 증가에 따른 신체적 약화를 경험하기 때문에 다른 어떤 시기보다 건강 유지가 어렵고 많은 주의가 필요한 시기이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Statistics Korea. 2012.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2010-2060 (based on the 2010 census).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01B18&vw_cdMT_ZTITLE&list_idA41_10_20&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 (accessed Nov 2015). 

  2. United Nations. 2013. World population ageing 2013. http://www.un.org/en/development/desa/population/publications/pdf/ageing/WorldPopulationAgeing2013.pdf (accessed Aug 2015). 

  3. Oh JY, Sung YA. 2010.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care expenditure of elderly households: focused on the elderly single and elderly couple households. J Korean Home Manag Assoc 28: 159-174. 

  4. Lee KE, Yom YH, Han JH. 2012. Effects of perceived health status, leisure satisfaction and loneliness on life satisfaction for elderly people. J Korean Acad Fundam Nurs 19: 483-492. 

  5. Shim Y. 1997. An analysis on health expenditures of the elderly -focused on the elderly in Chungbuk-. J Korean Home Manag Assoc 15: 1-13. 

  6.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5. 2014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45020000 (accessed Nov 2015). 

  7. Smith JL. 1998. Foodborne illness in the elderly. J Food Prot 61: 1229-1239. 

  8. Kendall PA, Hillers VV, Medeiros LC. 2006. Food safety guidance for older adults. Clin Infect Dis 42: 1298-1304. 

  9. McCabe-Sellers BJ, Beattie SE. 2004. Food safety: Emerging trends in foodborne illness surveillance and prevention. J Am Diet Assoc 104: 1708-1717. 

  10. Almanza BA, Namkung Y, Ismail JA, Nelson DC. 2007. Clients' safe food-handling knowledge and risk behavior in a home-delivered meal program. J Am Diet Assoc 107: 816-821. 

  11. Hanson JA, Benedict JA. 2002. Use of the Health Belief Model to examine older adults' food-handling behaviors. J Nutr Educ Behav 34: S25-S30. 

  12. Lee KE, Yi NY, Park JY. 2009. Food safety knowledge and home food safety practices of home-delivered meal service recipi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618-625. 

  13. Bryan FL. 1988. Risks of practices, procedures and processes that lead to outbreaks of foodborne diseases. J Food Prot 51: 663-673. 

  14. Scott E. 1996. Foodborne disease and other hygiene issues in the home. J Appl Bacteriol 80: 5-9. 

  15. Redmond EC, Griffith CJ. 2003. Consumer food handling in the home: a review of food safety studies. J Food Prot 66: 130-161. 

  16. Medeiros LC, Hillers VN, Chen G, Bergmann V, Kendall P, Schroeder M. 2004. Design and development of food safety knowledge and attitude scales for consumer food safety education. J Am Diet Assoc 104: 1671-1677. 

  17. Crockett SJ, Heller KE, Skauge LH, Merkel JM. 1992. Mailed-home nutrition education for rural seniors: A pilot study. J Nutr Educ 24: 312-315. 

  18. Yang IS, Lee JM, Chae IS. 1998. Nutrition knowledge and attitude analysis of elderly people for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J Korean Diet Assoc 4: 76-87. 

  19. Jang JY, Kim MJ, Han JS. 2009. A study on food frequency,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elderly who intake high sodi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362-1372. 

  20. Hong SM, Choi SY. 1996. A study on meal management and nutrient intake of the elderl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1055-1061. 

  21. Song ES, Kim EJ, Kim MH, Choi MK. 2011.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life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ly persons at nursing home or their home in Chungnam. J East Asian Soc Diet Life 21: 649-660. 

  22. Kim Y, Seo S, Kwon O, Cho MS. 2012. Comparisons of dietary behavior, food intake, and satisfaction with food-related life between the elderly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Korean J Nutr 45: 252-263. 

  23. Lee YJ, Kwon MK, Baek HJ, Lee SS. 2015. Comparative analysis of food intake according to the family type of elderly women in Seoul area. J Nutr Health 48: 277-288. 

  24. Yim KS. 1998.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an attendee in an elderly nutrition education program -using the factors of health promotion model-. Korean J Community Nutr 3: 609-621. 

  25. Bae JS, Kim MH, Kim SB. 2013.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personalized lunch service program for elderly at senior welfare center in Jeonju. Korean J Community Nutr 18: 65-76. 

  26. Park JY, Lee KE, Yi NY, Kwak TK. 2010. Clients' handling and consumption of home-delivered meals at home and their perceptions on home-delivered meal services for older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15: 379-392. 

  27. McCarthy M, Brennan M, Kelly AL, Ritson C, de Boer M, Thompson N. 2007. Who is at risk and what do they know? Segmenting a population on their food safety knowledge. Food Qual Prefer 18: 205-217. 

  28. Jev?nik M, Hlebec V, Raspor P. 2008. Consumers' awareness of food safety from shopping to eating. Food Control 19: 737-745. 

  29. Talas C, Ucar A, Ozfer Ozcelik A. 2010. Attitudes of women towards food safety. Br Food J 112: 1115-1123. 

  30. Osaili TM, Obeidat BA, Jamous DOA, Bawadi HA. 2011. Food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among college female students in North of Jordan. Food Control 22: 269-276. 

  31. Walter A, Cohen NL, Swicker RC. 1997. Food safety training needs exist for staff and consumers in a variety of community- based hom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 Am Diet Assoc 97: 619-625. 

  32. Gettings MA, Kiernan NE. 2001. Practices and perceptions of food safety among seniors who prepare meals at home. J Nutr Educ 33: 148-154. 

  33. Cody MM, Hogue MA. 2003. Results of the home food safety - It's in your hands 2002 survey: Comparisons to the 1999 benchmark survey and healthy people 2010 food safety behaviors objective. J Am Diet Assoc 103: 1115-1125. 

  34. Sharif L, Al-Malki T. 2010.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Taif University students on food poisoning. Food Control 21: 55-60. 

  35. Kang NE, Lee JY. 2005. The analysis of effect on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in Sung-nam area. Korean J Food & Nutr 18: 357-366. 

  36. Kim MS, Kim JY. 2012.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material for nutrient intake and prevention of disease and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for the elderly -focused on items related to health and nutrients intak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3: 467-478. 

  37. Jay LS, Comar D, Govenlock LD. 1999. A national Australian food safety telephone survey. J Food Prot 62: 921-928. 

  38. Buzby JC. 2002. Older adults at risk of complications from microbial foodborne illness. Food Rev 25: 30-35. 

  39. Altekruse SF, Street DA, Fein SB, Levy AS. 1996. Consumer knowledge of foodborne microbial hazards and food-handling practices. J Food Prot 59: 287-294. 

  40. Koo NS, Kim JM. 2009.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food hygiene. Korean J Human Ecology 18: 769-773. 

  41. Kim KD, Lee JY. 2010. A survey on the housewives' purchasing behavior and needs for food safety inform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392-398. 

  42. Montville R, Chen Y, Schaffner DW. 2002. Risk assessment of hand washing efficacy using literature and experimental data. Int J Food Microbiol 73: 305-313. 

  43. Patil SR, Cates S, Morales R. 2005. Consumer food safety knowledge, practices, and demographic differences: findings from a meta-analysis. J Food Prot 68: 1884-1894. 

  44. Byrd-Bredbenner C, Abbot JM, Wheatley V, Schaffner D, Bruhn C, Blalock L. 2008. Risky eating behaviors of young adults - implications for food safety education. J Am Diet Assoc 108: 549-552. 

  45. Kendall P, Medeiros LC, Hillers V, Chen G, Dimascola S. 2003. Food handling behaviors of special importance for pregnant women,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elderly, and immune-compromised people. J Am Diet Assoc 103: 1646-1649. 

  46. Pak JY, Choi EH, Choi JH, Shim SK, Park HS, Park KH, Moon HK, Ryu K. 2009. Assessment of consumer's food safety perceptions and practices. J Fd Hyg Safety 24: 1-11. 

  47. Wilcock A, Pun M, Khanona J, Aung M. 2004. Consumer attitudes, knowledge and behaviour: a review of food safety issues. Trends Food Sci Technol 15: 56-66. 

  48. Badrie N, Gobin A, Dookeran S, Duncan R. 2006. Consumer awareness and perception to food safety hazards in Trinidad, West Indies. Food Control 17: 370-377. 

  49. Willamson DM, Gravani RB, Lawless HT. 1992. Correlating food safety knowledge with home food-preparation practices. Food Technol 46: 94-1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