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기암환자의 섬망으로 인한 진정제 투약과 생존기간에 관한 후향적 코호트 연구
Retrospective Cohort Study on the Administration of Sedative for Delirium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nd Survival Time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9 no.2, 2016년, pp.119 - 126  

박형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김대숙 (부산대학교병원) ,  배은희 (부산대학교병원) ,  김정림 (부산대학교병원) ,  서정화 (부산대학교병원) ,  윤정미 (부산대학교병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섬망이 있는 말기암환자에 있어 진정제의 투약 투약 관련 특성을 파악하고, 진정제 투약군과 비투약군 간의 생존기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2012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B 광역시 소재 P대학교병원에서 응급실과 수술실, 중환자실을 제외한 병동에서 임종한 암환자 900명 중 경과기록지, 간호기록지를 통해 섬망선별 도구인 Nu-DESC를 이용하여 섬망이 있었던 말기암환자 24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투약기록지를 통해 진정제인 haloperidol, diazepam, lorazepam을 정맥 또는 근육주사로 규칙적이거나 필요 시 투여한 횟수를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의 섬망기간은 최소 1일에서 최대 61일까지 나타났고, 중앙값은 5일이었다. 연구 대상자에게서 나타난 섬망 특성은 부적절한 행동이 35.0%로 가장 많았다. 연구 대상자의 연령(F=3.96, P=0.021), 원발암의 종류(F=3.31, P=0.010), 항암치료 여부(t=-3.44, P=0.001)에 따른 섬망기간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 대상자가 진정제를 복용한 경우는 72.1%이었고, 투약된 진정제의 종류는 haloperidol이 59.6%로 가장 많았다. 진정제 투약군의 생존기간은 평균 16.85일, 비투약군은 9.37일로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아(t=1.766, P=0.079) 진정제 투약이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결론: 말기암환자의 섬망 발생 시 진정제 투약이 생존기간에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생명단축의 윤리적 문제로 인해 진정제 사용을 꺼려하기 보다는 증상완화를 위한 진정제 치료를 적극적으로 권유할 수 있다. 또한 섬망은 가족이나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장애를 유발할 뿐 아니라 환자나 가족들에게 스트레스로 작용하며 돌봄에 대한 부담감을 가중시키므로, 적절한 진정제의 투여는 말기암환자와 가족의 안위를 위해 적극적으로 추천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in survival time of patients with delirium according to sedative medication. Methods: From January 2012 through December 2013,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performed using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m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섬망이 있는 말기암환자에게 나타나는 섬망의 특성과 진정제 투약 유무, 진정제 투약 유무에 따른 섬망 환자 간의 생존기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다학제적 접근으로 말기암환자의 섬망 중재 시 적절한 진정제 투약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말기암환자란 누구인가 말기암환자란 적극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근원적인 회복의 가능성이 없고 점차 증상이 악화되어 몇 개월 내에 사망할 것으로 예상되는 암환자를 말한다(2). 의학 기술의 발달로 암 치료방법도 다양해지고 있으나 말기 암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은 암의 진행으로 인한 여러 가지 육체적, 정신적 증상들로 고통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여러 가지 증상들은 대부분의 암환자들이 바라는 편안하게 삶을 마감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3).
말기암에 가까워질수록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가? Chiu 등(4)은 특히 말기암환자가 참기 어려워하는 증상들에는 통증, 허약감, 섬망, 호흡곤란, 오심 및 구토 등이 있으며, 임종이 가까울수록 더욱 악화된다고 하였다. 암의 단계가 진행될수록 기분의 저하, 불안정과 같은 정신적 증상이 많았으며(5), 특히 완화의료를 받은 환자의 20∼70%가 섬망이 나타나며, 임종 48시간 내 거의 대부분 90∼95%가 경험하고 있다(6). 그 중 말기암환 자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섬망은 광범위한 인지기능의 장애와 정신병증, 수면각성주기 붕괴, 지각장애, 사고장애, 언어기능장애 및 기분 불안정성 등 다양한 증상을 동반하는 신경정신과적 증후군이다(7).
말기암환자가 참기 어려워하는 증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Chiu 등(4)은 특히 말기암환자가 참기 어려워하는 증상들에는 통증, 허약감, 섬망, 호흡곤란, 오심 및 구토 등이 있으며, 임종이 가까울수록 더욱 악화된다고 하였다. 암의 단계가 진행될수록 기분의 저하, 불안정과 같은 정신적 증상이 많았으며(5), 특히 완화의료를 받은 환자의 20∼70%가 섬망이 나타나며, 임종 48시간 내 거의 대부분 90∼95%가 경험하고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National Cancer Registration and Statistics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cited 2013 Jan 20]. Available from: https://ncrs.cancer.go.kr/index.do. 

  2. Cancer control Act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cited 2012 Arp 10]. Available from: http://www.lawkorea.com. 

  3. Lee HR. Management of non-pain symptoms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based on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Guideline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3;16:205-15. 

  4. Chiu TY, Hu WY, Chen CY. Prevalence and severity of symptoms in terminal cancer patients: a study in Taiwan. Support Care Cancer 2000;8:311-3. 

  5. Kim MH. Main symptoms of cancer patients by stage in a general hospital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 2010. Korean. 

  6. Cheon JS. Practical guide to terminal delirium.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2010;16:93-101. 

  7. Brown TM, Boyle MF. Delirium. BMJ 2002;325:644-7. 

  8. Irwin SA, Rao S, Bower KA, Palica J, Rao SS, Maglione JE, et al. Psychiatric issues in palliative care: recognition of delirium in patients enrolled in hospice care. Palliat Support Care 2008;6: 159-64. 

  9. Cho MA. The attitude of family members about sedative injection for relief to terminal cancer patients [master's thesis]. Daejeon: Chungnam National Univ.; 2012. Korean. 

  10. Kwak KH, Do BS, Park SY, Lee SM. Risk factors for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visiting an emergency department. J Korean Soc Emerg Med 2011;22:489-93. 

  11. Kim HY, Park MS, Lee HJ. The effects of delirium prevention education on hospitalized elders at high risk for delirium. J Korean Gerontol Nurs 2007;9:60-7. 

  12. Yang YH. Prevalence and precipitating factors for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admitted to long-term care hospitals or to general hospital.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0;17:26-34. 

  13. Im CS, Cha SM, Kim JH, Lee JM, Kim JL. Retrospectiv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utcome of delirium in elderly inpatient.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2012;18:186-93. 

  14. Han MI. Clinical approach to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J Korean Geriatr Psychiatry 2004;8:96-101. 

  15. Hwang SW, Kang SW, Kang YG, Choi SG, Lee J, Kim MJ, et al. Risk factors of delirium in elderly inpatients. J Korean Acad Fam Med 2002;23:112-21. 

  16. Suh HJ, Yoo YS. Intensive care unit nurse's knowledge, nursing performance, and stress about delirium. J Korean Acad Adult Nurs 2007;19:55-65. 

  17. Choi EJ, Lee HJ, Kim IA, Lim YJ, Lee MS, Kim MJ. Delirium assessment ability of clinical nurses. J Korean Gerontol Nurs 2011;13:233-41. 

  18. Jang JE, Kim SW, Kim YH, Kim SY, Kim JM, Shin IS, et al. Relationship between severity of delirium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cancer.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2011;17:131-9. 

  19. Ahn MH, Yeom CH, Lee HR. The factual survey of using sedative agents in terminal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Fam Med 2002;23:521-6. 

  20. Cho HJ, Kim HK, Kim KK, Kim YI, Suh SY, Cho KH, et al. Delirium in the final weeks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Korean J Fam Med 2009;30:285-91. 

  21. Morita T, Ikenaga M, Adachi I, Narabayashi I, Kizawa Y, Honke Y, et al. Family experience with palliative sedation therapy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J Pain Symptom Manage 2004;28:557-65. 

  22. Song HN, Lee AN, Lee US, Go SI, Kang MH, Kim HG, et al. S-455 : Palliative sedation: experience in a tertiary center in Korea. Korean J Intern Med 2013;1:267. 

  23. Lee KW, Lee JH, Choi YJ, Lee TK, Kim SS, Shin HJ, et al. Analysis of deaths of the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Korean J Med 2003;65:66-70. 

  24. Gaudreau JD, Gagnon P, Harel F, Tremblay A, Roy MA. Fast, systematic and continuous delirium assessment in hospitalized patients: the nursing delirium screening scale. J Pain Symptom Manage 2005;29:368-75. 

  25. Park YS.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 for the nursing of delirium in cancer patients [dissertation]. Jinju: Gyeongsang National Univ.; 2011. Korean. 

  26. Ko HJ, Youn CH, Chung SE, Kim AS, Kim HM. Risk factors related to development of delirium in hospice patien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4;17:170-8. 

  27. Morgenthaler TI, Silber MH. Amnestic sleep-related eating disorder associated with zolpidem. Sleep Med 2002;3:323-7. 

  28. Park YH. Risk factors of delirium among the patients in the medical intensive care unit at a general hospital [master's thesis]. Ulsan: Ulsan Univ.; 2014. Korean. 

  29. Yu JC. Delirium: concept, evaluation and treatment guidelines. J Korean Geriatr Psychiatry 2008;12:51-6. 

  30. Caraceni A, Somonetti F. Palliating delirium in patients with cancer. Lancet Oncol 2009;10:164-72. 

  31. Bae JH, Kang WS, Paik JW, Kim JW. Changing trends in the occurrence and management of delirium for 5 years in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Psychosomat Med 2012;20:112-9. 

  32. Breitbart W, Strout D. Delirium in the terminally ill. Clin Geriatr Med 2000;16:357-72. 

  33. Sykes N, Thorns A. The use of opioids and sedatives at the end of life. Lancet Oncol 2003;4:312-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