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역사」 교과서 세계사 영역의 공통 탐구 과제에 포함된 사서교사의 교육정보서비스 요소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s for Teacher Librarians'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Embedded in Common Inquiry Tasks of World History Territory in Korean Middle School History Studie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0 no.2, 2016년, pp.5 - 23  

송기호 (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포함된 공통 탐구 과제를 분석하고, 사서교사의 교육정보서비스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16종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포함된 세계사 영역의 탐구 과제를 조사한 결과 84개의 공통 탐구 과제가 발견되었다. 이를 탐구 절차에 해당하는 정보활용과정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탐구 과제는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사진 자료와 도서(읽기) 자료를 조사한 후에 그 결과를 말하기 형태로 표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을 중학교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에서 지도하는 정보활용과정과 비교하면, 1단계(정보과제 정하기와 정보 요구 파악하기)와 3단계(정보 종합과 표현)의 정보 표현하기를 충족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서교사가 역사 교사의 수업 부담을 줄여주고, 역사 수업에서 학생들의 탐구 활동을 촉진하는데 기여하기 위해서는 정보 해석과 분석하기, 정보 종합 및 조직하기 그리고 정보 활동 평가하기에 대한 교육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mmon inquiry tasks of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and find out it's implications on teacher librarians'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There are 84 common inquiry tasks according to examinations of inquiry tasks related to world history in 18 kind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총 16종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 세계사 영역에 포함된 탐구 과제를 분석한 후에 두 개 이상의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공통 탐구 과제를 정보 활용 요소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은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탐구 과제의 학습 유형(개별학습, 모둠학습), 제시된 탐구 자료 유형(도서(읽기) 자료, 신문, 영화, 텔레비전, 인터넷 등), 탐구 활동 방법(조사하기, 방문, 인터뷰 등), 탐구 결과 표현 방법(말하기, 글쓰기, 체험, 매체제작 등)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포함된 세계사 영역의 공통 탐구 과제를 탐구 절차에 해당하는 정보활용과정을 기준으로 분석하고, 사서교사의 교육정보서비스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 분석 결과 읽기 자료를 바탕으로 탐구 과제를 구성하는 방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 자료 중심의 탐구 과제 구성은 학생들로 하여금 역사를 어렵고 지루한 과목으로 인식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시각자료의 활용을 높이는 것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서준석(2014)은 중 · 고등학교 역사 탐구 활동이 갖는 발문의 특징과 탐구 주제의 특징을 비교분석하였다.
  • 학교도서관의 교육정보서비스 측면에서 이루어진 교과 교육과정 분석은 사서교사가 지도하는 정보활용교육과의 공통성을 확인하여 도서관 활용수업이나 협동수업 운영에 필요한 전략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나 아직 개별 교과 전체의 탐구 과제를 대상으로 정보활용과정을 분석하고, 사서교사의 개별 교과에 대한 교육정보서비스 내용을 확인하려는 시도는 부족한 실정이다(송기호 2015, 23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도서관을 통해서 길러주고자 하는 역량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학교도서관을 통해서 길러주고자 하는 역량은 사서교사의 정보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필요로 한다. 중재자로서 사서교사는 다양한 학습 자료를 개별 교과에서 지도하는 학교 지식과 연계함으로써 학생의 자주적인 지식 형성을 지원하고 촉진하는 것이다. 또한 학교도서관을 자원기반학습이 가능한 물리적 환경으로 구축하고, 정보활용능력과 같은 방법적 지식을 통해서 학생의 학습 과정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교과 교육과정은 교사와 학생의 교육적 요구를 담고 있는 객관적인 정보원이다.
지식기반사회에서 학교 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지식기반사회에서 학교 교육의 목적은 학습 방법의 학습, 지식의 통합과 확장, 의사소통능력, 사고와 추론 능력, 인간관계 능력 그리고 개인과 사회에 대한 책임감을 길러주는 것이다(AASL/AECT 1998, 45-46). 이를 기반으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도 자주인, 창의인, 문화인, 민주시민 등을 교육적 인간상으로 제시하고 있다.
IFLA가 발표한 School Library Guidelines에서는 무엇을 제시하는가? 따라서 학교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역량을 기르고, 교육적 인간상을 구현하는데 참여해야 한다. IFLA(2015)가 발표한 『School Library Guidelines』에서는 학교도서관의 사명을 ‘교육과정과 통합된 적극적인 교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교수-학습센터로’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을 ‘자원 기반 역량, 사고 기반 역량, 지식 기반 역량, 독서와 리터러시 역량, 개인 역량과 대인관계 역량, 학습 관리 역량’과 같이 6가지 역량으로 설명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강현욱, 김민정. 2012. 역사 교과서 탐구 활동 분석 평가 연구: 중학교 역사(상) 고려 단원을 중심으로. 역사교육논집, 49: 197-229. (Kang, Hyeun Uk and Kim, Min Jung. 2012. "Examination of and Suggestions to Improve the Qualities of Historical Inquiry Activities in th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History Education Review, 49: 197-229.) 

  2.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2014.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홈페이지. [online] [cited 2015. 12. 1.] (National Curriculum Information Center. 2014. National Curriculum Information Center Homepage. [online] [cited 2015. 12. 1.] ) 

  3. 교육부. 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세종: 교육부. (Ministry of Education. 2015. General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4. 민윤. 2007. 역사 학습에서 '탐구'의 재고: 실제적 탐구의 가능성. 사회과교육연구, 14(4): 1-26. (Min, Yoon. 2007. "Rethinking the Inquiry in History Learning: Possibility of the Disciplined Inquiry."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14(4): 1-26.) 

  5. 박명규, 한상완. 2005.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교과 교육과정 모형.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1): 167-194. (Park, Myung-Kyu and Han, Sang-Wan. 2005. "A Curricular Model of Information Literary for School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1): 167-194.) 

  6. 서준석. 2014.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 탐구활동 비교.분석: 한국 근현대사 단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 전공. (Seo, Joon-Seok. 2014. Comparative Study of Historical Inquiry Activities in Secondary School History Textbooks: Focusing on Korea Modern History. M. A. thesis, History Education Maj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gang University, Korea.) 

  7. 양호환. 1996. 역사교과서의 서술양식과 학생의 역사이해. 역사교육, 59: 1-23.(Yang, Ho Hwan. 1996. "The Mode of History Textbook Writing and Students' Historical Under standing." The Korean History Education Review, 59: 1-23.) 

  8. 송기호. 2014. 사서교사를 위한 통합정보활용교육론. 대구: 태일사. (Song, Gi-Ho. 2014. Integrated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for Teacher Librarians. Daegu: Taeilsa.) 

  9. 송기호. 2015.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공통 탐구 과제에 포함된 정보활용과정 요소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3): 233-252. (Song, Gi-Ho. 2015. "An Analysis of Element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Process within Common Inquiry Tasks of Textbooks in Korean Middle Schools Social Studies."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3): 233-252.) 

  10. 송기호, 김태수. 2008. 교과 연계성 강화를 위한 학습주제 중심의 통합 정보활용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5(3): 41-64. (Song, Gi-Ho and Kim, Tae-Soo. 2008. "A Study of the Thematically Integrated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for Strengthening its Relationship with Curricula."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5(3): 41-64.) 

  11. 이문기 외. 2013a. 중학교 역사 1. 서울: 두산동아. (Lee, Moon-Gi et al. 2013a. Middle School History 1. Seoul: Doosandonga.) 

  12. 이문기 외. 2013b. 중학교 역사 2. 서울: 두산동아. (Lee, Moon-Gi et al. 2013b. Middle School History 2. Seoul: Doosandonga.) 

  13. 정선영 외. 2013. 중학교 역사 1. 서울: 미래엔. (Joung, Sun-Young et al. 2013. Middle School History 1. Seoul: Mirae-n.) 

  14. 지모선. 2012.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탐구활동 분석 및 대안 모색: '일제의 식민지 지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 단원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 16: 103-150. (Ji, Mo Sun. 2012. "An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on Textbook of 'Korean History' of High School and Exploration of its Alternatives: Focused on Development of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and Racial Movement." Studies on History Education, 16: 103-150.) 

  15. 한국도서관협회 학교도서관교육과정위원회. 2007.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 교육과정 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School Library Curriculum Committee of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07.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6. 한철호 외. 2013. 중학교 역사 1. 서울: 좋은책 신사고. (Han, Chul-Ho et al. 2013. Middle School History 1. Seoul: Truebook Sinsago.) 

  17. AASL and AECT. 1998.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for Student Learning.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8. IFLA. 2015. The IFLA School Library Guidelines. 2nd ed. [online] [cited 2015. 9. 12.] 

  19. Lee, V. S. 2011. "The Power of Inquiry as a Way of Learning." Innovative Higher Education, 36(3): 149-1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