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언어치료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연구
A Study on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toward Speech-Language Therapy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8 no.3 = no.81, 2016년, pp.808 - 817  

박찬희 (한국국제대학교) ,  장진희 (한국국제대학교) ,  허명진 (부산가톨릭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differences of awareness toward speech-language therapy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and establishing a basic data necessary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programs afterwards based on child-care centers and its characteristics with the res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언어치료와 언어치료사에 대한 전반적 인식차이를 알아보고, 앞으로 보육현장에서 발달지체유아를 교육하는데 필요한 보육교사의 역량을 높이기 위해 어린이집 기관 및 특성에 근거한 보육교사의 특수교육 연수 및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상기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언어치료와 언어치료사에 대한 전반적 인식차이를 알아보고, 앞으로 보육현장에서 발달지체유아를 교육하는데 필요한 보육교사의 역량을 높이기 위해 어린이집 기관 및 특성에 근거한 보육교사의 특수교육 연수 및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으로 학력, 근무 경력, 자격증 급수, 학급 내 언어치료 대상자 유무에 따라 언어치료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언어치료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배경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충청북도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20명의 보육교사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총 116부(96.
  •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언어치료와 언어치료사에 대한 전반적 인식차이를 알아보고, 앞으로 보육현장에서 발달지체유아를 교육하는데 필요한 보육교사의 역량을 높이기 위해 어린이집 기관 및 특성에 근거한 보육교사의 특수교육 연수 및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으로 학력, 근무 경력, 자격증 급수, 학급 내 언어치료 대상자 유무에 따라 언어치료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 대한 결론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기는 어떤 시기인가? 유아기에는 다양한 신체적 욕구와 더불어 여러 가지를 경험하고자 하는 탐험적 욕구가 증가되는 시기이다. 또한 신체적, 인지적, 사회 정서적 발달에 있어 다른 시기보다 변화의 속도나 정도가 급격히 일어나는 시기로서 새로운 기술과 능력이 발달되며, 보다 독립적으로 행동하고 사회적으로 적합한 행동을 배우는 시기라 할 수 있다
언어의 기초는 언제 형성되는가? 유아기는 언어의 기초가 형성 될 뿐 아니라, 언어발달의 중요 시기이므로 언어 자극을 어떻게 경험하는가의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유아기의 언어능력은 이후의 언어의 사회적 기능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자연스러운 언어수행능력 및 학습과 발달을 위한 기본이 되기 때문이다(Gang, 2014).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언어치료와 언어치료사에 대한 전반적 인식차이를 알아본 결과에 대한 결론은? 첫째, 보육교사의 배경 변인(학력, 근무경력, 자격증 급수, 학급 내 언어치료 대상자 유무)에 따라 언어치료에 대한 인식차이를 조사한 결과, 보육교사의 자격증 급수에 대하여 언어치료에 대한 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보육교사의 자격증 급수에 대하여 실제로 차이가 나타난 문항은 응답자의 학력(1번), 응답자의 교육경력(2번), 언어치료가 전반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8번)으로 언어치료라는 영역에 기본 정보와 언어치료를 실시하는 방법 그리고 언어치료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과 관련된 것으로 이와 관련하여 보육교사의 자격증 급수에 따라 언어치료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자격증 급수가 높아진다는 것은 그만큼 보육과 관련된 영역에서의 전문성과 경험이 높다는 의미로 특수교육 및 치료적 영역에 대한 긍정적 관심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장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했거나 알고 있는 언어장애로는 언어발달장애(48.1%)가 가장 많다는 Joe & Kim(2010)의 연구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즉, 보육교사의 자격증 급수와 근무경력은 비례하므로 보육교사 1급 교사는 현장에서 언어발달장애의 유아를 많이 접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언어치료에 대한 필요성과 효과를 누구보다 높게 인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보육교사의 배경 변인(학력, 근무경력, 자격증 급수, 학급 내 언어치료 대상자 유무)에 따라 언어치료사에 대한 인식 차이를 조사한 결과, 보육교사의 학급 내 언어치료 대상자 유무에 따라 언어치료사에 대한 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보육교사의 학급 내 언어치료 대상자 유무에 따라 실제로 차이가 나타난 문항은 5번으로 언어치료사의 자격증 정보와 관련이 있었다. 실제 보육현장에서 학급 내 언어치료가 필요한 유아가 있을 시 유아의 언어 발달 능력 신장을 위해 언어치료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필요성이 있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유아교사가 언어치료사와의 연계 필요성을 91.1%로 높게 인식한다는 Joe & Kim(2010)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언어치료사의 자격증 급수에 대한 관심의 증가는 신명선과 Lee(2012)의 연구를 볼 때 치료사의 급수가 올라갈수록 환자들이 치료에 대한 필요성과 치료 과제에 대한 이해력 정도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다양한 접근방법으로 보육교사들에게 언어치료와 언어치료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인식의 향상은 유아의 언어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시기에 치료적 지원을 받을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Jeong-Yong et al.(2005). A Study on the National Statistics and Researcher in Korea, Journal of Korean Official Statistics, 10(2). (Time New Roman 9.5) 

  2. Beitchman, J..Nair, R..Clegg, M..Patel, P..Ferguson, B..Pressman, E. & Smith, A.(1986). Prevalence of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in 5-years-old kindergarten children in the Ottawa-Carleton regio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51(2), 98-110. 

  3. Byeon, Ae-Sim(2006). A study on using reality,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method for speech-language therapy center of parents having disabled child, Yong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degree claim thesis 

  4. Cho, Geum-Hee(2007). Recognition of child care teacher for child language disability and speech-language therapy, Myung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degree claim thesis 

  5. Choi, Hyun-Shik(2007). An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school life attitud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Graduate School Master's degree claim thesis 

  6. Christie, J. F..Enz, B. J. & Vukelich, C.(2007). Teaching language and literacy: Preschool though the elementary grades. Boston, MA: Pearson Education, Inc. 

  7. Gang, Se-Hyang(2014). A Study on an Effect of Variables on Korean Language and Early English Ability of Children, Kyung Hee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degree claim thesis. 

  8. Gang, Yoon-Gu(2002). Correlation between support level of school administrator for special class teacher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degree claim thesis. 

  9. Hae Kyung Lee (2014).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 of Speech-Language Therapy, Namb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Management, Master degree thesis. 

  10. Han, Ji-Yeon(2014). Comparative study between language rehabilitation therapist and treatment target based on achievement of speech-language therapy goal, Speech-language therapy research 23(4), 135-145. 

  11. Hwang, Eun-Soon(2010). An effect of kindergarten literacy program based on balanced language education approach on reading, writing of 1st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Duksung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s degree claim thesis. 

  12. Ji Yeon Han (2014).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teractions between Speech-Language Pathologist and Clients according to Speech Therapy Goals: Focussing on Boone-Prescott System for Clinical Supervision. Speech Therapy Research 23(4). 135-145. 

  13. Jin, Hyun-Ja(2012). Satisfaction of parents for linguistic treatment service of disabled child, Special child education research 14(1), 99-116. 

  14. Jung, Hwan-Geol(2008). A Study on the Data Exactness Comparison of Population & Housing Census and Agriculture, Forestry, Fishery Census, Hannam University. 

  15. Kim, Yong-Jo(1997). A study on professionalism enhancement of teacher education, Pedagogy studies, 18, 123-153. 

  16. Lee, Sook-Hee(2008). Development of balanced child reading program and its effect, Dongduk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s degree thesis. 

  17. Lee, Hae-Gyoon(2003). Analytic consideration on performance ability of specialized education teacher, Special education journal:Theory and practice 4(4), 427-443. 

  18. Noh, Eun-Ah(2014). Development of child language education through natural experience and Itseffect, Jeonnam Natiu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s degree claim thesis. 

  19. Park, Myung-Kyu.Shim, Sun-Hee & Kim, Ha-Kyun(2011). The influence of cyber education factor in ordinary learning system on official's cyber education preference, Journal of Fishier and Marin Educational Research 23(1), 116-125. 

  20. Park, Sung-Hee(2012). Composition of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5 year old child applying linguistic composition element and its effect, Chung 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s degree claim thesis 

  21. Park, So-Hyeon(2010). Qualitative study on i-class language pathology in integrated daycare center, A study on linguistic auditory disability 15(4), 603-618. 

  22. Park, Seung-Hee & Chang, Hye-Seon(2003). Performance of cooperative role of teachers and speech-language therapist for class-based language intervention, A study on linguistic auditory disability 8(1), 117-143. 

  23. Resnick, T..Allen, d. & Rapin, I.(1984). Disorders of Language development: Diagnosis and ntervention. Pediatrics in review 6(3), 85-92. 

  24. Shin, Myeong-Seon & Kim, Jeong-Wan(2012). Survey on speech-language therapist's recognition for rehabilitation of elderly patient with neurologic language disorder, A study on speech-language therapy (2), 53-72. 

  25. Shin, Moon-Ja & Choi, So-Young(2012). Analysis of grounded theory for treatment experience of child with dysphemia of language therapist, KASA 17(2), 201-218. 

  26. Son, Young-Soo(2000). A study on child language life world in child education site(setting), Pedagogy studies 20(2), 77-90. 

  27. Stevensos, J. & Richman, N.(1976). The prevalence of language delay in a population of three year-old children and its association with general retardation. Development Medical Child Neurol, 18, 431-441. 

  28. Van Riper, C & Emerick, L(1984), Speech correction an introduction to speech pathloogy and audiology and audiology, Englowood cliffs Prentice Hall. 

  29. Woo A Hwang.Eun Gyeong Lee (2016). The Actual Situation of Speech Therapy Support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at Jeollanam-do and Special Teachers' Perception, Speech Therapy Research 25(1). 159-17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