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 개념 학습에서 수직선의 도입과 활용
The Introduction and the Use of Number Line on the Learning of Number Concept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0 no.3, 2016년, pp.431 - 456  

김양권 (솔개초등학교) ,  홍진곤 (건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직선의 적절한 도입 시기와 활용 방법을 탐구하여 초등학생들의 수개념 학습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 개념 형성을 위한 수학적 모델인 수직선, 빈 수직선, 이중 수직선과 수 세기와 수 개념의 발달유형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실제 초등학생들의 수직선 도입 시기와 활용 방법에 대한 사례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수직선 도입을 2학년부터 실시하여 수직선의 은유적 개념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이어지는 수 개념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덧셈과 뺄셈과 같은 연산과정에서 다양한 사고 전략을 시각적으로 그려낼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인 빈 수직선과 곱셈적 비교 상황이나 나눗셈이 이루어지는 상황인 등분제와 포함제, 비율이나 비례배분의 이해를 위한 시각적 모델인 이중 수직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수직선이나 빈 수직선, 이중 수직선을 도입할 때, 수직선의 은유적 개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안내와 활용 방법에 대한 학습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time of introduction and the usage of the number line, in order to suggest the right point of learning the number concept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efficient achievement of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the mathematical mo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교 수학에서 사용되는 수 모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초등학교 수학에서 수는 수 막대나 수모형, 수 트랙, 수직선 등과 같이 다양한 수 모델로 표현되고 있다. 이 중에서 수직선은 시각화하고 추상화하는 능력을 통해 정신적으로 그리는 수 모델의 한 예시이며, 수 활동을 증진시키는 문제 해결에 대한 구조를 제공하여 특정한 이미지의 형태로 제시되는 근본적인 수 개념이 내적으로 표현되는 한 가지 방식이다(Siegler & Booth, 2005, p.
학생들이 수직선을 활용하여 분수나 소수를 표현하거나 이해할 때 어려움이 나타나는 이유는? 수직선의 교육적 활용가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수직선과 관련된 연구는 수직선의 이해에 대한 실태 조사(이상미, 2010)나 수직선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분석 연구(장지영 외, 2013; 김현영, 2010), 수직선의 표기법 연구(서보억 외, 2013)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자연수나 분수, 소수의 개념을 포함한 수 체계를 이해하는 내용보다는 사칙연산, 문제해결중심의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어서 학생들이 수직선을 활용하여 분수나 소수를 표현하거나 이해하는 면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홍진곤, 김양권(2015)은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수직선 활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에서 수직선의 도입 시기, 도입 내용, 활용 방법의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수직선을 기하와 산술로 형성된 은유적 혼합으로 이해하면 어떤 장점이 나타나는가? 이 혼합은 수-점(number-point), 곧 은유적으로 점인 수이다. 이 혼합은 기하와 산술을 결합하여 목표영역인 산술에 대한 새로운 추론을 가져다주며, 수 체계의 은유로 수직선을 언급할 수 있는 것은 수직선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쉽기 때문에 모든 종류의 수, 즉 자연수, 정수, 유리수, 실수를 수직선 위에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수직선의 은유적 개념을 사용하면 훨씬 더 복잡한 은유적 개념인 좌표평면을 구성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교육부 (2014). 수학 1-1. 서울: (주)천재교육. 

  2. 교육부 (2014). 수학 2-1. 서울: (주)천재교육. 

  3. 교육부 (2014a). 수학 1-2. 서울: (주)천재교육. 

  4. 교육부 (2014). 수학 2-2. 서울: (주)천재교육. 

  5. 교육부 (2014). 수학 3-1. 서울: (주)천재교육. 

  6. 교육부 (2014). 수학 3-2. 서울: (주)천재교육. 

  7. 교육부 (2015). 수학 6-1. 서울: (주)천재교육. 

  8. 교육부 (2015). 수학 6-2. 서울: (주)천재교육. 

  9. 교육부 (2014b). 교사용지도서 수학 4-2. 서울: (주)천재교육. 

  10. 교육부 (2015a). 교사용지도서 수학 6-1. 서울: (주)천재교육. 

  11. 권석일, 박교식 (2011).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용어 사용과 정의 방식에 관한 비판적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2), 301-316. 

  12. 권석일, 임재훈 (2007). 그림그리기 전략을 통한 초.중등수학의 연립방정식 지도 연결성 강화. 수학교육학연구, 17(2), 91-109. 

  13. 김현영 (2010). 수직선의 대칭적 성질을 활용한 정수의 곱셈과 나눗셈 지도방법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만구 (2000). 수 세기와 수 개념의 발달 유형에 관한 이론. 초등수학교육, 4(1), 43-49. 

  15. 서보억, 신현용, 나준영 (2013). 수직선 표기법에 대한 분석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3(2), 135-152. 

  16. 이상미 (2010).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들의 수직선 이해 실태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임재훈, 이형숙 (2015). 비례 추론을 돕는 시각적 모델에 대하여: 초등 수학 교과서의 비례식과 비례배분 실생활 문제를 대상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5(2), 189-206. 

  18. 장지영, 김성준 (2013). 측정 영역에서의 수직선 활용에 관한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17(2), 297-321. 

  19. 정영옥 (2013). 초등수학에서 자연수 곱셈 지도. 학교수학, 15(4), 889-920. 

  20. 정유경, 정영옥 (2015). 초등학생들의 비례 추론 전략 분석 -6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4), 457-484. 

  21. 정은실 (2003). 비 개념에 대한 교육적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3(3), 247-265. 

  22. 홍진곤, 김양권 (2015).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수직선 활용과 문제점.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9(3), 353-372 

  23. Anghileri, J., & Beishuizen, M. (1998). Counting, chunking and the division algorithm. Mathematics in School, 27(1), 2-4. 

  24. Doritou, M. (2006). Understanding the number line: Conception and practice. Unpublished PhD.,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Centre, University of Warwick. 

  25. Gravemeijer, K. (1994). Developing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Utrect: CD- ${\beta}$ Press. 

  26. Gray, E. & Doritou, M. (2008). The number line: Ambiguity and interpretation. In O. Figueras, J. Cortina, S. Alatorre, T. Rojano & A. Sepulveda (Eds.), Proceedings of the 32nd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Vol. 3 (pp. 97-104). Morelia, Mexico. 

  27. Herbst, P. (1997). The number-line metaphor in the discourse of a textbook series.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7(3), 36-45. 

  28. Kuchemann, D., Hodgen, J., & Brown, M. (2014). The use of alternative double number lines as models of ratio tasks and as models for ratio relations and scaling. In S. Pope (Ed.), Proceedings of the 8th British congress of mathematics education (BCME8) (pp. 231-238). BSRLM: University of Nottingham. 

  29. Lesh, R., Post, T., & Behr, M. (1987). Representations and translations among representations in mathematics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In C. Janvier (Ed.), Problems on representation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pp. 33-40). Lawrence Erlbaum Associates, Hillsdale, NJ. 

  30. Moeller, K., Pixner, S., Kaufmann, L., & Nuerk, H. C. (2009). Children's early mental number line: Logarithmic or decom- posed linear?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103, 503-515. 

  31. Olive, J. (2001). Children's number sequences: An explanation of Steffe's constructs and an extrapolation to rational numbers of arithmetic. The Mathematics Educator, 11(1), 4-9. 

  32. Orrill, C. H., & Brown, R. E. (2012). Making sense of double number line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Exploring teachers' understandings of proportional relationship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5(5), 381-403. 

  33. Siegler, R., & Opfer, J. (2003). The development of numerical estimation: Evidence for multiple representations of numerical quantity. Psychological Science, 14(3), 237-243. 

  34. Siegler, R. S., & Booth, J. L. (2005). Development of numerical estimation in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75, 428-444. 

  35. Steffe, L. P. & Cobb, P. (1988). Construction of arithmetical meanings and strategies. New York: Springer-Verlag. 

  36. Steffe, L. P., von Glasersfeld, E., Richards, J. & Cobb, P. (1983). Children's counting types: Philosophy, theory, and application. New York: Praeger. 

  37. Van den Heuvel-Panhuizen, M. (Ed.) (2001). Children learn mathematics: A learning-teaching trajectory with intermediate attainment targets for calculation with whole numbers in primary school. Utrecht: Freudenthal Institute Utrecht University & National Institute for Curriculum Development. 

  38. Van den Heuvel-Panhuizen, M. (2008). Learning From "Didactikids": An Impetus for Revisiting the Empty Number Lin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20(3), 6-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