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의 신축 건축물 예측을 통한 통일 후 한반도 녹색건축물 관련 인증제도의 시장 분석 - 건축물에너지절약계획서,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및 녹색건축인증을 중심으로 -
Market Analysis o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of the United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New Building Prediction in North Korea - Focused on Building Energy Conservation Plan, Building Energy Rating Certification, and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G-SEED) - 원문보기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36 no.3, 2016년, pp.75 - 85  

곽영훈 (한국감정원 녹색건축연구소) ,  신성은 (한국감정원 녹색건축연구소) ,  박진영 (한국감정원 녹색건축연구소) ,  도화용 (한국감정원 녹색건축연구소) ,  김혜정 (한국감정원 녹색건축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s to predict and analyz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market of Korean Peninsula after unification. First, it analyzes prospected unification time period, then it forecasts number of new residential and non-residential buildings to be constructed based on estimated number of resid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중에서도 특히, 녹색건축물 관련 인증제도가 통일 후에도 제대로 운영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의 신축 건설될 건축물의 동수를 예측하고, 그에 따른 통일 후 녹색건축물 관련 인증제도 시장을 분석하여 건축 분야에서의 통일 대박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 따라서 통일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 통일 예상 시기 등 사전 연구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6가지 녹색건축물 관련 인증제도 중 표 2와 같이 2015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처리건수가 많았던 건축물에너지 절약계획서 검토,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및 녹색건축 인증을 대상으로 통일 후 한반도의 인증 시장을 예측하고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10년 동안 약 6,660억 원이라는 녹색건축물 시장 예측 및 분석은 많은 가정을 기반으로 한다. 통일 시기에 북한의 주택 부족수를 추정하였고, 남한의 신축 주거 및 비주거 건축물의 비율로 북한의 신축 및 비주거 건축물을 추정하였으며, 건축물에너지절약계획서 검토 건수를 기반으로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및 녹색건축 인증 처리 건수를 예측한 것이다.
  • 그러나 북한 주민이 부동산을 경제적 관점에서 바라보기 시작하였다고 하더라도, 통일 후 북한지역에 신축으로 건설될 주택 형태는 현재 남한과 유사하게 공동주택이 대부분 건설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 통일 후 남한과 북한의 경제·문화·사회·정치적 수준이 유사하다고 가정하면, 남한의 주거용과 비주거용 신축 건축물의 비율은 북한의 주거용과 비주거용 신축 건축물의 비율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주거용 건축물이 신축되면, 그에 따라 수반되는 비주거용 건축물도 신축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남한의 건축물에너지절약계획서의 검토 처리 건수를 기반으로 북한의 건축물에너지절약계획서 검토 처리 건수를 추정 하였다.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북한지역에 향후 신축될 주택의 형태를 예상하면 공동주택이 대부분일 것이다. 북한의 부족한 주택 200만호는 남한의 공동주택 형태와 유사하게 건설된다고 가정 한다. 기본 세대를 84㎡로 하고, 30세대를 1동의 공동주택20)이라고 가정하면, 북한의 부족한 주택 동수는 식 (2)와 같이 약 66,666동으로 추정할 수 있다.
  • 북한의 주택부족수를 제외한 인구, 즉 주택이 보급된 인구는 1,630만 명이라고 가정한다. 앞에서 명기한 ‘북한’은 주택이 보급된 인구로 추정된 신축 건축물을 뜻한다.
  • 따라서 북한의 인구(2,454만 명, 2013년 기준)4)에서 주택 부족수를 제외한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인구를 산출하면, 식 (4)와 같다. 여기서, 북한의 주택 1가구당 가족 수는 4.08명이지만17), 보수적으로 4명이라고 가정하여 계산하였다.
  • 약 66,666동은 1년 동안 북한에서 3,333동을 건설하고, 남한에서 3,333동의 건설을 지원해도 10년이 소요되는 물량이다19)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이 연합하여 연간 6,666동의 신규 주거용 건축물이 통일 후 10년간 건설될 것으로 가정하였다. 단, 10년 동안 건설 기술 개발 및 발전에 따른 공사기간의 단축은 별도로 고려하지 않았다.
  • 2015년도 신축 건축물에 대한 녹색건축물 관련 인증제도 처리 건수는 표 2와 같다. 통일 시점에 남한의 인구는 큰 변화가 없다는 가정 하에, 통일 후에도 남한지역의 신축 건축물에 대한 녹색건축물 관련 인증제도, 즉 건축물에너지절약계획서 검토,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및 녹색건축 인증 처리 건수는 2015년도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반도 통일의 전망은 어떠한가? 한반도 통일은 불확실성이 크고 천문학적 비용이 드는 사안이며, 언제 어떻게 통일이 이루어질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나 통일을 미리 대비하여 통일 후에도 녹색건축의 양적 확대와 질적 발전의 계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분야에서 통일 후 많은 투자를 예상하고 있으며 특히, 건축분야는 사회기반시설을 구축하는 가장 기본적인 분야이므로 통일에 대한 대비가 필수적이다.
통일 대비에 건축분야가 필수적인 이유는? 한반도 통일은 불확실성이 크고 천문학적 비용이 드는 사안이며, 언제 어떻게 통일이 이루어질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나 통일을 미리 대비하여 통일 후에도 녹색건축의 양적 확대와 질적 발전의 계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분야에서 통일 후 많은 투자를 예상하고 있으며 특히, 건축분야는 사회기반시설을 구축하는 가장 기본적인 분야이므로 통일에 대한 대비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신축 건설 투자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제도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녹색건축물 관련 제도들은 남한에서만 시행되고 있기 때문에 한반도 전체를 위한 제도로 변모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통일에 대한 대비책으로 건축 제도는 어떠한 변화가 필요한가? 다양한 분야에서 통일 후 많은 투자를 예상하고 있으며 특히, 건축분야는 사회기반시설을 구축하는 가장 기본적인 분야이므로 통일에 대한 대비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신축 건설 투자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제도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녹색건축물 관련 제도들은 남한에서만 시행되고 있기 때문에 한반도 전체를 위한 제도로 변모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녹색건축물 관련 인증제도가 통일 후에도 제대로 운영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im. H. S, Seo. S. T, Kim. D .H, Jeong. Y. W, Choi. D. C, Cho. K. H., A study territory and urban planning of North Korea after the reunification, Urban Information Service, Vol. 389, pp. 3-17, 2014 

  2. Choi. J. P, Let us be prepared for reunifica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58, No. 3, pp. 6-7, 2014 

  3. Park G. H. President, "Unification may be accomplished next year." The Hankyoreh Post 2015 

  4.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rchitecture for unification, Our future", Architecture Day 2015. 2015 

  5. Lee. S. J, The task of the construction sector in preparation for reunification era, Korean Construction of Newspapers, Opinion Forum, 2014 

  6. Architecture to go Unification Era, The starting point i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15 

  7. Choi. Y. H, Unification Jackpot? Income Statement, Issue and Inspection of Unification, pp. 171, 1-21, 2015 

  8. Kang. D. W, Park. J. L, A study on North Koreans' consciousness of the Unification : Based on Interviews with 100 North Koreans, Unification Policy Studies, Vol. 23, No. 2, pp. 1-31, 2014 

  9. Kim. B. L, Choi. K. H. Comparative Analysis of Attitudes toward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vol. 4, No. 1, pp.101-139. 2012 

  10. Jeong. E. M, The Changes of attitude toward reunifi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s: Focusing on Analysis of the Surveys: 2011-2013,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Vol. 5, No. 2, pp. 74-104. 2013 

  11. Architectural Information System SEUMTER, www.eais.go.kr 

  12. Korea Energy Agency, www.energy.or.kr 

  13.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www.kict.or.kr 

  1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ttp://www.molit.go.kr 

  15. Song. H. W, A study on North Korea's housing policy and rights to use for housing system, The Institute for Legal Studies, Vol. 30, No. 2, pp. 175-199. 2013 

  16. Kim. Y. G, Changes in real estate policy of North Korea : land, house and shop of marketplace. University of North Korean Studies, A Master's Thesis, 2010 

  17. Lee. H. J, Comparison of real estate system in South and North Korea. Economic Unification 2015 Forum, pp. 47-56. 2015 

  18. Park. Y. S, Housing situation and future challenges in North Kore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Modulor Architecture Committee Seminar, 2014 

  19. Jang. S. S, Yoon. H. J, Kim. J. G, A study on housing stated of North Korea and the demand for housing construction after the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14, No. 3, pp. 43-50, 1998 

  20. Korea Appraisal Board, real estate statistics information system, www.r-one.co.kr 

  21. Korea Appraisal Board, Green Building Research Institute Report, Unification Jackpot, 2015 

  22. Kim. S. A, Hong, W. H, Park, H. S. Evaluation of the energy efficiency rating in small office building according to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 envelope.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32, No. 4, pp. 65-70, 2012 

  23. Lee. N. E, Ahn B. L, Jang, C. Y, Lee. S. B. A study on evaluation of the building energy rating depending on the thermal performance of balcony window with low-e glazing.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32, No. 2, pp. 58-63, 2012 

  24. Lee. M. R, Park. J. H, Han. C. H, Tae. C. 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new and renewable energy certification criteria in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33, No. 4, pp. 80-88, 2013 

  25. Frost&Sullivan, Asia-Pacific Buildings Sector : Macro to Micro Implications of Mega Trends to 2025, Building Reformation is an New Form of Economic and Green Growth in Asia-Pacific,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