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유치도뇨관, 중심정맥관 및 인공호흡기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과 수행도
Knowledge and Performance Level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on Indwelling Urinary Catheter, Central Venous Catheter and Ventilator Among Intensive Care Nurs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6, 2016년, pp.113 - 120  

하현정 (부산대학교 병원) ,  박정하 (동서대학교 간호학과) ,  김명희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도뇨관, 중심정맥관 및 인공호흡기 감염관리지침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지식과 수행도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2개의 상급종합병원과 3개의 종합병원의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75명이다. 자료수집은 2013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각 지식수준은 유치도뇨 관리관(평균 0.87점), 중심정맥관(0.82점), 인공호흡기(0.82점)순으로 나타났으며, 수행도는 유치도뇨 관리관(평균 4.18점), 인공호흡기(4.04점)중심정맥관(4.07점)순이었다. 지식과 수행도에서는 유치도뇨관(r=.72, p<.00), 중심정맥관(r=.54, p<.001), 및 인공호흡기(r=.30, p<.001) 감염관리간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유치도뇨관 감염관리지침에 대한 지식과 수행도는 성별, 최종학력, 근무경력, 담당환자 수, 병원규모, 세미나 참석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중심정맥관 감염관리지침에 대한 지식과 수행도는 최종학력, 근무경력, 담당환자 수, 병원규모, 세미나 참석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인공호흡기 감염관리지침에 대한 지식은 근무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감염관리지침에 대한 지식과 수행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nowledge of and adherence to the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for indwelling urinary catheters, central venous catheters and ventilators among intensive care nurses. The subjects were 175 intensive care nurses working in 2 upper general hospitals and 3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유치도뇨관, 중심정맥관, 인공호흡기 관련감염의 세 가지 지식과 수행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서 의료관련 감염률이 높은 기구인 유치도뇨관, 중심정맥관, 인공호흡기를 중심으로 CDC와 국내 질병관리본부 감염관리지침에 근거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지식과 수행도를 파악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결과 유치도뇨관 감염관리지침에 대한 지식과 수행도가, 중심정맥관과 인공호흡기 보다 높았으며 지식과 수행의 상관성도 유치도뇨관이 중심정맥관, 인공호흡기 보다 높았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서 의료관련 감염률이 높은 유치도뇨관, 중심정맥관, 인공호흡기 감염관리지침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과 수행도를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주요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도뇨관, 중심정맥관 및 인공호흡기 감염관리지침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지식과 수행도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와 CDC의 감염관리지침에 근거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유치도뇨관, 중심정맥관, 인공호흡기 관련감염의 세 가지 지식과 수행도 정도를 조사함으로서 중환자 감염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실은 생명 유지를 위해 여러 가지 삽입 기구의 사용과 시술이 빈번한데 이로 인해 어떤 문제가 있을 수 있는가? 중환자실은 면역저하 환자, 외상 환자, 호흡부전 환자 및 각종 기저 질환으로 생명이 위독한 환자들이 집중적으로 치료를 받는 곳이며 생명 유지를 위해 여러 가지 삽입 기구의 사용과 시술이 빈번하다[1]. 이로 인해 일반 병동보다 의료관련감염 발생률이 1.7~7배 높아[2] 재원 기간이 늘어나고 추가적인 의료비용이 발생할 뿐 아니라 유병률과 사망률까지 높아지게 된다[3].
중환자실은 어떤 곳인가? 중환자실은 면역저하 환자, 외상 환자, 호흡부전 환자 및 각종 기저 질환으로 생명이 위독한 환자들이 집중적으로 치료를 받는 곳이며 생명 유지를 위해 여러 가지 삽입 기구의 사용과 시술이 빈번하다[1]. 이로 인해 일반 병동보다 의료관련감염 발생률이 1.
중환자실에서 삽입기구와 관련된 감염 발생률을 조사하는데 대상이 되는 감염들은 무엇인가? 중환자실을 대상으로 의료관련감염의 발생을 모니터하기 위해서는 중환자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삽입기구와 관련된 감염 발생률을 조사하는데 주로 중심정맥관, 유치도뇨관, 인공호흡기 관련 감염이 대상이 된다[1]. 조사결과 요로감염의 99%는 유치도뇨관, 혈류감염의 85%는 중심정맥관, 폐렴의 60%는 인공호흡기와 관련이 있어[4] 이들에 대한 임상적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 W. Youn, O. S. Kim, E. S. Park, H. S. Oh, S. Y. Jeong, J. S. Jeong, et al. Infection Management, Orebook, Seoul, 2014. 

  2. Korean Society for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Infection Management of Healthcare 4th ed, Hanmibook, Seoul, 2011. 

  3. Blot SI, Peleman R, Vandewoude KH. "Invasive devices: no need? No use!", Intensive Care Medicine, 33(2) pp. 209-211, 2007. DOI: http:// dx.doi.org/10.1007/ s00134-006-0464-3 

  4. M. H. Jun, Y B. Park, S. R. Kim, H, K. Cheon, S. H. Han, J. H. Bang. et al. "The national healthcare infection surveillance system of intensive care unit: From July 2010 to Jun 2011", Korean Society for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17(1) pp. 28-39, 2012. 

  5. H. S. Oh. "National survey on nurses' knowledge of infection control in general hospitals and analysis of variables to impact on their knowledge",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10(2) pp. 78-86, 2005. 

  6. H. J. Cheong, C. M. Cho. "The study of knowledge and performance about preventive action of the nosocomial infec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9(2) pp. 18-31, 2004. 

  7. Haleyn RW, Quade D, Freeman HE, Bennett JV. The SENIC Project. "Study on the efficacy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SENIC Project). Summary of study design",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11(5) pp. 472-485, 1980. 

  8. J. Y. Yoo, E. K. Oh, H. K. Hyu, M. N. Choi. "Level of knowledge on evidence-based infection control and influencing factors on performance among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4(3) pp. 232-243, 2012.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2.24.3.232 

  9. El-Khatib MF, Zeineldine S, Ayoub C, Husari A, Bou-Khalil PK. "Critical care clinicians' knowledge of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preventing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9(3) pp. 272-276, 2010. DOI: http://dx.doi.org/10.4037/ajcc2009131 

  10. Labeau S, Vandijck D, Rello J, Adam S, Rosa A, Wenisch C, et al.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s for preventing central venous catheter-related infection: results of a knowledge test among 3405 European intensive care nurses", Critical Care Medicine, 37(1) pp. 320-323, 2009. DOI: http://dx.doi.org/10.1097/CCM.0b013e3181926489 

  11. H. S. Kim. "A study of knowledge and practice on urinary track infection management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2009. 

  12. K. S. Kim, S. M. Lee. "Effect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P) control education on ICU nurses'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nd incidence of pneumonia",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3(2) pp. 13-22, 2010. 

  13. M. S. Yu, K. O. Ban, I. Y. Yu. Recognition, self and objective evaluations of nosocomial respiratory infection control practices by ICU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9(3), pp. 349-359, 2002. 

  14. Guideline for Prevention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2009, http://www.cdc.gov/hicpac/pdf/CAUTI/CAUTIguideline2009final.pdf, March, 5, 2013. 

  15. M. S. Lee, Developing standard guidelines for infection control in intensive care units,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0. 

  16. K. O. Ba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Program to Prevent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in the ICU",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1(2) pp. 155-166, 2009. 

  17. Bonello RS, Fletcher CE, Becker WK, Clutter KK, Arjes SL, Cook J, et al. "An intensive care unit quality improvement collaborative in nine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hospitals: Reducing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nd catheter-related bloodstream infection rates", The Joint Commission Journal on Quality and Patient Safety, 34(11) pp. 639-645, 2008. 

  18. Hatler CW, Mast D, Corderella J, Mitchell G, Howard K, Aragon J, et al. "Using evidence and process improvement strategies to enhance healthcare outcomes for the critically ill: A pilot project".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5(6) pp. 549-555, 2006. 

  19. O'Keefe MS, Santiago C, Lau G.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bundled strategies: An evidence-based practice",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5(4) pp. 193-204, 2008. DOI: http://dx.doi.org/10.1111/j.1741-6787.2008.00140.x 

  20. Sinuff T, Muscedere J, Cook D, Dodek P, Heyland D.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mproving outcomes through guideline implementation", Journal of Critical Care, 23(1) pp. 118-125, 2008. DOI: http://dx.doi.org/10.1016/j.jcrc.2007.11.013 

  21. Guidelines for Preventing Health-Care-Associated Pneumonia, 2003. http://www.cdc.gov/hicpac/pdf/guidelines/HApneu2003guidelines.pdf, March 5, 2013. 

  22. 2011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Intravascular Catheter-Related Infections. 2011, http://www.cdc.gov/hicpac/pdf/guidelines/bsi-guidelines-2011.pdf, March 5, 2013. 

  23.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Core nursing practice & skill check list for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3rd ed. Seoul, 2014. 

  24. Labeau S, Vandijck D, Rello J, Adam S, Rosa A, Wenisch C, et al.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results of a knowledge test among European intensive care nurses".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70(2) pp 180-185, 2008. DOI: http://dx.doi.org/10.1016/j.jhin.2008.06.027 http://dx.doi.org/doi:10.1016/j.jhin.2008.06.027. 

  25. M. K. Lee. "Intensive care unit nurses' knowledg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hospital infection contr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2012. 

  26.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Medical certification standards investigation for upper general hospital 2nd ed. Seoul, 2014. 

  27. M. Y. Kim, C. M. Jeong. "The level of the awareness and the compliance on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among clinical nurses in the hospital",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7(2) pp. 58-69, 2002. 

  28. K. M. Kim, H. J. Kim, J. S. Choi. "Knowledge and performance level of infection control and influencing factors of oriental medical doctors and nurs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4(1), 74-84 pp. 2012. 

  29. Marra AR, Sampaio TZ, Goncalves P, Sogayar AM, Moura DF, Guastelli LR, et al. "Preventing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in the zero-tolerance era",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9(10) pp. 817-822, 2011. DOI: http://dx.doi.org/10.1016/j.ajic.2011.01.013 

  30. E. H. Chang, M. H. Mo, E. H. Choi. "A comparative study on perceived importance and frequency of core nursing skills between general and special ward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2) pp. 1264-1272,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2.12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