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신호 단일로 횡단보도에서 고령 보행자의 횡단행태조사 및 분석
An Investigation of Road Crossing Behaviour of Older Pedestrians at Unsignalized Crosswalk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4 no.3, 2016년, pp.207 - 221  

장정아 (아주대학교 TOD기반 지속가능 도시교통연구센터) ,  김정화 (아주대학교 TOD기반 지속가능 도시교통연구센터) ,  최기주 (아주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우리나라 고령자의 보행사고건수는 전체 보행자 사고건수의 25.9%를 차지하고 있고 이중 고령자 사망사고는 57%에 달한다. 향후 다가올 고령사회를 대비하여 이러한 고령자 사고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3차로 무신호 일반로 구간내 횡단보도지역에서 고령자와 비고령자의 횡단단계에 대한 이동행태지표를 정의, 조사 및 분석한 연구이다. 유의성 분석 결과, 고령자와 비고령자의 이동 행태상 몇 가지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접근차량의 존재유무에 따라 고령자와 비고령자 간에 횡단보도 접근시간, 횡단보도 대기시간, 횡단보도 연석에서의 시선수, 횡단하면서의 시선수애 대한 통계적 차이가 존재하였다. 둘째, 횡단 보도 횡단시간의 경우 고령자는 비고령자의 1.16배가 더 소요되고, 고령자의 보행속도는 비고령자의 84.4%의 수준이다. 셋째, 보행수는 고령자가 비고령자에 비하여 약 1.12배가 많았고, 보폭의 크기는 고령자가 비고령자에 비하여 90%의 수준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고령자는 횡단을 위해 대기하는 동안 연속된 차량의 차두간격이 비고령자 대비 1.67배 이상 크게 요구하고 있었다. 이러한 주요 분석 결과는 고령자 횡단 시설 및 도로설계 등에 기초적인 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older pedestrian accounted for 57% of all pedestrian deaths although a ratio of older pedestrian accidents to total pedestrian accidents was only 25.9%. Though ageing population problem becomes more challenging for road safety, little is know about the behaviour of older pedestrian's beha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비고령자와 고령자의 횡단행태 자료를 현장에서 수집하고 이를 비디오 분석과정을 통하여 데이터를 구축 및 분석하였다. 기존 보행자의 행태 조사 및 분석과정은 아직 정형화된 방법론이 부재하기 때문에 기존 연구 문헌을 참고로 주요 조사 데이터를 정의하였고, 현장 데이터를 비디오로 촬영하여 Photoshop Pro Cs 8.
  • 미래 고령자 보행사고를 줄이는데 기여하는데 필수적 분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시적 관점의 접근법으로 고령자의 횡단상황에 대하여 신체적 횡단 특성부문에 대하여 횡단 단계별로 최대한 상세히 정의, 조사 및 분석하여 우리나라 고령 보행자의 횡단 이동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Police agency(2014)에 의하면, 고령 횡단보도사고는 보행자사고의 1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지적기능 저하는 무엇인가? 신체적 기능저하라 함은 노화에 따른 시각능력의 저하(UFOV 횡적축소 및 대비 민감도 감소), 청력저하로 인한 주의력 감소, 근골격시스템의 손상에 따른 지구력, 민첩성의 저하에 대한 것이다. 인지적기능 저하라 함은 신체적 기능저하에 따른 인지기능의 동반저하, 시력/청력저하에 따른 정보처리 및 판단지연/판단오류의 증가, 근골격시스템의 손상에 따른 신속한 대응 불가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신체적 특성은 여러 연구 문헌에서도 유사하게 제시하고 있는데 Burg(1968)는 67세 정도의 고령자 주변 시야각이 20대 청년에 비하여 약 17도 정도 더 좁다는 사실을 관찰하였으며, 고령자들의 가용 시각장이 젊은이들에 비하여 더 좁다고 하였다.
UN에 의하면 몇세 이상을 고령자로 정의하는가? UN(2005)에 의하면 65세 이상을 고령자로 정의하고, 65세 이상 인구 점유율이 7% 이상인 경우 고령화 사회, 14% 이상을 고령사회, 20% 이상을 초고령 사회로 분류하고 있다. Statistics Korea(2014)에 의하면, 고령인구 비율이 1990년 5.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화 사회와 더불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이러한 추세에 의하면 2060년대는 고령화율은 4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고령화 가속화와 더불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고령자 교통사고에 대한 문제이다. Oh(2015)에 의하면 고령운전자 교통사고는 2010년 12,623건에서 2014년 20,275건으로 6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urg A. (1968), Vision Test Score and Driving Record: Additional Findings, Dep. of Eng., UCLA report., 18. 

  2. Cho Y. H. (2014), A Case Study on the Traffic Safety Measures for the Elderly Walkers: the Case of Namgu, Gwangju Univ. Degree of Master. 

  3. Choi S. T., Lee H. S., Choo S. H., Kim S. J. (2015), Development of Severity Model for Elderly Pedestrian Accidents Considering Urban Facility Factor, J. Korean Soc. Saf., 30(1), Korean Society of Safety, 94-103. 

  4. Ding T., Wang S., Xi J., Zheng L., Wang Q. (2015), Psychology-Based Research on Unsafe Behavior by Pedestrians When Crossing the Street, Advances in Mechanical Engineering 7(1), 203867. 

  5. Guangxin L., Keping L. (2009), Pedestrian's Psychology on Gap Selecting When Crossing Street,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ransportation Engineering 2009, ASCE, 2138-2144. 

  6. Jeong J. H., Seol J. H., Choi S. T., Rho J. H., Lee J. S. (2014), Severity Analysis for Vulnerable Pedestrian Accident Utilizing Vehicle Recorder Database of Taxi, J. Korean Soc. Saf., 29(3), Korean Society of Safety, 98-106. 

  7. Jeong W. D. (2011), The Severity of Traffic Accidents Model's Comparative Analysis of Elderly and Non-Elderly, Ph.D Dissertation, Kyungil University., 30-33. 

  8. Lim K. W., Jang T. Y., Jang H., Ji H. J. (2006), Developing the Predicting Model of Older Drivers' Accidents, The 53th Conference of KST,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93-202. 

  9. Oh J. S. (2015), Elderly Pedestrian Walking Behavior and Analysis, Conference of Society of Transportation. 

  10. Oxley J. A., Charlton J., Flides B. (2006), The Effect of Cognitive Impairment on Older Pedestrian Behaviour and Crash Risk, Monash University Accident research centre., 50. 

  11. Oxley J. A., Ihsen E., Fildes B. N., Charlton J. L., Day R. H. (2005), Crossing Roads Safely: An Experimental Study of Age Differences in Gap Selection by Pedestrian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7(5), Elsevier, 962-971 

  12. Park J. T., Choi B. B., Lee S. B. (2010),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s for the Elderly Pedestrians on Rural Highways, J. Korean Soc. Transp., 28(2),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55-162. 

  13. Police Agency (2014), The 2014 Edition Car Accident Statistics (2014년 교통사고통계). 

  14. UN (2005), Population Division of the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of the United Nations Secretariat,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06 Revision and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the 2005 Revision, https://esa.un.org/unpd/wpp/, 2016.06.17. 

  15. Yang J. S. (2005), Prevention of Road Traffic Accident Driving Behavior Intervention Technical Analysis, Human Ergonomics, 11(3),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ociety, 38-4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