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가정과 수업을 위한 '안전' 주제 중심 통합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the safety' theme-based integrate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for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Instruction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28 no.1, 2016년, pp.19 - 39  

김남은 (부산거제여자중학교) ,  채정현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조재순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분석과 학습자의 요구조사를 통하여 중학교 가정과 수업을 위한 '안전' 주제 중심 통합 교수 학습 과정안을 체계적이고 타당하게 개발하여 가정과교사들이 교실현장에서 안전교육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궁극적으로 청소년들이 안전한 생활을 실천하도록 기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우선, 1차에서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안전교육 내용의 분석 및 부산지역 여자 중학교 5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안전교육 요구도를 바탕으로 안전 내용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주제선정기준에 의해 7가지 통합 주제를 선정하고 각 통합주제별로 주제망을 구성하여 가정과 '안전' 주제중심 교육과정과 학습자료를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과는 1954년에 제정된 1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 시안에 이르기까지 안전에 대한 내용을 지속적으로 표기하고 있었다. 학생들의 안전교육 요구가 가장 높게 나온 내용요소는 성폭력 및 성매매 예방과 대처방법이고 자살예방 및 대처방법, 집단따돌림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낮게 나온 항목이 정리정돈이고 42개 모든 항목에서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가정과 수업을 위한 '안전' 주제 중심 통합 교육과정은 식생활안전, 청소년의 성과 안전, 청소년의 친구관계와 안전, 가족생활과 안전, 주생활과 안전, 청소년의 자아와 안전, 사회 환경과 안전의 7가지 통합주제를 선정하고, 각 통합주제에 따라서 3~6개씩 총 28개의 소주제(35차시 분)가 구성되었으며 이를 교실현장에서 손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안내하는 교수 학습 과정안 총 28편(35차시분량),과 다양한 학습자료 (PPT 28개, 동영상자료 25편, 읽기자료 4편, 학습지 61개, 활동지 14개, 평가지 16개, 테스트지 3개, 참고자료 2개, 학습자료 모형 4개(냉장고 모형, 토론신호등, 식판모형과 음식스티커, 푸드마일리지 카드)로 총 157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7개 통합 주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 개발에 초점이 있기에 우선순위에서 제외된 의생활과 안전, 갈등과 안전, 직업생활과 안전, 소비생활과 안전 주제 중심 교육과정 개발과 함께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안전의식과 행동 및 태도변화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afety theme-based integrated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s for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HE) Instruction and ultimately to contribute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to live their safe lives.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HE curriculum doc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정과에서 안전교육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바탕으로 가정과에서 어떻게 체계적으로 안전교육을 시킬 것인지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가정과의 안전교육 내용으로 식생활 안전, 주생활 안전, 청소년의 스트레스, 성폭력, 가정폭력 등을 제시하고 있어, 청소년들이 이와 관련된 안전한 생활을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청소년의 안전한 생활에 기여하는 가정교과의 가치를 제고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안전을 주제로 통합한 가정과 수업이 전국의 여러 학교에서 실행되어 우리나라 청소년 모두가 더욱 안전한 생활을 실천하길 기대해본다.
  • 본 수업의 교수·학습 과정안은 28편이지만 주제에 따라 1~3차시로(23개의 소주제는 1차시씩, 3개 소주제 2차시, 2개 소주제 3차시씩) 총 35차시의 수업이다. 수업은 교육환경과 여건에 따라 줄이거나 늘려 재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파이형태로 뽑아 사용할 수 있도록 소주제 사이의 긴밀성을 유지하면서도 내용 구성의 독립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학교중심 교육과정은 각 지역의 요구도가 무엇보다 중요한데, 각 지역의 학습 요구도에 따라 필요한 부분만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 본 수업이 체계적으로 전달되고, 학습자로 하여금 지속적인 실천을 유도하기 위해 가정과 내에서 가능한 안전교육 지식을 구조화하였고, 가치 판단을 하게끔 하여 학생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 더 나아가 사회구성원을 생각하여 행동하게 하였다. 여기에 부분적으로 추론 능력을 길러주는 질문을 사용하였으며, 자신의 행동이 개인, 가정, 사회에 미치는 영향까지 생각해보게 하여 스스로 판단하여 행동할 수 있는 태도를 함양하고자 하였다.
  • 이에 교육과정 분석과 학습자의 요구조사를 통하여 중학교 가정과 수업을 위한 ‘안전’ 주제 중심 통합 교수·학습 과정안을 체계적이고 타당하게 개발하여 가정과교사들이 교실현장에서 안전교육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궁극적으로 청소년들이 안전한 생활을 실천하도록 기여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분석과 학습자의 요구조사를 통하여 중학교 가정과 수업을 위한 안전 주제 중심 통합 교수·학습 과정안을 체계적이고 타당하게 개발하여 가정과교사들이 교실현장에서 안전교육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궁극적으로 청소년들이 안전한 생활을 실천하도록 기여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양한 정의를 포괄한 안전의 개념은 무엇인가? Choi(2004)는 다양한 정의를 포괄하여 안전이란, 사람의 사망, 상해 또는 설비나 재산손해 또는 상실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상태가 전혀 없는 것으로 물적인 위험(danger) 및 정신적인 괴로움을 일으키는 것(evil)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으로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라고 개념화 하였다. 안전한 상태란 위험 원인이 없는 상태 또는 위험 원인이 있더라도 인간이 위해를 받는 일이 없도록 대책이 세워져 있고, 그런 사실이 확인된 상태를 뜻한다(Doosan, 2015).
청소년기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이를 통해 볼 때 자아존중감을 형성하기, 청소년기의 바람직한 친구관계 형성, 집단 따돌림 방지, 자살 방지에 대한 교육이 함께 실시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학교 폭력 문제와 집단 따돌림, 물리적 폭력, 언어폭력, 사이버 폭력, 스트레스, 갈등 등)이 있으므로 이러한 매개요인들을 없애도록 하거나 자아존중감을 기르는 교육을 통해 이를 극복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교육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청소년기의 안전교육이 다른 어느 시기보다 효과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안전교육은 안전사고의 위험 가능성을 낮추고 예방하기 위한 가장 적극적인 방법인데(Kim & Kim, 2009) 청소년기의 안전교육은 다른 어느 시기보다 효과적이다(Jang, Jung, Ok, Lee & Kim, 1997; Kim, 2001; Kim, 2009; Lee, Jang, Jung, Bae & Park, 1997). 왜냐하면 청소년은 성인에 비해 행동변화가 쉽고(Lee, 1997), 학습에 대한 요구가 높아 안전에 대한 의식을 갖기 쉽고 감수성이 예민하여 교육적인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KOSHA,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Bae, J-I. (2002). A Study on Accident-Prevention Education and Obey the Precautionary Regulations In Elementary School-Age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8(2), 219-229. 

  2. Cho, M-G. (2007). A Study on the Improvement Options and Real Situation about Education of Experiment Class in Technical High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 Ha University of Education, In-Cheon, Korea. 

  3. Cho, O-S., & Back, J-A. (2014). The Effects of Adolescent's Academic Stress and School Bullying Victim on Suicidal Ide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Journal of Health and Medical Industry, 8(2), 233-244. 

  4. Choi, S-B. (2004). Dictionary of Occupational Safety. Seoul: gold. 

  5. Choi, I-B. (1982). Safety lessons. Seoul: Jung used. 

  6. Dick, W., Carey, L., & Carey, J. O. (2014).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8th ed.). Boston, MA: Pearson. 

  7. Doosan Encyclopedia/ (2015). www.doopedia.co.kr 에서 2015. 2. 10. 검색 

  8. Ingram, J. B. (1979). Curriculum integration and life long education: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school curricula. Bae J-S, Lee Y-M translate(1995). Curriculum integration and lifelong education. Seoul: Hakjisa. 

  9. Jang, S-M,. Jung, T-H,. Ok, J-P,. Lee, J-P & Kim, S-H. (1997). School Safety School safety guidelines and organize training. Korea Industrial Safety Corporation. 

  10. Kang, K-H., & Kim, Y-N. (2010).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actical Problem-based Lesson Plan on Consumer Choice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 Focused on the 'Dietary Life' in High School Home Economics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2), 101-113. 

  11. Kang, I-W. (2005). A Study on civil liability due to school accid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2. Kwak,, B-S. (1993). Law on defining philosoph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The Won-kwang University Graduated, 11, 135-150. 

  13. Kwak, E-B. (1999). A study of young children's safety awareness. The Journal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ducation, 14, 107-122. 

  14. Kwon, M-J. (2013). Development of Lesson Plans for Food Hygiene and Safety in Food Converg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kyung University, Kim-hae, Korea. 

  15. Kwon, S-S. (2005). Development and Effect Evaluation of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Higher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Purpose : This study eval. Journal of the Korea School Safety, 18(2), 45-61. 

  16. Kwon, Y-K., & Park, J-K. (2013). Pilot Study of Safety Education and Safety Awareness in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Korea Industrial and System Engineering Conference(pp.100-107) 

  17. Kim, N-E., & Lee, H-J.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lothing Life Domain in Home Economics through a Theme-Based Integrated Approac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63-188. 

  18. Kim, D-H., Lee, E-H., Heo, E-S & Kang, J-Y. (1997). Integrated Management of curriculum. Seoul: Muneumsa. 

  19. Kim, D-H. (2004). The Safety Education and the Safety Guidance Measures in School.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pp. 4-27). 

  20. Kim, M-J. (2011). Development of Education Materials on food safe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an-won University, Kim-hae, Korea. 

  21. Kim, E-J. (2009). A Study on Recogni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buk Area about Hazard and Safety of Food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Cont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buk University, Kim-hae, Korea. 

  22. Kim, S-Y. (2010). A study on the influence for the recognitions of students on the present situation of safety education and the safety accident in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gin University, Yongin, Korea. 

  23. Kim, S-S. (1994). Introduction of School Health. Seoul: Bogyeong-Munhawsa. 

  24. Kim, S-J., Kang, K-A, & Song, M-K. (2008). Comparis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on Demands for Safety Educatio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4(3), 232-242. 

  25. Kim, S-J., Lee, J-E & Song, M-K (2003).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injury prevention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9(4), 349-358. 

  26. Kim, S-J., & Kim, S-H. (2009). Development of a safety education guideline book for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5(2), 145-154. 

  27. Kim, S-J., Lee, J-E., Kim, K-M., Park, M-O., Back, S-S., Song, M-K & Choi, M-S. (2003). Safety Education Needs and Knowledge and Attitude of Injury Preven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9(3), 250-258. 

  28. Kim, Y-H. (2001). Study on safety awareness and safe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Kim-hae, Korea. 

  29. Kim, Y-I. (2003). A Strategy for safety education through the practical arts subjec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practical arts Education, 16(4), 51-65. 

  30. Kim, J-Y. (2009). Comparison of elementary safety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31. Kim, H-Y., & Kim J-W. (201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ood Safety Education Textbook on Agri-Food for Creative Activities of 2009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practical arts Education, 24(3), 255-279. 

  32. Kim, H-W. (200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easuring Scale of Safety Conscious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33. Kim, Y-S., & Yoon, J-J. (2010).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the content and instructional methods in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hildhood Education, 30(4), 49-78. 

  34. KOSHA (1999). School Health and Safety Guidelines. http://www.kosha.or.kr 

  35. Lee, G-E., & Jung, H-S. (2012).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Contents System for Safe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Korea Journal of School Health, 25(2), 175-191. 

  36. Lee, K-S., Jang, Y-H., Jung, M-R., Bae, S-Y., & Park, S-H. (1997).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eoul: Yangseowon. 

  37. Lee, M-S., & Park, K-O. (2004). School Safety Education Factors Predicting Injury Prevalence Among Korean Adolescence. Journal of Health Education, 21(2), 147-165. 

  38. Lee, M-S. (2006). Injury problems and the risk factors by injury-based life cycle for public health promotion. E-wha Womans University Industry -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Health Promotion Support Group. 

  39. Lee, M-S., Lee, S-Y., & Kim, S-H. (2013). The Effect of Fire Safety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Safety Behavior -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9(11), 329-343. 

  40. Lee, S-J. (199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jury Preventive Behaviors and Accident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41. Marland, S. K., James, A,. E., Ralph, B. C., & John, E, R. (1973). Fundamentals of safety education(3rd.). New York: Macmillan Co. 

  42. Ministy of Education. (2011). 2009 curriculum revision. 

  43. Ministy of Education. (2015a). 7 safety Education standards. 

  44. Ministy of Education. (2015b). 2015 curriculum revision. 

  45. Ministry of Statistics Korea. (2013). 2012 Cause of Death Statistics.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308560 

  46. Park, M-Y., & Cho, H-S. (2009). Early Childhood Teachers' Maintenance of Safe Environments and Provision of Safety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Effects on Reduction of Safety Accidents. Journal of Study on Teacher Education, 48(2), 1-18. 

  47. Park, J-H,. Kim, S-Y., & Lee, G-N. (2013). Safety Education Status and Needs based on the Survey of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 focused on 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practical arts Education, 26(3), 185-203. 

  48. Seo, Y-H., & Jung, H-Y. (2012). meaning of pre-service educare teachers’ experiences about child safety management classes based on problem based learning (PB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Child Care and Education, 8(1), 145-167. 

  49. Son, J-Y., & Chae, J-H. (2013). The develop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in middle school : Based on the Practical Action Teaching Mode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5(2). 103-128. 

  50. Sim, E-S. (2003). Safety-awareness, Safety-practice and Accident Occurrence among Elementary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safety-aware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51. Worick, W. (1975). Safety educa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52. Yang, J-H. (2005). The Effects of Situation-oriented Safety Education Program on Children's Safety Knowledge and Safety Problem-Solving Skill. Journal of Kor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26(6), 367-383. 

  53. Yim, H-J., Lee, J-Y., Park, K-M., & Sul, D-H. (1997). An Emperical Research on the Quality of Life and Psycho-Physical Safety. Journal of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20(1), 161-199. 

  54. Yoo, H-J. (2008). A Study for Securing the Safety Right : Focused on the Criterion of the Acceptable Risk Level for Disadvantaged Class. Journal of The Korea crisis management, 4(2), 17-31. 

  55. Yoon, H-J., & Yoon, K-S. (2007). Elementary School Students' Knowledge, Behavior and Request for Education Method Associated with Food Safety.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3(2), 169-182. 

  56. Yoon, Y-H. (2003).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educational program regarding life safety for children of low grade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ang-Myeong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