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아 영재성에 영향을 미치는 창의성, 동기, 가족체계 간의 구조모형 분석
A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the Effects of Creativity, Motivation, Family System on Gifted Preschool Children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6 no.2, 2016년, pp.281 - 297  

이채호 (대경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 영재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인(창의성) 비인지적 요인(동기), 가정환경적 요인(가족체계)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U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8곳에서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230명의 부모와 담임교사들이 참여하였으며 수집 된 자료는 신뢰도(Cronbach's ${\alpha}$) 계수 및 상관계수를 구하고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모형분석(SEM)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유아 영재성에 영향을 미치는 창의성, 동기, 가족체계 간의 구조모형의 적합도 지수들은 RMSEA=.016(.000~.066), SRMR=.044, TLI=.996, CFI=.999로 모두 권장 적합도 수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창의성, 가족체계가 유아 영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 체계는 유아 영재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족체계는 창의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gifted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related variables(creativity, motivation, family system). 230 preschool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from U-city hav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재성과 관련이 보고된 창의성, 동기, 가족환경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유아영재와 관련한 부족한 선행연구를 제공하고 유아 영재교육에 있어서 필요한 요인들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재교육 진흥법에서 명시한 영재란? 우리나라의 영재 정의는 영재교육진흥법(2000)에서 ‘재능이 뛰어난 사람으로서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하기 위하여 특별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자’ 라고 명시하고 있다. 또한 영재교육 대상자를 ‘고등학교 과정 이하의 각 급 학교에 취학한 자 중에서 다음의 각 호의 1의 사항(① 일반지능, ②특수 학문 적성, ③창의적 사고능력, ④예술적 재능, ⑤신체적 재능, ⑥기타 특별한 재능)에 대하여 뛰어나거나 잠재력이 우수한 사람 중 영재판별 기준에 의하여 판별된 사람을 영재교육 대상자로 선정한다.
영재교육을 개인과 국가 차원에서 보면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영재교육은 크게 두 차원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첫째, 개인적 차원으로 모든 인간은 누구나 자신이 지닌 잠재력을 발휘하여 자아실현 및 행복을 영위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관점이다. 둘째, 국가적 차원으로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여 국가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다고 보는 관점이다(박성인,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 2003; 이채호, 최인수, 2011). 즉 영재교육이 개인적 차원이라면 영재아동의 심리적 특성과 교육적 욕구에 적합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해주어야 할 것이고 국가적 차원이라면 영재교육을 위한 법률적, 재정적 지원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뛰어난 성취를 한 사람들은 어떤 가정환경에 영향을 받은 것인가? 영재아동 부모의 양육 스타일은 아동이 독립적인 사고와 표현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Olszewski-Kubilius, 2008), 가족 구성원들 간의 후원과 지지의 균형을 맞추어 재능발달에 도움을 준다(Csikszentmihalyi, Rathunde, & Whalen, 1993). Herskovits(2000)는 뛰어난 성취를 한 사람들의 가정환경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부간의 합의, 가정 응집력, 부모의 지원 및 참여 등의 발전적인 환경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주장하였다. Bisno(1996), Csikszentmihalyi(1988), Garder(1993), Goertzel과 Goertzel(1962), MacKinnon(1965), Sternberg(1985) 등은 영재 혹은 창의적 성취를 이룬 인물이나 창의성이 요구되는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회고적(retrospective) 인터뷰를 통해 개인의 발달사를 추적하여 창의성에 관련된 요인을 살펴본 결과 창의적 성취에 개인적 특성과 부모, 가족과 관련된 환경특성이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다(Bisno,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9)

  1. 김빛내 (2011). 유아 영재 어머니의 양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2. 김 호 (2008). 유아의 내-외적 동기 및 어머니와 교사의 창의성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3(4), 283-298. 

  3.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4. 박성인,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5. 배혜선 (2003). 유아의 영재성과 창의성의 관계 분석.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6. 영재교육진흥법 (2000). 제정 2000, 1, 28, 법률 제6215호. 

  7. 오미형 (2005). 유아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창의적 가정환경과 정의적 인지적 특성간의 인과관계.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8. 이순복, 전귀연 (2006). 부모 및 가족 특성이 영재유아와 일반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6(4), 283-310. 

  9. 이옥형, 이현주 (2001). 영재의 정의적 특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교육연구, 35, 27-56. 

  10. 이채호 (2010). 유아영재관련 연구동향 분석. 아동교육, 19(3), 175-184. 

  11. 이채호 (2012). 유아영재 측정모형 타당화 및 관련변인들과의 관계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12. 이채호 (2015). 유아의 동기와 가족기능이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교육연구, 15(1), 83-95. 

  13. 이채호, 최인수 (2011). 부모-교사용 유아 간편 다중지능척도 타당화 연구. 영재교육연구, 21(2), 449-463. 

  14. 이채호, 최인수 (2012). 교사용 유아 영재성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영재교육연구, 22(2), 263-277. 

  15. 임지향 (2000). 정신지체 가정의 가족기능과 어머니의 일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16. 정민자 (2005). 유아의 창의성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창의적 특성변인간의 구조모형.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17. 정선미 (2011). 영재유아 어머니와 일반유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가족기능성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18. 장영숙 (2007). 부모용 유아 영재성 평정 척도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 14(2), 1-23. 

  19. 정정희, 윤미승, 김호년 (2007). 언어영재와 일반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과 언어적 창의성의 차이에 대한 연구. 아동교육, 16(2), 219-234 

  20. 조현정, 장영숙 (2010). 유아의 동기 및 자아개념과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 아동교육, 19(3), 251-264. 

  21. 최인수 (2011). 창의성의 발견. 서울: 쌤앤파커스. 

  22. 최현주 (2009). 유아영재와 일반유아의 정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23.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 161-177. 

  24. 황근순, 박병기 (2005). 지능과 창의성에 의한 영재유아와 일반유아의 비교. 아동교육, 14(2), 259-270. 

  25. 황해익, 이혜은 (2003). 영재성 판별 모형 개발을 위한 영재성 개념 탐색. 유아교육논총, 11, 39-56. 

  26. Amabile, T. M.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New York: Springer-Verlag . 

  27. Amabile, T. M. (1996). Creativity in context: Update to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Colorado: Westview Press 

  28. Amabile, T. M., Hill, K. G., Hennessey, B. A., & Tighe, E. N. (1994). The Work Preference Inventory: Assessing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5), 950-967. 

  29. Barbour, N. E. (1992). Early childhood gifted education: A collaborative perspective.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5(2), 145-162. 

  30. Benbow, C. P., & Arimand, O. (1990). Predictors of high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and science by mathematically talented students: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3), 430-441. 

  31. Bisno, M. H. (1996). Memories of parental attitudes and child-rearing behaviors among the intellectually gifted and creativ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lifornia School of Professional Psychology-Berkeley, Almeda. 

  32. Bloom, B. S. (1985). Developing talent in young people. NY: Ballatine Books. 

  33. Boomsma, A. (2000). Reporting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7(3), 461-483. 

  34. Csikszentmihalyi, M. (1982). Towards a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In L. Wheeler (Ed.), Review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2). Beverly Hills, CA: Sage. 

  35. Csikszentmihalyi, M. (1988). Society, culture, and person: a systems view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Ed.), The Nature of Creativity (pp. 325-339).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 Row. 

  37. Csiks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ew York: Harper Collins. 

  38. Csikszentmihalyi, M., Rathunde, K., & Whalen, S. (1993). Talented teenagers: The roots of success and fail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Dacey, J. S. (1999). Peak periods of creative growth a cross the lifespan. In Puccio, G. J., & Murdock, M. C. (Ed.). Creativity assesment: Reading and resources (pp. 323-345). Buffalo, NY:CEF Press. 

  40. Davis, G. A., & Rimm, S. B. (2004).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5nd Ed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41. Erlich, V. (1978). The Astor Program for gifted children: Pre-kindergarten through grade three.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42. Feldhusen, J. F. (1986). A conception of giftedness.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pp. 112-127).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Gagne, F. (1985). Giftedness and talent: Reexamining a reexamination of the definition. Gifted Child Quarterly, 29(3), 103-112. 

  44. Gagne, F. (2000). Understanding the complex choreography of talent development through DMGT-based analysis. In K. A. Heller, F. J. Monks, R. J. Sternberg & R. F. Subotnik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edness and talent(2nd ed.). Oxford, United Kingdom: Elsevier. 

  45. Gardner, H. (1983). The frames of minds: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New York: Basic Books. 

  46. Gardner, H. (1993). Multiple intelligence. New York: Basic Books. 

  47. Gilliam, J. E., Carpenter, B. O., & Christensen, J. R. (1996). Gifted and Talent Evaluation Scales: A norm-referenced procedure for identifying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Austin, TX: PRO-ED. 

  48. Goertzel, V., & Goertzel, M. G. (1962). Cradles of eminence. Boston: Little, Brawn. 

  49. Gogel, E. M., McCumsey, J., & Hewett, G. (1985). What parents are saying. G/C/T, 41, 7-9. 

  50. Gottfried, A. E., & Gottfried, A. W. (1996). A longitudinal study of academic intrinsic motivation in intellectually gifted children: childhood through early adolescence. Gifted Child Quarterly, 40(4), 179-183. 

  51. Gross, M. (1999). Small puppies: Highly gifted children in the early years. Roeper Review, 21(3), 207-214. 

  52. Harrison, C. (2004). Giftednes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earch for complexity and connection. Roeper Review, 26(2), 78-84. 

  53. Hennessey, B. A., & Amabile, T. M. (1987). Creativity and learning. Washington, DC: NEY Professional Library. 

  54. Herskovits, M. (2000). Family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of high ability. Gifted Education International, 14(3), 237-246. 

  55. Hodge, A. H., & Kemp, C. R. (2000). Exploring the nature of giftedness in preschool children.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4(1), 46-73. 

  56. Karen, J. A. (2001). Gifted: The lost minority. Kappa Delta Pi Record, 168-172. 

  57. Karnes, M. (1983). The underserved: Our young gifted children. Reston, VA: The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58. Kaufmann, F. A., & Sexton, D. (1983). Some inplications for home-school linkages. Roeper Review, 6(1), 49-51. 

  59. Kingore, B. (2001). The Kingore Observation Inventory(KOI). 2nd Ed. Austin: Professional Associates Publishing. 

  60. Kranz, B. (1981). Kranz talent identification instrument. Moorhead, MN: Moorhead State College. 

  61. Landau, E., Weissler, K., & Golod, G.(1996). Motivation and Giftedness. Gifted Education International, 11(3), 139-142. 

  62. MacKinnon, D. W. (1965). Personality and the realization of creative potential. American Psychologist, 20, 273-281. 

  63. Makel, M. C., & Plucker, J. A. (2008). Creativity. In S.I. Pfeiffer(Ed.) (pp.247-270). Handbook of Giftedness in Children Psycho-Educational Theory, Research, and Best Practices. New York: Kluwer Academic. 

  64. McCarney, S. B., & Anderson, P. D. (2009). The Gifted Evaluation Scale (3nd ed.): Technical manual. Columbia, MO: Hawthorne Educational Services, Inc. 

  65. McDonald, R. P., & Ho, M. H. R. (2002). Principles and practice in reporting structural equation analyses. Psychological Methods, 7(1), 64-82. 

  66. Olson, D. H., & Killorin, E. (1992). Clinical rating scale for circumplex model. St. Paul, MN: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67. Olszewski-Kubilius, P. (2008). The pole of the family in talent development. In S. I. Pfeiffer (Ed.), Handbook of giftedness in children: Psychoeducational theory, research, and best practices (pp. 53-70). New York: Springer. 

  68. Pfeiffer, S. I., & Petscher, Y. (2008). Identifying young gifted dhildren using the gifted rating scales-preschool/kindergarten form. Gifted Child Quarterly, 52(2), 19-29. 

  69.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an, 60(3), 180-184. 

  70. Renzulli, J. S. (1986). The three-ring conception of giftedness: A developmental model for creative productivity.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Eds.), Conceptualization of Giftedness (pp. 53-92).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71. Renzulli, J. S. (2005). The three-ring conception of giftedness: A developmental model for promoting creative productivity.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pp. 246-279).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72. Renzulli, J. S., & Reis, S. M. (1985). The school wide enrichment model: A comprehensive plan for educational excellence.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73. Renzulli, J. S., & Reis, S. M. (1997). The school wide enrichment model: A comprehensive plan for educational excellence.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74. Renzulli, J. S., Smith, L. H., White, A. J., Callahan, C. M., & Hartman, R. K. (1976).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75. Renzulli, J. S., Smith, L. H., White, A. J., Callahan, C. M., Hartman, R. K., & Westberg, K. L. (2002).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76. Rimm, S. B. (2001). Key to parenting the gifted child. Hauppage, N.Y.: Barron's Educational Series. 

  77. Roedell, W. C. (1985). Developing social competencies in gifted preschool children. Remdial and special Education, 6(4), 6-11. 

  78. Runco, M. A. (1996). Creativity and development: Recommendations. In M. A. Runco(Ed.), Creativity from childhood through adulthood: The developmental issues. San Francisco: Jossey Bass. 

  79. Runco, M. A. (2005). Creative giftedness.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pp. 295-311).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80. Ryser, G. R., & McConnell, K. (2004). Scales for Identifying Gifted Students. Waco, TX: Prufrock Press, Inc. 

  81. Silverman, L. K., & Golon, A. S. (2008). Clinical practice with gifted families. In S. I. Pfeiffer (Ed.), Handbook of giftedness in children: Psychoeducational theory, research, and best practices (pp. 199-222). New York: Springer. 

  82. Simpson, N. D. (1999). Relationships betwee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lligence, creativity, motivation, and gender role identity of gifted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 of Houston: Houston. 

  83. Sternberg, R. J. (1985). Beyond IQ: A triarchic theory of human intelligenc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84. Sternberg, R. J., & Davidson, J. E. (2005). Conceptions of giftedness (2nd Eds.). Boston,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85. Terman, L. M. (1925). Genetic studies of genius(vol. 1): Mental and physical traits of a thousand gifted children.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86. Terman, L. M., & Oden, M. H. (1947). Genetic studies of genius(vol. 4): The gifted child grows up.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87. Torrance, E. P. (1976). Guiding creative talent. New York: Robert E. Krieger. 

  88. Torrance, E. P. (1981). Thinking Creatively in Action and Movement. Illionis: Scholastic Testing Service, Inc. 

  89. Verna, M. A., & Spina, M. (2002). Parental processes and self-concepts e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italian student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AERA. April 1-5, New Orleans, LA. Heider, 200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