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개 시 지역사회 거주 독거여성노인의 요실금예방 운동프로그램 중재효과
The Effect of an Exercise Program for Preventing Urinary Incontinence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Females Living Alone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0 no.2, 2016년, pp.247 - 258  

송미숙 (아주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부선주 (아주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comprehensive exercise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urinary incontinence (UI), frailty, and depression, as well as the promotion of physical funct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female living alone.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개 시 보건소에서 방문간호를 제공받고 있는 65세 이상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요실금예방 운동프로그램의 중재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개 시 보건소에서 방문간호를 제공받고 있는 65세 이상 독거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요실금 예방근력운동 프로그램의 중재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지금까지의 국내의 요실금 예방프로그램을 적용한 선행연구가 복지관 등을 방문하는 비교적 활동성이 높은 재가노인이나 기능상태가 열악한 시설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복합적 문제를가지고 있는 취약한 저소득층 독거여성노인을 대상으로 한 요실금 중재제공 및 효과 평가에 관한 연구가 부재한 상태에서, 이들에게 주 1회, 회기당 40분, 12주 동안의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대상자의 주요 건강문제였던 주관적 요실금 정도가 개선되고 신체적 기능인 동적균형능력과 허약수준이 호전되었으며, 정서적 기능인 우울 수준이 감소한 효과를 보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 경증 요실금 증상이 있는 독거여성노인에게 신체기능향상을 중심으로 하는 12주간의 요실금 예방운동을 중재한 후 그 효과를 주관적 요실금 정도, 악력, 동적균형능력, 우울, 허약수준으로 측정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요실금 예방운동을 중재한 후 실험군에서 대상자의 주요 건강문제였던 주관적 요실금 정도가 개선되고 신체적 기능인 동적균형능력과 허약수준이 호전되었으며, 정서적 기능인 우울수준이 감소됨을 보였으나, 악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 이에 본 연구팀은 일개 시 독거노인들이 갖고 있는 가장 공통적인 건강문제인 요실금과 우울, 그리고 허약한 복합적인 문제점을 통합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골반저 근육 강화와 밴드를 이용한 신체적 근력강화운동에 정서적 및 사회적 기능 향상을 위한 전략을 추가적으로 가미한 요실금예방 운동프로그램을 중재하여 대상자의 건강수준을 높이기 위한 집단적 접근을 시도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요실금예방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주관적 요실금 점수가 낮을 것이다.
  • 가설 2: 요실금예방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악력이 높을 것이다.
  • 가설 3: 요실금예방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동적균형능력이 개선될 것이다.
  • 가설 4: 요실금예방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우울점수가 낮을 것이다.
  • 가설 5: 요실금예방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허약점수가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거노인의 특징은 무엇인가?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독거노인은 신체적, 정서적 건강위험집단으로 분류되고 있다(Sim, 2007; Sung, Lim, & Joo, 2011). 독거노인은 다른 거주형태의 노인에 비해 건강수준(Kim, 2007) 및 자가역량이 낮으며(Park & Oh, 2012), 가족과의 관계단절 및 주변 친구들의 상실로 인한 심리적 갈등과 슬픔, 고독감을 경험하고(Ko & Cho, 2013), 사회적 지지와 경제적 자원을 쉽게 얻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Sung et al., 2011).
지역사회 여러 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독거노인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이 효과를 제대로 거두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이며, 이에 따라 어떤 전략이 요구되어지는가? 그렇지만 지역사회 여러 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독거노인을 위한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은 특정 건강문제에만 국한하여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효과성을 기대하기 어렵고, 자발적인 참여 동기가 제한적이어서 프로그램의 성과를 제대로 거두지 못하고 있다(Lee &Park, 2011). 따라서 이들의 복합적인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인구학적·개인적 특성을 고려하여 포괄적인 건강관리 프로그램으로 포함할 뿐 아니라, 이들의 참여를 촉진시킬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국내 재가 여성 노인의 요실금 유병률은 어느 정도인가? 요실금은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그 유병률의 차이를 보이는데, 특히 여성노인에게서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국내 재가 여성 노인의 요실금 유병률은 56.3%~64.2% (Park, Kwon, & Kang,2001; Shin, Kang, & Oak, 2008; Yoon, Kwon, Park, & Cho, 2008)로서, 독거노인의 요실금 유병률이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Yoon et a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oi, I. H. (2008). The effects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on urinary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1), 46-56. 

  2. Choi, K. W., Park, E. A., & Lee, I. S. (2012). Homebound status and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age in female elders in the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2), 291-301. http://dx.doi.org/10.4040/jkan.2012.42.2.291 

  3. Choi, K. W. & Park, E. A. (2013). The severity of urinary incontinence and relevant factors in low-income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3(2), 335-347. 

  4. Hanam Health Center (2014). Reports for visiting health management project. Hanam: Ajou university college of nursing. 

  5. Holroyd-Leduc, J. M., Mehta, K. M., & Covinsky, K. E. (2004). Urinary incontinence and its association with death, nursing home admission, and functional declin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2(5), 712-718.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4.52207.x 

  6. Jang, I. S. & Park, E. O. (2013). The prevalence and factors of falls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1), 89-101. 

  7. Jeong, S. S. & Kim, J. S. (2014).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s and health level between elders living alone and those living with a spouse. Global Health and Nursing, 4(1), 27-36. 

  8. Kang, H. K. & Hong, G.-R. S. (2015). Effect of muscle strength training on urinary incontinence and physical func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1), 35-45. http://dx.doi.org/10.4040/jkan.2015.45.1.35 

  9. Kee, B. S.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5(2), 298-307. 

  10. Kim, E. H. (2011).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ra-band exercise program for frail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3), 1241-1254. 

  11. Kim, H. G. & Nam, H. K. (2011). The effect of thera band exercise on muscle flexibility, balance ability, muscle strength in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2(4), 451-457. http://dx.doi.org/10.12799/jkachn.2011.22.4.451 

  12. Kim, I. J., Lee, E. O., & Choi, H. J. (2003). Perceived barriers to exercise of adults: Difference by age, gender and resid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5(2), 193-204. 

  13. Kim, K. H., Park, H. J., Jin, L. H., Kang, Y. H., & Shin, K. R. (2007). The correlation among quality of life, depression, and urinary incontinence of elderly women in a urb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7(4), 943-962. 

  14. Kim, M. S. & Lee, S. H. (2008). Prevalence rate and associated factors of urinary incontinence among nursing home resi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1), 92-100. http://dx.doi.org/10.4040/jkan.2008.38.1.92 

  15. Kim, Y. J. (2007). Differences in health, economic status, and social relations of female elderly living alone : A comparative analysis of residental areas including urban, rural, fishing, and island communities in Chungcheong province.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18(3), 417-431. 

  16. Ko, Y. M. & Cho, Y. (2013). Different influence of risk factors on self-rated health between the economically poor and non-poor elderly populations living alone: Based on one sub-area in Seoul.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0(2), 41-53. http://dx.doi.org/10.14367/kjhep.2013.30.2.041 

  17. Lee, D. Y. & Park, J. D. (2011). A study on the factor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t home to determine their participation in a health promotion activity program: With the application of Anderson model. Social Welfare Policy, 38(4), 1-23. 

  18. Lin, Q. L., Kim, H. K., & Ann, J. S. (2011).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activit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1(1), 33-47. 

  19. Matos, L. C., Tavares, M. M., & Amaral, T. F. (2007). Handgrip strength as a hospital admission nutritional risk screening method.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61(9), 1128-1135. http://dx.doi.org/10.1038/sj.ejcn.1602627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ffairs. (2011). Guidebook for 2013 community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Seoul: Author. 

  21. Park, J. S. & Oh, Y. J. (2012). Factors influencing empowerment of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beneficiari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3), 491-503. 

  22. Park, O., Kwon, I., & Kang, Y. (2001). A study on urinary incontinence of elderly women in a communit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7(4), 536-546. 

  23. Shaw, C., Tansey, R., Jackson, C., Hyde, C., & Allan, R. (2001). Barriers to help seeking in people with urinary symptoms. Family Practice, 18(1), 48-52. 

  24. Shin, K. R., Kang, Y. H., & Oak, J. (2008). The relationship of quality of sleep, depression, late-life function and disability (LLFDI) in community-dwelling older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4), 573-581. http://dx.doi.org/10.4040/jkan.2008.38.4.573 

  25. Shin, M. K. & Shin, S. J. (2008). Effects of group exercise program tailored by physical fitness on perceived health status, physical strength,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4), 613-625. 

  26. Shinkai, S., Fujita, K., Fujiwara, Y., Kumagai, S., Amano, H., Yoshida, H., Wang, D. G., & Watanabe, S. (2005).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s of homeboundness among community-living older adults. Japanese Journal of Public Health, 52(6), 443-455. 

  27. Sim, M. S. (2007). The living experiences of low-income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1(2), 171-181. 

  28. Steffen, T. M., Hacker, T. A., & Mollinger, L. (2002). Age-and gender-related test performanc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Six-minute walk test, berg balance scale, timed up & go test, and gait speeds. Physical Therapy, 82(2), 128-137. 

  29. Sung, M. H., Lim, Y. M., & Joo, K. S.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5(1), 95-106. 

  30. SunWoo, D., Lee, S. H., Park, J. S., Bae, S. S., Cho, Y. H., Kim, C. B., Koh, K. W., & Kim, Y. A. (2008). Analysis of the effects of muscle strength exercise on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frail elderly.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5(1), 39-53. 

  31. Vinsnes, A. G., Helbostad, J. L., Nyronning, S., Harkless, G. E., Granbo, R., & Seim, A. (2012). Effect of physical training on urinary incontinence: A randomized parallel group trial in nursing homes.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7, 45-50. http://dx.doi.org/10.2147/cia.s25326 

  32. Yesavage, J. A., Brink, T., Rose, T. L., Lum, O., Huang, V., Adey, M., & Leirer, V. O. (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7(1), 37-49. 

  33. Yoon, H. S., Kwon, I. S., Park, S. P., & Cho, Y. C. (2008). Urinary incontinence and its association with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 and daily living activity in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Mother-child Health Care, 12(2), 242-2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