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Non-O157 장출혈성대장균 검출을 위한 증균배지 및 선택배지 성능 평가
Evaluation of enrichment broth and selective media for the detection of non-O157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8 no.4, 2016년, pp.323 - 328  

이다연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터) ,  김희언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터) ,  서동원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터) ,  조용선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non-O157 EHEC의 혈청형별 증균 및 선택배지에서의 분리 조건 및 비교 시험을 하여 최적의 검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EC medium with MUG broth, BRILA broth, mTSB broth with novobiocin 3종의 증균배지 성능 및 배양 조건의 비교 결과 EC-MUG 증균배지를 $42^{\circ}C$에서 24시간 배양하면 EHEC의 효율적인 증균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ENDO agar, Chromocult agar, TBX agar, CHROMagar$^{TM}$ STEC medium 4종의 선택배지에 가장 효과적인 배지를 확인결과 TBX agar가 검출율이 가장 높았으나 1종의 배지를 사용했을 경우 다양한 EHEC 혈청형 균를 검출 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EHEC를 효과적으로 검출하고자 할 경우 TBX agar와 보완이 가능한 그 외의 배지를 사용하여야 효과적인 검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각 배지가 혈청형에 따른 분리효율이 다르므로 본 연구 결과를 참조하여 가장 적합한 배지를 선택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non-O157 EHEC의 적절한 기질을 사용하여 다양한 혈청형을 모두 검출 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배지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specific and rapid enrichment and growth conditions for the most important, classic non-O157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EHEC) serogroups were assessed. Three enrichment broth types, namely, EC medium with MUG broth, BRILA broth, and mTSB broth with novobiocin, were compar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에 나와있는 E. coli 배지를 선별하여 nonO157 EHEC의 혈청형별 증균 및 선택배지에서의 분리 조건을 비교 분석하고 결과를 토대로 최적의 검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non-O157 EHEC의 혈청형별 증균 및 선택배지에서의 분리 조건 및 비교 시험을 하여 최적의 검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EC medium with MUG broth, BRILA broth, mTSB broth with novobiocin 3종의 증균배지 성능 및 배양 조건의 비교 결과 EC-MUG 증균배지를 42℃에서 24시간 배양하면 EHEC의 효율적인 증균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특이성과 효율성 또한 다른 배지에 비해 높아 4종의 선택배지 중 80%의 최고 검출율을 보였다(Table 6).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에 분리법이 확립되어있는 E. coli O157: H7을 분리하는 것보다는 non-O157 EHEC의 다양한 혈청형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배지의 비교가 목적이었는데, E. coli O157을 제외한 non-O157 EHEC에 가장 효과적인 배지를 확인결과 TBX agar가 검출율 80.5%로 가장 높았다(Table 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Verotoxin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V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VTEC)는 장 점막에 부착 후 verotoxin (Stx)의 강력한 세포 독소를 생산하는 것이 특징이며 이 질균(Shigella dysenteriae)이 생성하는 독소와 거의 같거나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하여 Shigatoxin이라고도 한다. Verotoxin은 Stx1, Stx2 두 가지 형으로 분류되며 두 독소를 모두 생산하는 균과 어느 한쪽만 생산하는 균이 있고, 두 독소는 모세혈관을 손상시켜 용혈성 빈혈을 일으키는 생화학적 특성과 작용 기작은 비슷하나 Stx2가 더 위험하다고 알려져 있다(1-3).
Verotoxigenic Escherichia coli의 특징은? V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VTEC)는 장 점막에 부착 후 verotoxin (Stx)의 강력한 세포 독소를 생산하는 것이 특징이며 이 질균(Shigella dysenteriae)이 생성하는 독소와 거의 같거나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하여 Shigatoxin이라고도 한다. Verotoxin은 Stx1, Stx2 두 가지 형으로 분류되며 두 독소를 모두 생산하는 균과 어느 한쪽만 생산하는 균이 있고, 두 독소는 모세혈관을 손상시켜 용혈성 빈혈을 일으키는 생화학적 특성과 작용 기작은 비슷하나 Stx2가 더 위험하다고 알려져 있다(1-3).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의 특징은? coli O157:H7이 처음 보고된 후(6), EHEC로 인한 식중독의 발병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EHEC의 감염식품은 완전히 익지 않은 고기나 샐러드, 멸균되지 않은 우유 등으로 확인되었으며 특징은 내산성으로 pH 2-4에서 생존이 가능하며, 균 자체는 70oC 정도 온도에서 2분이면 사멸한다(2,7). 아직까지 이 균에 유효한 백신은 없으며, 잠복기는 2-8일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oo MS, Kim HJ. Shiga toxin producing Escherichia coli and foodborne disease. Safe Food 6: 23-28 (2011) 

  2. Rey J, Sanchez S, Blanco JE, de Mendoza JH, de Mendoza MH, Garcia A, Gil C, Tejero N, Rubio R, Alonso JM. Prevalence, serotypes and virulence genes of shiga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ovine and caprine milk and other dairy products in Spain. Int. J. Food Microbiol. 107: 212-217 (2006) 

  3. Kim HY, Kim EJ, Park YC, Cho JI, Lee JO. Prevalence and characterization of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EHEC) isolated from ground beefs distributed in Gyeong-in reg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773-778 (2006) 

  4. Karmali MA, Petric M, Steele BT, Lim C. Sporadic cases of haemolytic-uraemic syndrome associated with faecal cytotoxin and cyto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in stools. Lancet 321: 619-620 (1983) 

  5. Gill A, Martinez-Perez A, McIlwham S, Blais B. Development of a method for the detection of vero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in Food. J. Food Protect. 75: 827-837 (2012) 

  6. Riley LW, Remis RS, Helgerson SD, McGee HB, Wells JG, Davis BR, Hebert RJ, Olcott ES, Johnson LM, Hargrett NT, Blake PA, Cohen ML. Hemorrhagic colitis associated with a rare Escherichia coli Serotype. N. Engl. J. Med. 308: 681-685 (1983) 

  7.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Enteric Disease Surveillance: STEC Surveillance Overview. Available from: http://www.cdc.gov/ncezid/dfwed/pdfs/national-stec-surveillanceoverview-508c.pdf. Accessed July. 28, 2016. 

  8. Woteki CE, Kineman BD. Challenges and approaches to reducing foodborne illness. Annu. Rev. Nutr. 23: 315-344 (2003) 

  9. Tzschoppe M, Martin A, Beutin L. A rapid procedure for the detection and isolation of enterohaemorrhagic Escherichia coli (EHEC) Serogroup O26, O103, O111, O118, O121, O145 and O157 strains and the aggregative EHEC O104: H4 strain from ready-to-eat vegetables. Int. J. Food Microbiol. 152: 19-30 (2012) 

  10. Park S, Kim SH, Seo JJ, Kee HY, Kim MJ, Seo KW, Lee DH, Choi YH, Lim DJ, Hur YJ, Cho SH, Lee BK. An outbreak of inapparent non-O157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infection. Korean J. Med. 70: 495-504 (2006) 

  11. Ojeda A, Prado V, Martinez J, Arellano C, Borczyk A, Johnson W, Lior H, Levine MM. Sorbitol-negative phenotype among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strains of different serotypes and from different sources. J. Clin. Microbiol. 33: 2199-2201 (1995) 

  12. Pradel N, Livrelli V, de Champs C, Palcoux JB, Reynaud A, Scheutz F, Sirot J, Joly B, Forestier C. Prevalence and characterization of shiga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cattle, food, and children during a one-year prospective study in France. J. Clin. Microbiol. 38: 1023-1031 (2000) 

  13. Beutin L, Krause G, Zimmermann S, Kaulfuss S, Gleier K. Characterization of shiga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strains isolated from human patients in Germany over a 3-year period. J. Clin. Microbiol. 42: 1099-1108 (2004) 

  14. Ludwig K, Bitzan M, Zimmermann S, Kloth M, Ruder H, Muller-Wiefel DE. Immune response to non-O157 vero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in patients with hemolytic uremic syndrome. J. Infect. Dis. 174: 1028-1039 (1996) 

  15. Kleanthous H, Smith HR, Scotland SM, Gross RJ, Rowe B, Taylor CM, Milford DV. Haemolytic uraemic syndromes in the British isles, 1985-8: Association with verocytotoxin producing Escherichia coli. Part 2: Microbiological aspects. Arch. Dis. Child. 65: 722-727 (1990) 

  16. Russmann H, Kothe E, Schmidt H, Franke S, Harmsen D, Caprioli A, Karch H. Genotyping of shiga-like toxin genes in non-O157 Escherichia coli strains associated with haemolytic uraemic syndrome. J. Med. Microbiol. 42: 404-410 (1995) 

  17. Jeon BW, Jeong JM, Won GY, Park H, Eo SK, Kang HY, Hur J, Lee JH.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Escherichia coli O26 and O111 from cattle in Korea. Int. J. Food Microbiol. 110: 123-126 (2006) 

  18. Bae WK, Lee YK, Cho MS, Ma SK, Kim SW, Kim NH, Choi KC. A case of hemolytic uremic syndrome caused by Escherichia coli O104:H4. Yonsei Med. J. 47: 437-439 (2006) 

  19. Valadez AM, Debroy C, Dudley E, Cutter CN. Multiplex PCR detection of shiga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strains belonging to serogroups O157, O103, O91, O113, O145, O111, and O26 experimentally inoculated in beef carcass swabs, beef trim, and ground Beef. J. Food Protect. 74: 228-239 (2011) 

  20. Paddock Z, Shi X, Bai J, Nagaraja TG. Applicability of a multiplex PCR to detect O26, O45, O103, O111, O121, O145, and O157 serogroups of Escherichia coli in cattle feces. Vet. Microbiol. 156: 381-388 (2012) 

  21. Verhaegen B, de Reu K, Heyndrickx M, de Zutter L. Comparison of six chromogenic Agar media for the isolation of a broad variety of Non-O157 shiga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STEC) serogroup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12: 6965-6978 (2015) 

  22. Kozub-Witkowski E, Krause G, Frankel G, Kramer D, Appel B, Beutin L. Serotypes and virutypes of enteropathogenic and enterohaemorrhagic Escherichia coli strains from stool samples of children with diarrhoea in Germany. J. Appl. Microbiol. 104: 403-410 (2008) 

  23. Gonzalez RD, Tamagnini LM, Olmos PD, de Sousa GB. Evaluation of a chromogenic medium for total coliforms and Escherichia coli determination in ready-to-eat foods. Food Microbiol. 20: 601-604 (2003) 

  24. Uyttendaele M, Bagamboula CF, de Smet E, van Wilder S, Debevere J. Evaluation of culture media for enrichment and isolation of Shigella sonnei and S. flexneri. Int. J. Food Microbiol. 70: 255-265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