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왕산국립공원 내 훼손지의 5년간(2010~2014년) 식물상 변화
Change of Flora of Damaged Land in Juwangsan National Park for Five Years (2010~2014)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5 no.4, 2016년, pp.233 - 247  

유주한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  김미진 (국립공원관리공단 주왕산사무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주왕산국립공원 내 훼손지의 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여 국립공원의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훼손지 발생 원인의 경우 조사구 1은 답압에 의한 식생 훼손, 조사구 2, 3, 4는 광암사 철거, 조사구 5, 6, 7은 내원마을 철거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전체 조사구는 인위적 교란과 간섭에 의한 것이다. 출현 식물상은 52과 109속 116종 2아종 17변종 등 135분류군이며, 조사구별 식물상 현황은 조사구 6이 가장 많은 52분류군, 조사구 1은 가장 적은 23분류군이다. 희귀식물은 1분류군, 특산식물은 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10분류군, 귀화식물은 9분류군, 생태계교란식물은 1분류군이다. 식피율 변화 분석 결과, 관목층의 경우 조사구 7이 $0%{\rightarrow}50%$, 초본층의 경우 조사구 5가 $75%{\rightarrow}95%$로 가장 많이 변하였다. 종수 변화의 경우 대부분 조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천이에 의해 다양한 종이 이입 또는 발생된 것이다. 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천이가 진행되어 발생된 것으로 주변 자연식생과 유사하게 회복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우점종의 경우 관목층은 쇠물푸레나무, 싸리, 붉나무, 조록싸리, 버드나무, 등, 느티나무가, 초본층은 억새, 주름조개풀, 쑥, 바랭이새, 개망초이다. 귀화율과 도시화지수 분석 결과, 귀화율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감 현상이 있었으며, 도시화지수는 대부분 증가 추세를 보였다. 특히 도시화지수의 증가는 천이과정 상 선구식물인 귀화식물이 지속적으로 이입되었기 때문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data for management of National Park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change of flora of damaged lands in Juwangsan National Park, Korea. In cause of occurring the damaged lands, site-1 was the vegetation damage by stamping, the removing Gwangamsa of s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주왕산국립공원 내 훼손지의 식물상을 연도별로 조사 및 분석하여 국립공원 생태계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훼손지 폭, 길이 및 크기는 각 5.
  • 이에 본 연구는 인위적 교란에 의해 발생된 주왕산 국립공원의 훼손지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연도별 조사 및 분석을 통해 훼손지 복원과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립공원의 중요한 목표는 무엇인가? 2012; Lee et al. 2015) 국가 생태환경의 거점과 핵심기능을 가져 자연생태계의 보고이며, 종보호, 교육 및 휴양이 국립공원의 중요한 목표이기 때문에 보전과 이용이 공존 한다(You & Kwon 2015).
국립공원 내 인위적 간섭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따라서 국립공원은 자연환경이 우수한 지역이 대부분을 구성하지만 지역 주민들과 탐방객들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시설물이 위치한 인위적 간섭지역도 있기 때문에 개발과 보전이라는 중요한 환경이념이 공존한다. 특히 인위적 간섭은 곧 산림훼손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생태계의 단절, 파편화와 같은 생태적 영향뿐만 아니라 경관에도 영향을 미쳐 경관파괴, 토양침식, 생태계 파괴 등산림의 질적, 양적, 기능적 특성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Huh et al. 2007). 또한 국립공원 내 산림훼손은 생물종다양성과 종풍부도에 영향을 주며, 훼손에 따른 복원기작인 2차 천이가 발생되는데 주로 주변 종과 이질적인 선구종이 이입되어 종조성이 변하기 때문에(Lee et al. 1998; Jang et al. 2008) 산림훼손은 국립공원 전체 생태계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
국립공원은 무엇인가? 국립공원은 한 국가의 자연풍경을 대표하는 경승 지를 법에 의해 지정, 관리 및 유지하는 것으로 1967년 국립공원 제1호인 지리산국립공원을 시작으로 2013년 제21호인 무등산국립공원에 이르기까지 총 21개소가 지정되었고(Park et al. 2012;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lolgie. 3rd Ed. Springer. 

  2. Cha SH, Kim WH, Kim JH. 2002. Effects of some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ermination of seeds in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Korean J. Ecol. 25(3): 163-170. [Korean Literature] 

  3. Cheon KI, Chun JH, Yang HM, Lim JH, Shin JH. 2014. Changes of understory vegetation structure for 10 years in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site at Mt. Gyebang. J. Korean For. Soc. 103(1): 1-11. [Korean Literature] 

  4. Cho HJ. 2005. Forest vegetation structures and successional trends in Young-il soil erosion control distirct. Jour. Korean For. Soc. 94(6): 453-461. [Korean Literature] 

  5. Cho KJ. 2006. The National Park concept, impairment by users, and conservation: the application of an alternative interpretive model for conservatio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0(4): 51-66. [Korean Literature] 

  6. Chung SH, Hwang KM, Kim JH. 2014. Ecological interpretation and estimation of successional trend by characteristics of species diversity and topography for forest cover types in the natural forest of Western Jirisan. J. Korean For. Soc. 103(4): 537-546. [Korean Literature] 

  7. Huh J, Kim DS, Joo SH, Kim CS, Ahn MJ. 2007. The visual preference for damaged mountainous landscap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4): 71-80. [Korean Literature] 

  8. Jang GS, Jeon SW, Kim SS. 2008.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forest damage within the Geum-buk Mountain rang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5): 55-63. [Korean Literature] 

  9. Joe SH, Kim KD. 2008. Comparisons between a forest road with a coniferous plantation and distributed vegetation on the edge of a forest, and reclaimed soil seed bank. Kor. J. Env. Eco. 22(4): 409-419. [Korean Literature] 

  10. Kang BH, Shim SI, Ma KH. 2003. Floristic composition of plant community in setaside fields with regard to seral stage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2(1): 53-59. [Korean Literature] 

  11. Kang HK, Bang KJ. 2001. Vegetation structure and restoration model for naturalness of Robinia pseudo-acacia forest in the case of Korean national capital region. Kor. J. Env. Eco. 15(2): 159-172. [Korean Literature] 

  12. Kim DH, Lee DH, Kim HS, Kim SI. 2015. Effects of special protection area designation on soil properties and vegetation coverage of degraded trails. J. Korean For. Soc. 104(3): 352-359. [Korean Literature] 

  13. Kim GT, Kim JS, Choo GC, Um TW. 1995.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nature conservation area in Chuwang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8(2): 135-141. [Korean Literature] 

  14. Korea National Arboretum,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s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p. 534. [Korean Literature] 

  15. Korea National Arboretum.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p. 206. [Korean Literature] 

  16.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p. 332. [Korean Literature] 

  17.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08. Investigation on the Natural Resource of the Juwang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pp. 73-98. [Korean Literature] 

  18.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3. 2013 Manual of Monitoring in Special Field. Korea National Park Service. pp. 22-29. [Korean Literature] 

  19.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4. 2014 Basic Statistics of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 pp. 201-202. [Korean Literature] 

  20. Lee CS, Park HS, You YH, Hong SK. 1998. A study on vegetation succession in abandoned paddy fields. J. Nat. Sci. Inst., Seoul Women's Univ. 10: 29-43. [Korean Literature] 

  21. Lee DK, Song WK, Jeon SW, Sung HC, Son DY. 2007. Deforestation patterns analysis of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0(4): 41-53. [Korean Literature] 

  22. Lee HC, Hwang IC, Lim DO, Chung CW. 2011. The specific plant species and conservation of Juwangsan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25(4): 498-515. [Korean Literature] 

  23. Lee HH, Lee JH, Park KY, Jang JW. 2014. Two years monitoring of vegetation changes in torrential stream restoration site. J. Korean For. Soc. 103(2): 240-247. [Korean Literature] 

  24. Lee KS, Kim JH. 1998. Test of intermediate disturbance hypothesis by experimental disturbance gradient in old-field plant community. Korean J. Ecol. 21(3): 233-241. [Korean Literature] 

  25. Lee KS. 2006. Changes of species diversity and development of vegetation structure during abandoned field succession after shifting cultivation in Korea. J. Ecol. Field Biol. 29(3): 227-235. 

  26. Lee NY, Na KT, Noh JM, Shim SY. 2015. Estimation of carbon storage in a forest ecosystem at Mudeungsan Mt. National Park, Korea.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6(1): 1-6. [Korean Literature] 

  27.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Hyangmusa. pp. 914. [Korean Literature] 

  28.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 Hyangmusa. pp. 910. [Korean Literature] 

  29.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A Guide to the 4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pp. 185-215. [Korean Literature] 

  3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Ecosystem Disturbance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p. 168. [Korean Literature] 

  31. Oh HK, Sagong JH, You JH. 2011. Analysis on environmental indices and naturalized plants distributed in Gyeryong-si, Korea. Kor. J. Env. Eco. 25(4): 479-489. [Korean Literature] 

  32. Park KH, Yang JY, Kim IT. 2012. A study on endangered plants of Korea National Park.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3(4): 95-103. [Korean Literature] 

  33. Park SH. 2009a. A study on vegetation restoration changes at damaged area in alpine zone of five National Park in Korea. Ph.D. dissertati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on. [Korean Literature] 

  34. Park SH. 2009b.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pp. 575. [Korean Literature] 

  35. Ryu HJ, Park SH, Chang KS, Choi HS, Ha SG, Lee HJ, Lee YM. 2013.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Is. Yeonpyeongdo regions. Korean J. Environ. Ecol. 27(2): 147-169. [Korean Literature] 

  36. Song JS, Song SD. 1996. A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riverside vegetation around Hanchon, an upper stream of Nak-tong River. Korean J. Ecol. 19(5): 431-451. [Korean Literature] 

  37. Song JS. 1997. A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weed communities in the cultivated and abandoned fields of Korea. Korean J. Ecol. 20(3): 191-200. [Korean Literature] 

  38. Song JS. 2001. A phytosiciological study of the shrubby and herbaceous vegetation of the riverside in the upper stream of Nak-dong River, Korea. Kor. J. Env. Eco. 15(2): 104-117. [Korean Literature] 

  39. Sung HC, Kim SR, Kang DI, Seo JY, Lee SM. 2016. Analysis on the type of damaged land in DeMilitarized Zone(DMZ) area and restoration direction. J. Korean Env. Res. Tech. 19(1): 185-193. [Korean Literature] 

  40. Yeom SJ. 2015. Basic study on damaged area types and improvement idea of the National Park.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4(11): 1405-1415. [Korean Literature] 

  41. Yim YJ, Jeon ES.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Botany. 23(3-4): 69-83. [Korean Literature] 

  42. You JH, Kwon SY. 2015. Flora distributed in Mt. Gumi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Korean J. Plant Res. 28(4): 511-525. [Korean Literature] 

  43. You JH, Mun SJ, Lee WS. 2011. Management plan and vascular plants of the Hwarang district in Gyeongju National Park. J. Korean Env. Res. Tech. 14(5): 17-35. [Korean Literature] 

  44. You JH, Park KH, Yoon YC. 2010.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device of naturalized plants in Naedong Stream, Changwon-si.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4): 96-105. [Korean Literature] 

  45. You JH, Seo JK, Jung SG. 2013.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of specific plants in Juwangsan National Park,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2(7): 873-884.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