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ISA의 문제해결력 도구를 이용한 정보 영재 학생의 문제해결력 분석
A Problem Solving Analysis of Gifted Students in Information based on PISA Problem Solving Tool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0 no.2, 2016년, pp.179 - 188  

최정현 (서울장충초등학교) ,  김갑수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영재학생들의 인지적인 특징을 비교하고 그를 통해 정보영재학생들의 판별과 관찰기준을 제시하며 나아가 적합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데 있다. 이에 영재학생들의 지속적인 발전과 개발을 위한 기초정신능력이자,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종합하고 적용하는 등 학습능력의 바탕이 되는 '문제해결력'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정보 분야의 영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2 PISA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력 평가틀을 검사도구로 사용하여 정보영재 학생들에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우수한 측면과 보완이 요구되는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정보영재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이 지향해야 할 목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is the gifted in Informatics student's cognitive features different from others and present standard for screening. So ultimately, I hope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promising perspective and curriculum development for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nformation s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초등 정보영재학생의 문제해결력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일반학생들의 그것과 비교하여 차이를 분석하고, 문제맥락과 문제 상황 속성, 문제해결과정에서 각각 어떤 특징과 인지적인 과정을 보이는지 연구하였다. 나아가 정보영재들의 문제해결력과 관련하여 문제맥락, 문제 상황 속성, 문제해결과정에는 어떤 특징이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 용어를 포괄적하는 의미로서 ‘문제해결력’이라는 단어로 통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 영재에 대해 컴퓨터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 기술 분야에 대한 남다른 적성과 흥미를 가진 자로서, 주어진 정보를 적절히 활용하여 새롭고 적합한 정보를 창출하는 데 뛰어난 재능 및 잠재력을 지닌 자로 정의하기로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영재학생들의 지속적인 발달을 위한 기초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의 제공하는 데 궁극적인 목표를 두고 정보영재학생의 문제해결력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초등 정보영재학생의 문제해결력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일반학생들의 그것과 비교하여 차이를 분석하고, 문제맥락과 문제 상황 속성, 문제해결과정에서 각각 어떤 특징과 인지적인 과정을 보이는지 연구하였다. 나아가 정보영재들의 문제해결력과 관련하여 문제맥락, 문제 상황 속성, 문제해결과정에는 어떤 특징이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 위와 같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따로 구분 짓지 않고 동일한 맥락에서 이해하는 것을 바탕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앨빈 토플러는 지식정보화 사회는 어떨 것이라 예측했는가? 세 번째 물결, 곧 “제3의 물결”은 후기 산업화 사회이며 정보화 사회이다. 앨빈 토플러는 이 사회에서는 탈 대량화와 다양화가 이루어지며, 지식기반의 생산과 변화의 가속이 끊임없이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또한 “변화는 탈선형화 되어 있으며 앞으로, 혹은 거꾸로 그리고 옆으로도 발전이 가능하다.
Renzulli(1984)의 세 고리 이론(Three Ring Conception)에 따르면 영재의 정의는 무엇인가? 영재의 정의로서 가장 널리 통용되고 있는 Renzulli(1984)의 세 고리 이론(Three Ring Conception)에 따르면 영재란, “평균이상의 지능과 우수한 창의성, 그리고 높은 과제 집착력을 가지고 이를 통해 사회에 공헌을 하는 사람”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더불어 Renzulli는 이 세 가지 조건에서 모두 뛰어날 필요는 없으며 한 가지 요소에서 상위 2%를 충족시키면 충분하다고 말하고 있다[9].
Terman & Oden은 영재성을 어떻게 판별하였나? 그리고 그 검사결과 상위 1%의 지능을 가진 1,528명의 영재학생에 대하여 약 50여 년 동안 종단연구를 실시하여 ‘천재에 대한 유전적 연구’라는 시리즈를 출판하였다. 이 연구에서 Terman & Oden은 지능이라는 인지 조건을 기준으로 영재성을 판별, 즉 IQ 140 이상인 대상을 영재로 판단하였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oi, youngseon, Lee, soonyoung, and Kim, kapsu (2005). Analysis of non-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Elementary School in Comput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9(3), 377-386. 

  2. Han, misook, and Lee, youngjun (2012). Design of Algorithm Education Contents for the Informatics Gifted Secondary Students.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6(1), 192-195. 

  3. Jin, younghun, and Son, jeongwoo (2011). Effects of Gifted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by Team-Based Learning.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1(3), 703-718. 

  4. Jun, woochun (2013). A Study on Correlation Anaysis of Academic Performance Per Subject for the Gifted Children in IT.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3(3), 407-419. 

  5. Marland, S. P. Jr. (1972).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Volume 1: Report to the Congress of the United States by the US Commissioner of Education. 

  6. OECD (2011). PISA 2012 Field Trial Problem Solving Framework. (Vol. I). Paris: OECD. 

  7. OECD (2014). PISA 2012 Results: Creative Problem Solving. (Vol. V). Paris: OECD. 

  8. Polya, G. (1957). How to solve it: A new aspect of mathematical method. Garden City, NY: Doubleday. 

  9. Renzulli, J. S. (1977). The Enrichment Triad Model : A Guide for Developing Defensible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Wethersfield, CT : Creative Learning Press. 

  10. Schoenfeld, A. H. (1979). Can heuristics be taught?, In J. Lochhead & J. Clement (Eds.), Cognitive process instruction, 315-338. Philadelphia, PA: Franklin Institute Press. 

  11. Schoenfeld, A. H. (1985).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New York: Academic. 

  12. Seo, youngmin, and Lee, youngjun (2010). A Subject Integration Robot Programming Instruction Model to Enhance the Creativity of Information Gifted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3(1), 19-26. 

  13. Terman, L .M. and M. H. Oden (1947). The gifted child grows up. Vol4. Genetic studies of genius. Stanford University Press. 

  14. Toffler, A. (1989). The Third Wave, Bantam Books. 

  15. Woolfolk, A. E. (1995). Educational Psychology, (6th ed), London, Allyn and Bac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