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구성요소 간의 경로 분석 연구
A Study on Path Analysis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Components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4 no.2, 2020년, pp.139 - 146  

이재호 (경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장준형 (오마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불확실한 미래를 살아가야 하는 미래 세대들이 배양해야 할 핵심역량은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가 뜨겁다. 미래 사회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작동되는 소프트웨어 중심사회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 세계적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며, 소프트웨어 교육을 통한 컴퓨팅 사고력 계발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더불어 컴퓨팅 사고력은 무엇이며, 어떤 역량들로 구성되는 가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컴퓨팅 사고력을 구성하는 역량 요소들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상황이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하였다. 첫째, 컴퓨팅 사고력의 5가지 역량 요소를 선정하였다. 둘째, 컴퓨팅 사고력의 역량 요소 간 관계성을 분석할 수 있는 경로 도형을 설정하였다. 셋째, 컴퓨팅 사고력을 검사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선정하였다. 넷째, 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학생 801명을 대상으로 컴퓨팅 사고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다섯째, 컴퓨팅 사고력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의 분석을 실시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is a hot debate about what the core competencies of future generations, who have to live an uncertain future, should cultivate. The future society is expected to become a Software-oriented Society driven by software. Under these circumstances, interest in software education is exploding arou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검사도구의 특징, 검증, 활용도에 대한 내용을 [Table 3]과 같이 정리하였다. 본 검사는 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문제 상황을 CT 역량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는가를 측정하는 도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CT의 구성요소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재호와 장준형(2018)이 개발한 CT 검사지를 활용하여 CT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검사는 CT구성요소인 추상화, 문제분해, 알고리즘, 자동화, 데이터 처리의 점수가 자동화되어 추출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CT 구성요소는 각각의 독립된 역량이 아닌 상호 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가설을 경로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Wing. J. M(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17(3).33-35. 

  2. Jung Sook Sung, Hyeoncheol Kim(2015). Analysis on the International Comparison of Computer Education in School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8(1), 45-54. 

  3. Korea Ministry of Education(2015). Commentary on the Revised Curriculum for 2015. http://www.edunet.net/nedu/ncicsvc/listSub2015Form.do?menu_id623. 

  4. Aehwa Lee(2019). Domestic Research Trend Analysis of Computing Thinking.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8), 214-223. 

  5. Grover, S., & Pea, R(2018). Computational Thinking: A competency whose time has come. Computer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on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 19. 

  6. CSTA Standards Task Force(2016). [Interim]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New York: CSTA. 

  7. Barr, V., & Stephenson, C(2011). Bringing computational thinking to K-12: What is involved and what is the role of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community? ACM Inroads, 2(1), 48-54. 

  8. Furber S(2012) Shut down or restart? The way forward for computing in UK schools. Technical report, The Royal Society, London. 

  9. Computer Science Teachers Association(2011).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http://csta.acm.org/Curriculum/sub/K12Standards.html. 

  10. ISTE, C(2011). Computational Thinking in K-12 Education leadership toolkit. Computer Science Teacher Association: http://csta.acm.org/Curriculum/sub/CurrFiles/471.11CTLeadershipt Toolkit-SP-vF.pdf adresindenalindi. 

  11. Mannila, L., Dagiene, V., Demo, B., Grgurina, N., Mirolo, C., Rolandsson, L., & Settle, A(2014, June). Computational thinking in K-9 education. In Proceedings of the working group reports of the 2014 on innovation & technology in computer science education conference (pp. 1-29). 

  12. Yang, D., Swanson, S. R., Chittoori, B., & Baek, Y(2018). Work in Progress: Integrating Computational Thinking in STEM Education Through a Project-Based Learning Approach. 

  13. Weintrop, D., Beheshti, E., Horn, M., Orton, K., Jona, K., Trouille, L., & Wilensky, U(2016). Defining computational thinking for mathematics and science classroom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25(1), 127-147. 

  14. Csizmadia, A., Curzon, P., Dorling, M., Humphreys, S., Ng, T., Selby, C., & Woollard, J(2015). Computational thinking-A guide for teachers. 

  15. Jaeho Lee, Junhyung Jang(2019).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Computational Thinking using Text Mining Techniqu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3(6), 543-550. 

  16. Seong-Sik Kim, Young-Jik Kim, Ara Jo, Min-Woo Lee(2019). Development of a Tool for Computational Thinking Assessment in Problem-Solving Programming Education:Paper Type Inspection and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2(3), 89-99. 

  17. Heo Jun(2013). Heo Joon's Easily Amos Equation Model.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