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과학의 본성 수준 및 반영정도 탐색 : 7차 및 2009 개정교육과정사례 분석
Exploring the level of nature of science and its degree of revising curriculums: The case of the 7th and 2009 revised curriculums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9 no.2, 2016년, pp.217 - 232  

이정원 (조선대학교 과학문화교육센터) ,  박영신 (조선대학교 과학문화교육센터) ,  정다혜 (조선대학교 과학문화교육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과학의 본성이 강조되어가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나라 7차 교육과정 공통과학 교과서에서 2009개정 교육과정 융합과학 교과서로 교육과정의 발전에 따라 과학의 본성 반영정도와 수준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과학의 본성'의 수준은 과학자들의 과학에 대한 관점을 나타내는 과학적 관점과 일반적으로 생각하거나 과학적 오개념을 나타낼 수 있는 순수한 관점으로, 교수 방법은 명시적 방법과 암시적 방법으로 분류하였다. 그렇게 과학적관점인지 순수한관점인지, 명시적인지 암시적인지의 총 4가지의 경우의 수를 이용하여 정의 하였다. Lederman(2001)의 7가지 정의를 참고한 10가지 항목을 이용해 교과서 안에 반영된 구성요소와 수준을 확인 할 수 있도록 '과학의 본성 분석 틀(NOSAT: Nature of Science Analyzing Tool)'을 개발하여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고 연구결과, 교육과정이 7차 교육과정 공통과학에서 2009개정 교육과정 융합과학으로 변화함에 따라 과학의 본성에 대한 반영 정도는 발전보다 오히려 역행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탐구단원을 제외한 7차 교육과정 공통과학의 이론단원에서 명시적인 과학의 본성은 찾기 어려웠고,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는 2007교육과정 탐구단원에서 볼 수 있었던 과학의 본성마저 사라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의 교육과정에서 과학의 본성이 제한적으로 표시될 것이 아니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되 그 방법을 암시적이 아닌 명시적으로 반영하여 직접적인 교수가 되어야 할 것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서 교과서 집필자가 과학의 본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가지고 집필해야 하고, 올바른 교수를 위해서 교사의 역량이 중요하며,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 및 실천에 대한 연수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line with th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nature of science recently, this paper examines the degree and level at which the 2009-revised convergence science textbook, developed from the common science under the 7th curriculum in South Korea, reflected nature of science according to the develop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지구과학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의 반영과 수준 그리고 교육과정의 변화에 어떻게 상응하는지를 7차 교육과정 공통과학 교과서와 2009 개정교육과정 융합과학 교과서에 나오는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먼저 과학의 본성 수준을 분석할 수 있는 과학의 본성 분석 도구를 개발하였고, 각 교육과정을 분석할 교과서를 선정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Fig.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지구과학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의 반영과 수준 그리고 교육과정의 변화에 어떻게 상응하는지를 7차 교육과정 공통과학 교과서와 2009 개정교육과정 융합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자료는 앞으로 과학교육에서의 교육과정개정에 있어서 과학의 본성을 어떻게 반영하고 무엇을 반영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제시가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국내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과학의 본성 반영 정도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강조되는 과학의 본성의 구성요소는 무엇이고 그 수준에 대하여 분석하기 위해 과학의 본성 분석 도구를 개발하여 7차 교육과정 공통과학 A출판사 교과서와 2009개정 교육과정 B출판사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도구가 아닌 새로운 분석 도구를 개발하여 사용하여 다양한 측면으로부터 과학의 본성을 파악했으며 과학의 본성을 교수하는 지침서인 교과서를 교육과정에 따라 분석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이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그중 지구과학은 대부분 천문이고 약간의 지질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융합과학에서 포함되어 있는 지구과학의 천문과 지질에 대해 과학의 본성을 분석하였다.
  •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전문가와 분석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내용타당도와 신뢰도를 구축하도록 하였다. 의견이 맞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서로 동의가 될 때까지 의논하여 본 연구자는 재차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모든 자료에 대한 분석에 일관성이 있도록 하였다. 즉 전체 수집된 자료 중에 본 연구자의 자료 분석 관련하여 처음의 20%는 혼자 수행하였으며 그 후의 10%정도는 전문가와 동시에 분석하여 의견을 비교 분석하여 논의하였으며 전문가와 토론 끝에 수정된 분석관점으로 처음의 20%를 다시 분석하여 수정하도록 하였다.
  • 교육부(2011)에서 정의한 과학적 소양이란, 과학을 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과학적 개념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과학적으로 탐구 하는 능력을 길러 과학 지식과 기술이 형성되고 발전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자연 현상과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길러 일상생활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를 함양하는 것이다. 그리고 과학∙기술∙사회의 상호 작용을 이해를 통하여 과학 지식과 탐구 방법을 활용한 합리적 의사 결정 능력을 기르는 즉, 과학교육의 목표는 과학의 지식만을 익히는 것이 아니라 과학의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과학적 탐구방법과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고 더 나아가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시민 사회에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과학적 사고력을 기르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적 소양이란? 오늘날의 과학교육의 목표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 것이다(교육부, 2011). 교육부(2011)에서 정의한 과학적 소양이란, 과학을 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과학적 개념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과학적으로 탐구 하는 능력을 길러 과학 지식과 기술이 형성되고 발전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자연 현상과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길러 일상생활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를 함양하는 것이다.
오늘날의 과학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오늘날의 과학교육의 목표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 것이다(교육부, 2011). 교육부(2011)에서 정의한 과학적 소양이란, 과학을 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과학적 개념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과학적으로 탐구 하는 능력을 길러 과학 지식과 기술이 형성되고 발전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과학자들의 과학의 본성의 인식은 어떠한 관점에 해당하는가? 김영선(2013)의 연구에서는 과학의 본성의 인식을 크게 순수한 관점(naive view)과 세련된 관점(informed view)으로 분류한다. 과학자들과 같은 올바른 과학의 본성의 관점은 세련된 관점에 해당된다. 본 연구에서는 두 관점을 용어의 구분을 위하여 순수한 관점과 과학적 관점(scientific view)으로분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강석진, 김영희, 노태희 (2004). 과학사를 이용한 소집단 토론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96-1007. 

  2. 곽승진 (2005). 청소년의 과학적 소양 향상을 위한 문제해결 모형 개발 연구. 한국도서관저보학회지, 36(3), 21-38. 

  3. 김경순, 노정아, 서인호, 노태희 (2008). 중학교 과학 '물질의 구성' 단원에서 과학사 소재를 활용한 명시적 반성적 과학의 본성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1), 89-99. 

  4. 김영선 (2013). 과학의 본성에 대한 예비과학교사들의 인식 분석.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희정, 김성원 (2013). 예술 고등학생들의 명시적 과학의 본성 수업을 통한 개념 변화의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266-283. 

  6. 김준예, 전은경, 백성혜 (2007). 과학 영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743-752. 

  7. 교육부 (2011).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8. 노태희, 김영희, 한수진, 강석진 (2002). 과학의 본성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견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82-891. 

  9. 박영신 (2015). 상황학습을 통한 과학 도슨트의 전문성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1), 98-113. 

  10. 박창동 (2001).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과 학습관에 따른 초등교사의 발문 유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현주, 이금희 (2005). 연구논문 : 과학적 소양의 관점에서 본 대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390-399. 

  12. 백성혜, 남초이 (2010). 과학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 수업이 예비 과학교사들의 인식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철학회, 13(1), 83-107. 

  13. 이영희 (2013). 질적 연구에 의한 고등학교 생명과학 I 교과서 생명과학의 이해 단원에 내포된 과학의 본성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7(1), 173-197. 

  14. 이영희 (2014). 우리나라 생명과학 관련 분야 재미 과학자들은 어떻게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고 있는가?. 한국과학교육학회, 34(7), 677-691. 

  15. 최준환, 남정희, 고문숙, 고미례 (2009). 과학사를 활용한 과학수업 적용을 통한 중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발달. 한국과학교육학회, 29(2), 221-239. 

  16.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1989). Project 2061: Science for all America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7.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1993). Benchmarks for scientific literac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8. Abd-El-Khalick, F., & Boujaoude, S. (1997). An exploratory study of the knowledge base for science teach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 673-699. 

  19. Abd-El-Khalick, F., Bell, R. L., & Lederman, N. G. (1998). The nature of science and instructional practice: making the unnatural natural. Science Education, 82, 417-436. 

  20. Abd-El-Khalick, F., & Lederman, N. G. (2000). Improving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7), 665-701. 

  21. Abd-El-Khalick, F., Waters, M., & Le, A.-P. (2008). Representations of nature of science in high School chemistry textbooks over the past four decad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5(7), 835-855. 

  22. Collette, A. T., & Chiappetta, E. L. (1986).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s(2nd ed). Columbus. Ohio; Merrill publishing Company. 

  23. Chiappetta, E. L., Sethna, G. H. & Fillman, D. A. (1991). A qualitative analysis of high school chemistry textbooks for scientific literacy themes and expository learning aid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 936-951. 

  24. Chiappetta, E. L., & Fillman, D. A. (2005). Analysis of five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used in the United States for inclusion of the nature of science. Paper presented at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meeting. Dallas, TX. 

  25. Hirsch, E. D., Jr. (1987). Cultural literacy: What every American needs to know. New York, NY: Houghton Mifflin. 

  26. Hogan, K. (2000). Exploring a process view of students' knowledge about the NOS. Science Education, 84(1), 51-70. 

  27. Irwin, A. R. (2000). Historical case studies: Teaching the nature of science in context. Science Education, 84(1), 5-26. 

  28. Lederman, N. G. (199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31-359. 

  29. Lederman, N. G., Abd-El-Khalick, F., & Bell , R .L., & Schwartz, R. S.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497-521. 

  30. Lee, Y., & Chiappetta, E. (2008). How do the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introduce the nature of science? Paper presented at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meeting. Garden Grove, CA. 

  31.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2. Meichtry Y, J. (1992). Influencing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data from a case of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89?407. 

  33. Miller J. D. (1983). Scientific Literacy : A Conceptual and Empirical Review. Daedalus, 112(2), 29-48. 

  34. Moss, D. M., Abrams, M. D., & Kull, J. A. (1998). Can we be scientists, too? Secondary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tific research from a project-based classroo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7(2), 139-161. 

  35. Oliveira, A. W., Akerson, V. L., Colak, H., Pongsanon, K & Genel, A. (2012). The implicit communication of nature of science and epistemology during inquiry discussion. Science Education, 96, 652-684. 

  36. Park, Y-S., Chen, Angie Y. C. & Chen, Nelson C. C. (2013).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Scientific Literacy embedded in Science Camp at Science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6(1), 1-12. 

  37. Park, Y-S., Park, J-H. & Ryu, H-S. (2014).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EAM Program Developed by Docents and its educational impact in the Natural History Museu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7(1), 75-90. 

  38. Sequeira, M., & Leite, L. (1991). Alternative conceptions and history lf science in physics teacher education. Science Education, 75(1), 45-56. 

  39. Ziman, J. (1984). An instruction to science studi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