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성격유형, 셀프리더십, 긍정심리자본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elf-leadership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Learning Flow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5 no.4, 2019년, pp.393 - 404  

정승은 (혜전대학교 간호학과) ,  한정희 (혜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type, self-leadership,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flow of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179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격특성, 셀프리더십 및 긍정심리 자본이 학습몰입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후 간호대학생의 학습 성취도를 높이는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한 바는 아래와 같다.
  • 본 연구는 일개 대학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성격특성, 셀프리더십, 긍정심리자본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 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셀프리더십, 성격 특성 및 긍정심리자본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학습몰입과는 셀프리더십, 긍정심리자본에서는 자기효능감이 영향을 미쳤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성격특성, 셀프리더십 및 긍정심리자본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성격특성, 셀프리더십 및 긍정심리자본이 각각으로 연구되었을 뿐 세 변수를 모두 포괄적으로 포함하여 성격특성, 셀프리더십 및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들이 학습몰 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없었으므로 이들 변수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격특성을 파악하고, 셀프리더십 및 긍정심 리자본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학습성취도를 높이는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마지막으로 오차 항의 정규성 검증을 위해 P-P 도표를 살펴본 결과 정규분포를 보여 정규성이 검증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모형은 회귀분석을 위한 가정을 모두 충족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업 적응이 대학 생활에서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학업 적응은 대학 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성공적인 학업 적응에 따라 만족스러운 대학생활을 할 수 있다. 즉 대학 에서 요구하는 학업적 요구에 얼마나 성공적으로 적응하느냐에 따라 대학생활의 질이 결정될 정도로 학업적 적응은 대학 생활의 적응을 예측하는 매우 중요한 지표이다(Hyun & Yoon, 2012). 수동적 지식학습의 고등학교와는 달리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고 재조직하며 활용하는 방식의 능동적인 학습의 과정인 대학에서는 주체적으로 학습계획을 세우고 실행해 나가는 자기 주도적인 학습능력이 중요하며 학습 환경의 변화에 적응 하지 못할 경우 학생들은 학업에의 어려움을 겪거나 학업 실패를 경험하게 된다(Arcand, 2012).
학습몰입이 높은 학생의 특징은 무엇인가? 학습몰입이 높은 학생은 학습과정에서 집중, 흥미, 노력을 지속시키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Marks, 2000), 능동적인 학습에 있어서 학습몰입은 핵심적인 요소로 강조되고 있다. 학습 몰입에는 행동적 몰입, 인지적 몰입, 감정적 몰입이 있다.
학습몰입이란 무엇인가? 수동적 지식학습의 고등학교와는 달리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고 재조직하며 활용하는 방식의 능동적인 학습의 과정인 대학에서는 주체적으로 학습계획을 세우고 실행해 나가는 자기 주도적인 학습능력이 중요하며 학습 환경의 변화에 적응 하지 못할 경우 학생들은 학업에의 어려움을 겪거나 학업 실패를 경험하게 된다(Arcand, 2012). 이러한 학업적 적응을 나타내는 개념이 학습몰입인데 학습몰입이란 학습 목표를 성취 하고자 학습자가 자신을 둘러싼 학습과정과 활동 등과 지속해서 상호작용하는 심리적 과정으로 정의된다(Carini, Kuh, & Klein,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rcand, I. (2012). Creating a relationship: The characteristics of a companioning relationship in the context of academic prob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4), 38-49. 

  2. Carini, R. M., Kuh, G. D., & Klein, S. P. (2006). Student engagement and student learning: Testing the linkage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47(1), 1-32. 

  3. Choi, J. Y., & Im, S. B. (2018). Factors influencing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locus of contro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4(3), 182-192.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3.182 

  4. Costa, P. T., & McCrae, R. R. (1992). Normal personality assessment in clinical practice: The NEO personality inventory. Psychological Assessment, 4(1), 5-13. 

  5. Csikszentmihalyi, M. (1990).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Perennial 

  6. Hampton, D., Welsh, D., & Wiggins, A. T. (2019). Learning preferences and engagement level of generation Z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or, 2019. https://doi.org/10.1097/NNE.0000000000000710 

  7. Hong, M. K. (2015). The impact of the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on th learning flow: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29(6), 1-23. 

  8. Hyun, A. N., & Yoon, S. J.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mental health status among college freshmen: Mediating effect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2), 403-428. 

  9. Jo, Y. S. (2016). Development of program to improve the positive psychology capital of university student'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4), 529-546. https://doi.org/10.5762/KAIS.2016.17.4.529 

  10. Judge, T. A., Bono, J. E., Ilies, R., & Gerhardt, M. W. (2002). Personality and leadership: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view.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7(4), 765-780. 

  11. Kahu, E. R. (2013). Framing student engagement in higher education. Studies in Higher Education, 38(5), 758-773. 

  12. Kang, M. S., Park, Y. J., Choi, S. Y., & Lee, S. J. (2018). The effects of PBL (problem-based learning) on academic resilience, learning flow, and academic motiva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6), 291-298. 

  13. Kang, Y. S., Choi, Y. J., Park, D. L., & Kim, I. J. (2010). A study on nurses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2), 143-151. https://doi.org/10.11111/jkana.2010.16.2.143 

  14. Kim, A. Y., Tack, H. Y., & Lee, C. H. (2010).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learning flow scale for adult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4(1), 39-59. 

  15. Kim, J. K. (2007). Organization members' personality patter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Chuncheon. 

  16. Kim, M. S. (2016).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decision making type on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4), 441-451. 

  17. Kim, S. H., & Park, S. Y. (2014). Factors influencing on learning flow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3), 1557-1565. 

  18. Kim, Y. M. (2016).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etwee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flow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7), 112-122. https://doi.org/10.5762/KAIS.2016.17.7.112 

  19. Lee, Y. O., Joen, Y. W., & Kim, M. S. (2018).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 ego resilience and self-leadership o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Journal of Korea Living Environment System, 25(3), 336-345. https://doi.org/10.21086/ksles.2018.06.25.3.336 

  20. Lee, Y. S., Park, S. H., & Kim, H. K. (2014). Nursing students' self-leadership,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6), 229-240.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229 

  21. Lim, T. H. (2014).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k-ppc).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16(3), 157-166. 

  22. Luthans, F., Youssef, C. M., & Avolio, B. J. (2007). Psychological capital: Developing the human competitive edg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3. Manz, C. C. (1986).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3), 585-600. 

  24. Marks, H. M. (2000). Student engagement in instructional activity: Patterns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7(1), 153-184. 

  25. Mesurado, B., & Richaud de Minzi, M. C (2013). Child's personality and perception of parental relationship as correlates of optimal experienc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4(1), 199-214. 

  26. Neck, C. P., & Houghton, J. D. (2006). Two decades of self-leadership theory and research: Past developments, present trends, and future possibilitie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1(4), 270-295. 

  27. Park, K. S., & Yu, T. Y. (2007). A Study on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work flow.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0(3), 219-251. 

  28. Schilling, J. C. (2009).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variability and contextual sources related to the academic engagement of minority and economically disadvantaged adolescents (ERIC No. ED515167). Retrieved from https://https://eric.ed.gov/?idED515167 

  29. Tenhunen, M. L., & Fitzgerald, A. (2014). Revision of an undergraduate older adult health care nursing education course. Journal Nursing Education, 53(9), 110-113. https://doi.org/10.3928/01484834-20140805-01 

  30. Zepke, N., Leach, L., & Butler, P. (2010). Engagement in post compulsory education: students' motivation and action. Research in Post Compulsory Education, 15(1), 1-1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