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업조직 특성에 따른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Office Work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7, 2016년, pp.389 - 399  

채유미 (단국대학교의과대학 의학교육학과) ,  이정배 (단국대학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이숙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무직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하부 요인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와 이를 통해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개선을 위한 관리 전략 수립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내용은 개인의 일반적인 특성, 업무관련사항,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건강수준 및 조직효과성 평가를 위해 직무만족도, 직무몰입, 이직의도, 프리젠티즘을 포함하였다. 모든 평가 도구의 Cronbach's ${\alpha}$값은 0.640~0.924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였다.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 26일~8월 1일까지 설문지 154부를 배포하였고, 150부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카이제곱 검정,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기업 모델에서는 직무스트레스 하부 요인 중 보상부적절이 직무만족도, 직무몰입,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p<0.05). 중소기업 모델에서는 조직체계 요인이 직무만족도, 직무몰입에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특히 이직의도는 직무스트레스 하부 요인 중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조직문화와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다(p<0.05).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대기업 모델에서는 조직효과성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중소기업 모델에서는 프리젠티즘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직무스트레스와 조직효과성의 관계는 조직특성에 따라 달라지므로, 직무스트레스 관리 계획 수립 시 해당 조직에 필요한 스트레스 관리 영역을 확인할 필요성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evidence necessary to establish job stress management strategies to improve office workers conditions by looking at the impact on job stress factor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organization. The stress related variables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면 과연 이러한 특성은 직무스트레스 하부 요인별로 차이가 있을것인가 그리고 이러한 차이는 기업특성의 차이, 즉 대기업 또는 중소기업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일 것인가라는 의문에서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무직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조직효과성이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 조직의 특성에 따른 차이점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개선을 위한 관리 전략 수립에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무자들에 직무스트레스 하부 요인별 조직효과성이 미치는 영향에 따른 결과는 무엇인가? 직무스트레스 하부 요인별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델이 다소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대기업 모델에서는 직무스트레스 하부 요인 중 보상부적절이 직무만족도, 직무몰입, 이직의도에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직무요구도는 프리젠티즘과 양의 상관관계로 생산성과의 관계를 보였다. 중소기업 모델에서는 조직체계 요인이 직무만족도, 직무몰입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 특히 이직의도는 직무스트레스 하부 요인 중 조직체계, 보상부적절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다.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대기업 모델에서는 조직효과성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중소기업 모델에서는 프리젠티즘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직무스트레스는 언제 발생하는가? 직무스트레스란 하나의 조직 속에서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그 수행자가 받게 되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인 문제를 의미하며, 이는 개인의 동기나 능력에 맞는 직무환경을 제공하지 못하거나 개인의 능력이 직무환경을 감당하기 어려울 때 발생한다[1].
직무스트레스란? 직무스트레스란 하나의 조직 속에서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그 수행자가 받게 되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인 문제를 의미하며, 이는 개인의 동기나 능력에 맞는 직무환경을 제공하지 못하거나 개인의 능력이 직무환경을 감당하기 어려울 때 발생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J. H. Lee, W. H. Cho, S. J. Chang, Y. H. Kim,"The effects of work and psychosocial stress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eaving intention in general hospital female office worker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17(1), pp. 1-22, 2012. 

  2. W. Y. Park."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factors of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p. 15-34, CheongJu University. Graduate school. Korea, 2010. 

  3. S. H. Yoon,"A study on the influence of job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job stress: Focus on clinic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7(3), pp. 451-466, 2004. 

  4. K. Y. Rhee, G. S. Kim,"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special school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12(4), pp. 301-321, 2010. 

  5. N. Ahsan, Z. Abdullah, D. G. Fie, S. S. Alam,"A study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mong university staff in Malaysia: Empirical study", European journal of social sciences, 8(1), pp.121-131, 2009. 

  6. M. S. You, W. S. Cho,"A review and analysis of research on job stress : current challenges and new directions", Korean Academy of Management, 1, pp. 521-553, 2011. 

  7. Statistics Korea. The characteristics of employee in Korea, 2013 year. [cited 2016 April 29],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13441 

  8. K. H. Cho, D. B. Lee, Y. C. Cho,"Psychosocial distres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clerical public offic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9(1), pp. 26-37, 2007. 

  9. S. Johnson, C. Cooper, S. Cartwright, I. Donald, P. Taylor, C. Millet,"The experience of work-related stress across occupations", Journal of Management and Psychology, 20(2), pp. 178-187, 2005. DOI: http://dx.doi.org/10.1108/02683940510579803 

  10. E. C. Lee, H. C. kim, D. Y. Jung, D. H. Kim, J. H. Leem, S. G. Park,"Association between job-stress and VDT work,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neck and shoulder among white-collar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9(3), pp. 187-195, 2007. 

  11. J. Y. Hong, H. R. Kim, B. R. Lee, Y. K. kim, J. W. Koo, C. Y. Park,"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liver dysfunction among male white-collar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1(2), pp. 165-173, 2009. 

  12. K. C. Park, K. J. Lee, J. B. Park, K. B. Min, K. W. Lee,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ymptoms among white-collar male workers in an automotive compan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3), pp. 215-224, 2008. 

  13. D. Y. Jung, J. U. Won, S. G. Pa가, S. J. Chang, H, C. Kim,"Job stress as a risk factors for occupational injuries among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2(1), pp. 37-47, 2010. 

  14. I. S. Ryu, D. S. Jeong, I. A. Kim, J. H. Roh, J. U. Won,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psychosocial wee-being and presenteeism, absenteeism: focusing on railroad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4(3), pp. 263-273, 2012. 

  15. J. W. Ko, Y. H. Yom.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organizational commitment. Taehan Kanho Hakhoe Chi, 33(2), pp. 265-274, 2003. 

  16. H. L. Kang,"A study of Occupational Satisfaction, Stress and Customer Orientation of Upper-scale General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9(2), pp. 268-277, 2010. 

  17. J. O. Sun, B. S. Oh, D. S. Hwang, J. Y Kim,"The assessment tool of Job stress", pp. 134-139, Lee Dam Books, Korea, 2010. 

  18.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Standardization of collection and measurement of health statistics data. p. 112-35, 92-143, Gyechuk Munwhasa. Seoul. 2000. 

  19. R. T. Mowday, R. M. Steers, L. W. Porter,"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2), pp. 224-247, 1979. DOI: http://dx.doi.org/10.1016/0001-8791(79)90072-1 

  20. J. Cook, T. Wall,"New work attitude measures of trus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sonal need nonfulfilment",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53(1), pp. 39-52, 1980. DOI: http://dx.doi.org/10.1111/j.2044-8325.1980.tb00005.x 

  21. B. S. Na."The analysis of relationship among learning organization,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p. 116-123,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Korea, 2001. 

  22. S. Y. Han."The impact of psychological contact violation on turnover and career withdrawal : the moderation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satisfaction", pp 25-26, 31-33,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Korea, 2009. 

  23. Reilly Associate. Work productivity and the impairment General health (WPAI-GH) 1993. [cited 2014 March 1], Available From : http://www.reilyassicates.net/WPAI_General.html. 

  24. S. J. Chang, S. B. Koh, M. G. Kang, B. S. Cha, J. K. Park, S. J. Park, S. A. Kim, D. M. Kang, S. S. Chang, K. J. Lee, E. H. Ha, J. M. Woo, J. J. Cho, H. S. Kim, J. S. Park,"Epidemiology of psychosocial distress in Korean employee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38(1), pp.25-37, 2005. 

  25. K. T. Cha, I. W. Kim, S. B. Koh, S. J. Hyun, J. H. Park, J. K. Park, B. S. Cha, S. J. Chang,"The association of occupational stress with self-perceived fatigue in white collar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3), pp. 182-192, 2008. 

  26. J. H. Lee."The effect of work and psychosocial stress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eaving intention on hospital female office workers", pp 26-30,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Korea, 2011. 

  27. S. H. Jeon, J. H. Leem, S. G. Park, Y. S. Heo, B. J. Lee, S. H. Moon,"Association among Working Hours, Occupational Stress, and Presenteeism among Wage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6(3), pp. 10-17, 2014. 

  28. E. Demerouti, P. M. Le Blanc, A. B. Bakker, W. B. Schaufeli, J Hox,"Present but sick: a three-wave study on job demands, presenteeism and burnout",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14(1), pp. 50-68, 2009. DOI: http://dx.doi.org/10.1108/13620430910933574 

  29. R. Z. Goetzel, S. R. Long, R. J. Ozminkowski, K. Hawkins, S. Wang, W. Lynch,"Health, absence, disability, and presenteeism cost estimates of certain physical and mental health conditions affecting US employer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46(4), pp. 398-412, 2004. DOI: http://dx.doi.org/10.1097/01.jom.0000121151.40413.bd 

  30. R. Loeppke, M. Taitel, V. Haufle, T. Parry, R. C. Kessler, K. Jinnett,"Health and productivity as a business strategy: a multiemployer study",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51(4), pp. 411-428, 2009. DOI: http://dx.doi.org/10.1097/JOM.0b013e3181a39180 

  31. K. Sanderson, F. Cocker,"Presenteeism: Implications and health risks", Australian Family Physician, 42(4), pp. 172, 2013. 

  32. R. de Graaf, M. Tuithof, S. V. Dorsselaer, M. T. Have, "Comparing the effects on work performance of mental and physical disorder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47(11), pp. 1873-1883, 2012. DOI: http://dx.doi.org/10.1007/s00127-012-0496-7 

  33. S. W. Oh, K. T. Jung, J. Y. Park,"The association of health risks with absenteeism and presenteeism",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9(4), pp. 304-314, 2007. 

  34. C. Cancelliere, J. D. Cassidy, C. Ammendolia, P. Cote, "Are workplace health promotion programs effective at improving presenteeism in workers? A systematic review and best evidence synthesis of the literature", BioMed Central Public Health, 26(11), pp. 395-458, 2011. DOI: http://dx.doi.org/10.1186/1471-2458-11-395 

  35. M. Riotto. Depression in the workplace: negative effects, perspective on drug costs and benefit solutions, Benefits Q, 17(2), pp. 37,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