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방분야 품질정책 고도화를 위한 군수품 생산업체 품질경영수준 조사 및 분석
A Survey and Analysis of Defense Industry Quality Management Level for Advancement of Defense Quality Polic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40 no.3, 2017년, pp.18 - 26  

노태주 (국방기술품질원) ,  서상원 (국방기술품질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fense industries which require high reliability need an optimized quality management system with well-planned implementation. And the government should examine the overall status of defense industries, then establish practical policies with a proper support plan in required areas to upgrade the q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군수품 생산업체의 품질경영수 준을 진단하기 위해 그 동안 개발된 모델을 소개하고, 이모델을 이용해 2016년 106개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제시함과 동시에 그 결과에 근거하여 군수품 생산 업체의 품질경영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한다.
  • 위에서 제시한 기존 문헌들은 민간분야에 대한 품질 실태 조사이며, 국가 간의 경쟁력 비교 또는 국내 기업의 전반적인 수준을 나타낸 반면, 본 연구는 군수품 생산업 체를 대상으로 기업규모별, 제조분야별 품질경영수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기 체계 및 기술을 국산화함으로써 어떤 효과가 생겼는가? 대한민국 군수품 획득을 전담하는 방위사업청이 출범되면서 방위산업 관련 기관 및 업체들은 품질이 우수한 최적의 군수품을 적기에 경제적으로 획득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해 왔다. 특히 수입에 의존해 왔던 상당수의 무기 체계 및 기술을 국산화하여 전력화함으로써 국내 방위산 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고 세계 수준의 방위산업 도약을 위한 발판을 마련함과 동시에 군수품에 대한 외화절감 효과를 가져 오기도 하였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K계열 무기체계 및 전력지원체계 품질문제, 시험성적서 위․변조 등 군수품 품질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됨으로써 군수품 품질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저하되었던 것도 사실이다.
군수품 품질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떨어짐으로써 어떤 대책이 필요하다고 보이는가? 하지만 그 과정에서 K계열 무기체계 및 전력지원체계 품질문제, 시험성적서 위․변조 등 군수품 품질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됨으로써 군수품 품질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저하되었던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방위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이러한 품질문제에 대한 근원적 해결과 예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이를 위해서 업체가 당면하고 있는 애로사항을 해소하여 건전한 품질경영 환경을 조성하고 중장기적 정부 품질정책 및 시스템을 구축하여 예방적 품질관리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군수품 생산업체의 역량 강화 및 정부 차원의 품질정책 수립을 위해 우선 군수품 생산현장의 현실태, 문제점 및 품질경영수준을 파악하고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를 위해 2014년 이후 품질경영수준 진단을 위한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고도화함과 동시에 이 모델을 이용하여 군수품 생산업체를 대상으로 매년마다 품질경영수준 조사를 실시 하고 있다.
중소기업 군수품 생산업체들은 어떤 개선이 필요해 보이는가? 본 연구를 통해 군수품 생산업체에 대한 품질경영수준을 기업규모별, 제조분야별로 나누어 시스템품질 및 경영 품질 부문으로 조사 분석하였고, 그 결과 전반적으로 기업 규모에 따라 상당한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군수품 생산업체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의 경우 근무 환경의 취약성으로 인한 높은 이직율과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초자산이라 할 수 있는 특허의 부족이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분석되었고, 높은 이직율로 인한 인적 불안정성이 군수품의 안정적 품질에 지장이 없도록 지속적 관심과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기업의 글로벌 품질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품질경영 등급 평가시스템 도입, 사용자 정보수집 및 피드백 시스템 구축, 우수업체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근로자 근무환경및 처우 개선 등 품질경영시스템을 강화하고 지원할 수있는 방향으로 정부가 정책을 수립하고 유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국방분야의 전반적인 품질경영수준 향상을 위해 서는 내실 있는 품질경영체계 구축, 수평적 협력관계 구축, 선진 품질관리기법 수립 및 보급, 기술혁신 및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방향이 설정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DAPA), Regulations for Defense Acquisition Management, 2017, p. 267. 

  2.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 Improvement of the Survey Model of the National Defense Industry Quality Management Level and Analysis of the Defense Industry Quality Management Level, 2015. 

  3.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 Survey on Domestic/International Quality Management Level Investigation, 2014. 

  4. Kim, S.D., Bae, S.J., Yang, J.E, Chung, K.S., Riew, M.C., Lim, S.U., Kim, M.J., Park, S.H., and Jeong, J.S., Model Development and Analysis for Assessment of National Defense Industry Quality Management,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2016, Vol. 44, No. 2, pp. 277-296. 

  5. Klaus Schwab,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5-2016, 2015, p. 15. 

  6. Min, H.K., Kim, T.Y., and Hwang, S.J., Open Innovation R&D Efficiency Evaluation by Integrated AHP-DEA,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12, Vol. 35, No. 4, pp. 149-161. 

  7.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The Fourth Quality Management Master Plan 2016-2020, 2016, p. 6. 

  8. Sung, S.I., Kim, H.G., Kim, J.M., Kim, Y.S., Chung, K.S., Kim, S.D., and Bae, S.J., Improving the Survey Model and Investigating for the Quality Management Level in the Korea Defense Industry,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2016, Vol. 44, No. 3, pp. 575-5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