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습성과의 개념과 작성에 대한 탐구
A Critical Evaluation of the Concept and Writing of Learning Outcomes 원문보기

의학교육논단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18 no.3, 2016년, pp.125 - 131  

이동엽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양은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changes in educational paradigms that emphasize the performance or outcomes of education are redefining how learning objectives are being described as 'learning outcomes' in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Medical education is not an exception to this trend. However, it has come to our atten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인식 전환의 기초가 되는 것은 학습성과의 개념과 학습성과의 기술방식에 대한 이해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목표 설정과 기술, 학습성과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학습성과 설정과 기술방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목적, 목표, 성과 및 역량의 개념에 대한 이해, 학습목표 분류와 행동적 학습목표 설정, 학습성과의 개념과 작성방법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2) 학습성과는 학습목표와의 위계를 고려하여 작성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목표는 어떻게 구분하는가? 일반적으로 학습목표는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리・운동영역으로 구분된다. 블룸은 지적 영역의 목표를 지식 그 자체와 지식에 대한 기능으로 구분될 수 있다고 보고, 지식기능을 지식(knowledge), 이해(comprehension), 적용(application), 분석(analysis), 종합(synthesis) 및 평가(evaluation)의 6단계로 분류하였다(Bloom, 1956).
목적이란? 학습성과 개발을 위해서는 용어의 의미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목적’은 교육과정 또는 교수자가 전체적으로 성취하고자 하는 의도로서 교육과정과 수업의 일반적인 내용과 방향을 기술하는 것으로 정의된다(Kennedy et al.,2006; McKimm & Swanwick, 2009).
ABCD원칙이 강조하는 것은? 그는 학생에게 제시되는 학습목표는 이러한 세 가지 기본개념에 기초하여 기술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학습목표 기술의 ABCD원칙을 제시하였다. 이 원칙은 학습자의 관점(audience)에서 과제의 조건(condition)과 수준(degree)을 분명하게하여 학습자가 보여주어야 하는 행위(behavior)를 명확하게 하는 것을 강조한다. 다음은 학습목표 작성원칙에 따른 학습목표 기술의예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1998). Learning objectives for medical student education: Guideline for medical schools (Report I of the medical school objectives project). Washington, DC: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2. Bloom, B. S. (1956). Th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Cognitive domain. New York, NY: Longman. 

  3. Boston University of School of Medicine, Office of Medical Education. (2004). Writing learning objectives. Retrieved from http://www.bumc.bu.edu /fd/files/PDF/WritingLearningObjectivesWebFD.pdf 

  4. Davis, M. H. (2003). Outcome-based education. J Vet Med Educ, 30(3), 258-263. 

  5. Epstein, R. M. (2007). Assessment in medical education. N Engl J Med, 356(4), 387-396. 

  6. Gosling, D., & Moon, J. A. (2001). How to use learning outcomes and assessment criteria. London: SEEC Office. 

  7. Harden, R. M. (1999). AMEE guide no. 14: Outcome-based education: Part 1-an introduction to outcome-based education. Med Teach, 21(1), 7-14. 

  8. Harden, R. M. (2002). Learning outcomes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Is there a difference? Med Teach, 24(2), 151-155. 

  9. Kennedy, D., Hyland, A., & Ryan, N. (2006). Writing and using learning outcomes: A practical guide. Retrieved from http://www.tcd.ie/teaching-learning /academic-development/assets/pdf/Kennedy_Writing_and_Using_L earning_Outcomes.pdf 

  10.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2012). Accreditation standards: Post 2nd cycle. Seoul: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11. Mager, R. F. (1984). Preparing instructional objectives (2nd ed.). Belmont, CA: Pitman Learning. 

  12.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 Psychol, 28(1), 1. 

  13. McKimm, J., & Swanwick, T. (2009). Setting learning objectives. Br J Hosp Med (Lond), 70(7), 406-409. 

  14. Ramsden, P. (2003). Learning to teach in higher education. London: Routledge. 

  15. Rhee, B. D., & Park, H. K. (2012). The process of developing a clinical presentation curriculum. Hanyang Med Rev, 32(1), 8-16. 

  16. Smith, S. R. (1999). AMEE guide no. 14: Outcome-based education: Part 2-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Med Teach, 21(1), 15-22. 

  17. Spady, W. G. (1988). Organizing for results: The basis of authentic restructuring and reform. Educ Leadersh, 46(2), 4-8. 

  18. Stone, T. (1999). Developing instructional objectives, lesson plans, and syllabi. In V. Bianco-Mathis & N. Chalofsky (Eds.), The adjunct faculty handbook (pp. 28-54).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9. Toohey, S. (1999). Designing courses for higher education. Buckingham: Society for Research into Higher Education & Open University Press. 

  20. Yang, E. B. (2015).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nd issues. Seoul: Korea Institute of Medicine. 

  21. Yang, E. B., Seo, D. J., & Han, J. J. (2014). A study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evaluation based on doctor's role in Korea. Seoul: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Korea Medical Associ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