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황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찰수수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연구
Study on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in Cancer Cells of Extract from Waxy Sorghum fermented with Phellinus linteus Mycelium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6 no.5, 2016년, pp.418 - 426  

장매위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미혜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라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fermentation products known to increase biological activity through bioconversion of mycelium. In this study, ethanol extract of waxy sorghum (WS) and ethanol extract of waxy sorghum fermented with Phellinus linteus mycelium (WSPM) were prepared, and functional compo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지금까지 수행된 연구들은 대부분 한약재를 이용한 균사체 발효 연구들로 우리가 일상적인 식생활에서 이용하고 있는 곡물을 이용하여 균사체를 발효한 발효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형편이다. 더욱이 상황버섯은 약리적 효과가 높은 버섯으로 알려져 있으며, 찰수수도 항산화성, 항암성 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이들을 함께 발효시켜 생물학적 전환을 통해 생리활성이 증대된 기능성 식품소재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상황버섯 균사체를 찰수수에 접종하여 발효시킨 다음, 발효 전과 발효 후의 유용 성분,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분석하여 발효물의 기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수란 무엇인가? 수수(Sorghum bicolor L. Moench)는 한해살이 화본과에 속하는 식물로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생장하고 내건성이 강한 잡곡이다. 수수의 단백질, 탄수화물, 식이섬유 함량은 다른 잡곡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지방 함량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Hulse JH 등 1980).
약용버섯 중 상황버섯 균사체의 생리활성 효능과 관련된 선행연구 결과는? 이와 같이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상황버섯은 자실체뿐만 아니라, 균사체에도 우수한 생리활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면서 균사체를 이용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 되고 있다. 상황버섯 균사체의 생리활성을 연구한 Chung KS 등(1993)은 상황버섯 균사체에서 분리된 단백다당체는 Sarcoma 180 복강암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켰을 뿐만 아니라 면역증진 효과도 우수하다고 하였다(Lee BE 등 2012). 상황버섯 균사체를 다른 기질에 접종시켜 발효물의 생리활성 변화를 분석한 연구들도 수행되었는데, 장수 상황버섯 균사체를 36종 한약재에 접종시켜 생리활성을 확인한 Shin YK 등 (2008)의 연구에서는 장수 상황버섯 균사체로 배양시킨 한약재의 항산화 활성이 증가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Hong JY (2014)는 상황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발효한 수삼이 마우스의 중성지방과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었다고 하였으며, Kim H 등(2010)은 상황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수삼의 면역 활성이 발효 전보다 증가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수수에 많이 함유된 페놀성 화합물은? 수수의 단백질, 탄수화물, 식이섬유 함량은 다른 잡곡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지방 함량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Hulse JH 등 1980). 수수에는 tannins, phenolic acids, anthocyanins, phytosterols, policosanols 등과 같은 페놀성 화합물이 다른 잡곡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Dykes L & Rooney LW 2006), 수수에 함유된 폴리페놀 화합물은 항암 활성, 항산화 활성, 면역증진 효과(Awika JM 등 2009, Kim KO 2004)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수수의 플라보노이드에서 분리된 apigenin은 자궁경부암 세포인 HeLa, 대장암 세포인 HCT116 및 HT29에 대해 우수한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Kim JS 등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wika JM, Yang L, Browning JD, Faraj A (2009) Comparative antioxidant, antiproliferative and phase II enzyme inducing potential of sorghum (Sorghum bicolor) varieties. LWT-Food Sci Technol 42(6): 1041-1046. 

  2. Bae MJ, Kim KJ, Kim SJ, Ye EJ (2007) Effect of mycelia extracts from Lentinus edoeds mushroom cultured Astragalus membranceus Bunge on anticancer and antiallergy activi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 8-13. 

  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4617): 1199-1200. 

  4. Carmichael J, DeGraff WG, Gazdar AF, Minna JD, Mitchell J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4): 936-942. 

  5. Chung KS, Kim SS, Kim HS, Kim KY, Han MW (1993) Effect of Kp, an antitumor protein polysaccharide from mycelial culture of Phellinus linteus on the humoral immune response of tumor bearing ICR mice to sheep red blood cells. Arch Pharm Res 16(4): 336-338. 

  6. Doll R, Peto R (1981) The causes of cancer: Quantitative estimates of avoidable risks of cancer in the United States today. J Natl Cancer Inst 66(6): 1191-1308. 

  7. Dykes L, Rooney LW (2006) Sorghum and millet phenols and antioxidants. J Cereal Sci 44(3): 236-251. 

  8. Han MD, Kim YH, Kim WJ (2014) In vivo growth inhibition of Sarcoma-180 cells by a ${\beta}$ -glucan from the mushroom Ganoderma lucidum. J Life Sci 24(7): 721-727. 

  9. Hong JY (2014) Lipid lowering effect of solid fermented Panax ginseng by Phellinus linteus mycelium.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pp. 38, 55, 57. 

  10. Hulse JH, Laing EM, Pearson OE (1980) Sorghum and the Millets: Their Composition and Nutritive Value. Pittsburgh, USA. 

  11. Hwang YJ, Noh GW, Kim SH (2003) Effect of Inonotus obliquus extracts on proliferation and caspase-3 activity in human gastrointestinal cancer cell lines. J Korean Nutr Soc 36(1): 18-30. 

  12. Jeon YH, Choi SW, Kim MR (2009) Antimutagenic and cytotoxic activity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Rubus coreanum. Korean J Food Cookery Sci 25(3): 379-386. 

  13. Jin SY (2007) Antioxidant activity in pomegranate and development of the maejakgwa added pomegranate extract. Ph D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pp. 68-69. 

  14. Jeung EM, Kim HY, Hwang IG, Jeong JH, Yu KW, Lee JS, Jeong HS (2010) Changes of antioxidant activities on cultured ginseng with mushroom mycelia during cultiv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9): 1346-1352. 

  15. Kim H, Yoon HS, Jeong JH, Jeong HS, Hwang J, Yu KW (2010) Enhancement of immunostimulation by fractionation of active polysaccharide from fermented ginseng with Phellinus linteus mycelium in solid cul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42(2): 223-232. 

  16. Kim JS, Jung HJ, Yang JF, Eun YC, Sa YJ, Yu CY, Heo SI, Pack DS, Chung IM, Kim MJ (2011) Anticancer Activity of Apigenin isolated from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Abstract No II-60 presented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Eumseong, CB, Korean. 

  17. Kim KO (2004) Effect of Sorghum bicolor L. Moench (Sorghum, su-su) extracts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pp. 78-80. 

  18. Kim S (2012) The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whitening and antioxidant effects of colored rice cultured with the mycelium of Phellinus baumii Pilst.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p. 30. 

  19. Kim SH (2002)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Phellinus linteus.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pp. 58, 60. 

  20. Lee BE, Ryu SY, Kim EH, Kim YH, Kwak KA, Song HY (2012)Immunostimulating effect of mycelium extract of Phellinus linteus. Kor J Pharmacog 43(2): 157-162. 

  21. Lee HD, Lee KS (2009) ${\beta}$ -Glucan and glucosamine contents in various cereals cultured with mushroom mycelia. Kor J Mycol 37(2): 167-172. 

  22. Lee JJ (2009) Persimmon leaf pan fired tea and Ganoderma lucidum mushroom mycelia fermented persimmon leaf tea's elemental analysis and antioxidization effect. MS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Daegu. pp. 30-31. 

  23. Lee JY, Kim BK, Park HJ (2013)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tea according to heating processes. Korean J Food Nutr 26(4): 693-699. 

  24.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super 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3): 469-474. 

  25.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1-2): 109-114. 

  26. Park MJ (2011) The effects of hangover cure and improve of liver function activity of mushroom mycelia cultured with medicinal plant as substrate. MS Thesis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pp. 70-71. 

  27.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 Evans C (1998)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 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3-ethylene 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 Enzymol 299(1): 379-389. 

  28.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 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 Med 26(9-10): 1231-1237. 

  29. Ryu JS (2011)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functions of red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fermented by Phelinus linteus mycelia. Ph D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Yongin. p. 65. 

  30. Shin YK, Jang HS, Kim JS, Ryu HY, Kim JK, Kwun IS, Sohn HY (2008) Solid fermentation of medicinal herb using Phellinus baumii mycelium and antithrombin and antioxidation activity of its methanol extract. Kor J Microbiol Biotechnol 36(3): 201-208. 

  31. Sin OS (2004) In vitro effect of extracts of Phellinus baumii and Ganoderma lucidum on antiviral and immuno activity. M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pp. 17-18. 

  32. Shon MY (2007)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Poria cocos and Machilus thunbergii fermented with mycelial mushrooms. Food Indus Nutr 12(2): 51-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