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재가치매 환자의 미충족요구와 가족부양자의 돌봄경험 예측모형
A Prediction Model for Unmet Needs of Elders with Dementia and Caregiving Experiences of Family Caregiver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5, 2016년, pp.663 - 674  

최소라 (충북보건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박명화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test a prediction model for caregiving experiences including caregiving satisfaction and burden in dementia family caregivers. Methods: The stress process model and a two factor model were used as the conceptual frameworks. Secondary data ana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스트레스과정 모델과 2요인 모델에 근거하여 재가치매환자를 돌보는 가족부양자를 대상으로 돌봄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치매 환자의 미충족요구와 가족부양자의 돌봄경험 예측모형을 구축하고 요인간의 경로와 영향력을 파악하는 모형 검정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가족부양자의 돌봄부담감은 환자 증상과 돌봄만족감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나타내었고, 미충족요구는 돌봄만족감을 통해 돌봄부담감을 간접적으로 설명하였다.
  • 본 연구는 스트레스과정 모델과 2요인 모델에 바탕을 두고 치매환자의 미충족요구와 가족부양자의 돌봄경험, 즉 돌봄만족감과 돌봄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돌봄경험 구조모형을 구축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판단하고, 변수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 치매관리사업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차분석한 탐색적 구조 모형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치매 환자의 미충족요구와 가족부양자의 돌봄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인과적 경로를 밝힘으로써 돌봄경험을 총체적으로 설명하는 구조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 또한 돌봄경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시되는 주관적 스트레스요인인 미충족요구를 주요 변수로 포함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와 달리 스트레스과정 모델의 주요 변인과 2요인 모델의 주요 변인을 바탕으로 돌봄만족감과 돌봄부담감의 복합적인 측면에서 가족부양자의 돌봄경험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가족부양자의 돌봄경험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돕고, 가족부양자의 돌봄만족감 증진과 돌봄부담감 감소를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 환자를 돌보는 상황이 가족부양자에게 돌봄 스트레스나 돌봄부담감 같은 부정적인 결과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연구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한편 치매 환자를 돌보는 상황이 가족부양자에게 돌봄 스트레스나 돌봄부담감 같은 부정적인 결과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연구도 발표되고 있다. Lawton 등[4]은 돌봄평가와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2요인 모델(two-factor model of caregiving apprais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이하 2요인 모델)을 통해 가족부양자의 돌봄경험에 대한 평가를 돌봄부담감과 돌봄만족감의 2가지 차원으로 제시하였다. 이 모델에서 돌봄만족감은 환자의 친밀한 감정, 함께 하는 즐거움, 가족부양자의 삶에 대한 의미발견 등의 긍정적 측면을 의미한다. 돌봄만족감은 부양자로 하여금 돌봄경험을 통해 내적 성장과 만족감, 보상을 느끼게 해 돌봄부담감을 극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2]. 이처럼 가족부양자의 돌봄경험을 이해 하기 위해서는 돌봄의 부정적 측면인 돌봄부담감 뿐만 아니라 긍정적 측면인 돌봄만족감을 포함한 동시적 접근이 필요하다.
치매의 특징은 무엇인가? 급속한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해 국내 치매 환자 수는 2012년 약 65만 명으로, 2025년에는 100만 명이 넘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 치매는 비가역적인 뇌 손상으로 인해 기억력, 지적 능력의 장애, 언어장애, 행동장애 및 인격변화를 보이며, 장기간에 걸친 악화과정으로 기본적인 일상생활까지 가족부양자에게 의존하게 된다[2]. 특히 치매 환자의 인지와 정신행동증상 정도가 심해질수록 가족부양자는 환자 돌봄에 기울이는 노력과 시간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면서 피로, 소진 및 건강상태 악화 등의 신체적 문제나 불안, 우울, 무력감과 사회활동 제약으로 인한 사회적 고립 등의 심리사회적 문제와 경제적 어려움, 가족 간 갈등 등의 돌봄부담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
치매 환자의 인지와 정신행동증상 정도가 심해질수록 어떤 문제가 나타나는가? 치매는 비가역적인 뇌 손상으로 인해 기억력, 지적 능력의 장애, 언어장애, 행동장애 및 인격변화를 보이며, 장기간에 걸친 악화과정으로 기본적인 일상생활까지 가족부양자에게 의존하게 된다[2]. 특히 치매 환자의 인지와 정신행동증상 정도가 심해질수록 가족부양자는 환자 돌봄에 기울이는 노력과 시간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면서 피로, 소진 및 건강상태 악화 등의 신체적 문제나 불안, 우울, 무력감과 사회활동 제약으로 인한 사회적 고립 등의 심리사회적 문제와 경제적 어려움, 가족 간 갈등 등의 돌봄부담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dementia strategy 2013- 2015 [Internet]. Seoul: Author; 2012 [cited 2015 March 10]. Available from: http://www.m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274723&page1. 

  2. Sung MR, Yi M, Lee DY, Jang HY. Overcoming experiences of family members caring for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at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3):389-398. http://dx.doi.org/10.4040/jkan.2013.43.3.389 

  3. Cho E, Cho E, Kim SS.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 on burden of family caregivers of older adult with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0;30(2):421-437. 

  4. Lawton MP, Moss M, Kleban MH, Glicksman A, Rovine M. A two-factor model of caregiving apprais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Gerontology. 1991;46(4):P181-P189. http://dx.doi.org/10.1093/geronj/46.4.P181 

  5. Pearlin LI, Mullan JT, Semple SJ, Skaff MM. Caregiving and the stress process: an overview of concepts and their measures. The Gerontologist. 1990;30(5):583-594. 

  6. Bass DM, Judge KS, Snow AL, Wilson NL, Looman WJ, McCarthy C, et al. Negative caregiving effects among caregivers of veterans with dementia.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12;20(3):239-247. http://dx.doi.org/10.1097/JGP.0b013 e31824108ca 

  7. Orrell M, Hancock G. CANE: Camberwell assessment of need for the elderly. London, UK: Gaskell; 2004. p. 1-208. 

  8. Gaugler JE, Mittelman MS, Hepburn K, Newcomer R. Identifying at-risk dementia caregivers following institutionalization: The nursing home admission-burden and nursing home admission-depression prognostic tools.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2014;33(5):624-646. http://dx.doi.org/10.1177/0733464812454008 

  9. Lee YW, Lim JY, Kim JY, Cho HI, Ko GJ. A prediction model for caregiver burden and life satisfaction: Caring for a patient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1;13(3): 204-214. 

  10. Contador I, Fernandez-Calvo B, Palenzuela DL, Migueis S, Ramos F. Prediction of burden in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dementia: A perspective of optimism based on generalized expectancies of control. Aging & Mental Health. 2012;16(6):675-682. http://dx.doi.org/10.1080/13607863.2012.684666 

  11. de Labra C, Millan-Calenti JC, Bujan A, Nunez-Naveira L, Jensen AM, Peersen MC, et al. Predictors of caregiving satisfaction in informal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015;60(3):380-388. http://dx.doi.org/10.1016/j.archger.2015.03.002 

  12. Hodge DR, Sun F. Positive feelings of caregiving among Latino Alzheimer's family caregivers: Understanding the role of spirituality. Aging & Mental Health. 2012;16(6):689-698. http://dx.doi.org/10.1080/13607863.2012.678481 

  13. Hwang SS, Chang VT, Alejandro Y, Osenenko P, Davis C, Cogswell J, et al. Caregiver unmet needs, burden, and satisfaction in symptomatic advanced cancer patients at a Veterans Affairs(VA) medical center. Palliative & Supportive Care. 2003;1(4):319-329. http://dx.doi.org/10.1017/S1478951503030475 

  14. Lim YM, Son GR, Song JA, Beattie E. Factors affecting burden of family caregivers of community-dwelling ambulatory elders with dementia in Korea.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2008;22(4):226-234. http://dx.doi.org/10.1016/j.apnu.2007.12.005 

  15. Lee DY, Park M, Lee SJ, Kim YH, Kim JH, Kim HJ, et al. Dementia management survey for registered elders with dementia on the Seoul dementia management project. Seoul: Seoul Metropolitan Center for Dementia; 2014. 

  16. Yu JP.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e Publishing Co.; 2012. p. 1-567. 

  17. Reynolds T, Thornicroft G, Abas M, Woods B, Hoe J, Leese M, et al. Camberwell Assessment of Need for the Elderly(CANE). Development,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2000;176:444-452. http://dx.doi.org/10.1192/bjp.176.5.444 

  18. Nolan M, Grant G, Keady J. Assessing the needs of family carers: A guide for practitioners. Brighton, UK: Pavilion Publishing; 1998. p. 1-39. 

  19. Andren S, Elmstahl S. Family caregivers' subjective experiences of satisfaction in dementia care: Aspects of burden, subjective health and sense of coherence.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005;19(2):157-168. http://dx.doi.org/10.1111/j.1471-6712.2005.00328.x 

  20. Zarit SH, Reever KE, Bach-Peterson J. Relatives of the impaired elderly: Correlates of feelings of burden. The Gerontologist. 1980;20(6):649-655. http://dx.doi.org/10.1093/geront/20.6.649 

  21. Bae KY, Shin IS, Kim SW, Kim JM, Yang SJ, Mun JU, et al. Care burden caregivers according to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pers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2006;12(1):66-75. 

  22. Park M, Sung M, Kim SK, Kim S, Lee DY. Multidimensional determinants of family caregiver burden in Alzheimer's disease.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015;27(8):1355-1364. http://dx.doi.org/10.1017/s1041610215000460 

  23. Han EJ, Lee JM, Kwon JH, Shin SB, Lee JS. Factors related to family caregivers' burden with the community-dwelling disabled elderly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4;24(1):71-84. http://dx.doi.org/10.4332/KJHPA.2014.24.1.71 

  24. Holst G, Edberg AK. Wellbeing among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next of kin over a period of 3 years.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011;25(3):549-557. http://dx.doi.org/10.1111/j.1471-6712.2010.00863.x 

  25. Goetzinger AM. Predictors of caregiver well-being and satisfaction: The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odel [dissertation]. Kansas City, MO: University of Missouri-Kansas City; 2008. p. 1-165. 

  26. National Collaborating Centre for Mental Health. Dementia: A NICE-SCIE guideline on supporting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carers in health and social care [Internet]. London, UK: The British Psychological Society, The Royal College of Psychiatrists; 2007 [cited 2015 December 21]. Available from: http://www.scie.org.uk/publications/misc/dementia/dementia-full-guideline.pdf. 

  27. Bass DM, Judge KS, Snow AL, Wilson NL, Morgan R, Looman WJ, et al. Caregiver outcomes of partners in dementia care: Effect of a care coordination program for veterans with dementia and their family members and friend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13;61(8):1377-1386. http://dx.doi.org/10.1111/jgs.12362 

  28. Kajiwara K, Nakatani H, Ono M, Miyakoshi Y. Positive appraisal of in-home family caregivers of dementia patients as an influence on the continuation of caregiving. Psychogeriatrics. 2015;15 (1):26-31. http://dx.doi.org/10.1111/psyg.12074 

  29. Park M, Park MH, Kim HH. Effects of a multimodal psychoeducational program on burden, depression, and problem coping behaviors in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5;17(1):10-19. http://dx.doi.org/10.17079/jkgn.2015.17.1.10 

  30. Shim B, Barroso J, Gilliss CL, Davis LL. Finding meaning in caring for a spouse with dementia. Applied Nursing Research. 2013 ;26(3):121-126. http://dx.doi.org/10.1016/j.apnr.2013.05.0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