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신장이식 환자의 수술 후 경과기간에 따른 미충족요구 분석
Analysis of Unmet needs by Elapsed Time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2, 2020년, pp.457 - 467  

노세희 (계명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박정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속적인 자가간호가 필요한 신장이식 수술환자의 경과 기간에 따른 미충족 요구를 파악하여, 시기에 맞는 통합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신장이식 수술 후 1년까지 입원 및 외래환자 84명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2월 17일부터 5월 31일까지로, Comprehensive Needs Assessment Tool in Cancer(CNAT)를 신장이식 환자에 맞게 수정·보완,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거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Chi-square, 독립 t-test, one-way ANOVA, ANCOVA, 사후검정은 Scheffé로 하였다. 연구결과 신장이식 수술 환자의 미충족 요구는 171점 만점 중 총점 평균 68.28(±38.88)점, 하부영역 8개 중 정보 및 교육이 17.92(±8.36)점으로 가장 높았다. 경과 기간에 따른 미충족 요구는 3-6개월에 비해 6개월-1년까지가 유의하게 높았다(F=7.57, p=.001). 이를 토대로 신이식 후 회복이 되어 관심이 줄어들 수 있는 6개월-1년 사이 환자의 미충족 요구는 증가하였으므로 적절한 정보와 도움을 융합하여 제공하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education programs suitable for the period by identifying the unmet needs of kidney transplant surgery patients who need continuous self-care according to the elapsed period.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84 inpatients and outpatien...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현재 이러한 연구는 암환자의 미충족 요구에 대부분 집중되어 있으며, 지속적인 간호가 필요한 다른 대상자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적인 자가간호가 필요한 신장이식 수술환자의 경과기간에 따른 미충족 요구를 파악하여 향후 대상자의 경과기간에 따라 적절한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신장이식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퇴원 후 경과 기간에 따른 미충족 요구를 비교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속적인 자가간호가 필요한 신장이식 수술환자의 경과기간에 따른 미충족 요구를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신장이식 수술 후 3개월 미만, 3-6개월, 6개월 -1년까지로 3그룹으로 나누어 총 84명의 미충족 요구를측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장이식 수술환자의 경과 기간에 따른 미충족 요구를 비교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장이식 환자의 퇴원 후 경과 기간별 미충족 요구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신장이식 환자의 경과 기간별 미충족 요구를 만족시킬 수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JT. (2008). Kidney transplantation and a new life. [Brochure]. Seoul : Medical culture. 

  2.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19.03.13.). Naver. Chronic kidney disease increases the risk of complications and death as it progresses. https://www.cdc.go.kr/board.es?mida20501000000&bid0015&actview&list_no143249 

  3. Korea Network for Organ Sharing. (2020. 2.7). Naver. Organ transplant status. https://www.konos.go.kr/konosis/sub4/sub04_03_01_pop.jsp 

  4. Kim et al. (2010). A Renal Transplantation and Hemodialysis Cost-Utility Analysis in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ransplantation, 24(3), 173-181. DOI : 10.4285/jkstn.2010.24.3.173 

  5. H. C. Kim, W. H. Cho. (2000). Kidney transplantation. Seoul : Koonja. 

  6. E. J. Gordon, M. Gallant. A. R. Sehgal. D. Conti, L. A. Siminoff. (2009). Medication-taking among adult renal transplant recipients: barriers and strategies. Transplant International, 22(5), 534-545. DOI : 10.1111/j.1432-2277.2008.00827.x 

  7. J. H. Lee, M. S. Kim, K. O. Jeon & Y. S. Kim. (2001). Perioperative Care for Kidney Transplantation. The Korean Society of Critical Care Medicine, 16(1), 11-16. 

  8. S. H. Yoo. (2004). The degree of educational needs of kidney transplanted patients and the degree of nurses' educational performances perceived by patients.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9. M. K. Sim & S. Y. Son. (2012). The effects of an individual educational program on self-care knowledge and self-care behavior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8(1), 9-17. 

  10. P. Patterson, E. Moylan, S. Bannon & F. Salih. (2000). Needs analysis of a cancer education program in south western Sydney. Cancer nursing, 23(3), 186-192. 

  11. H. Y. Lee. (2013).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 of the Health Insurance Fee System: Focusing on diagnosis-related group.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2. S. J. Altfeld, G. E. Shier, M. Rooney, T. J. Johnson, R. L. Golden, L. Karavolos & A. J. Perry. (2013). Effects of an enhanced discharge planning intervention for hospitalized older adults: a randomized trial. The Gerontologist, 53(3), 430-440 

  13. J. Harrison, J. Young, M. Price, P. Butow & M. Solomon. (2009). What are the unmet supportive care needs of people with cancer? A systematic review. Supportive Care In Cancer, 17(8), 1117-1128. 

  14. D. E. Holland, P. Mistiaen & K. H. Bowles (2011). Problems and unmet needs of patients discharged "home to self-care". Professional Case Management, 16(5), 240-250. 

  15. D. O. Case. (2007). Looking for information: A survey of research on information seeking. Amsterdam, The Netherlands : Academic Press. 

  16. D. M. Ko. (2012). Liver transplant recipient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ime elapsed since liver transplant.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7. R. J. Baker, P. B. Mark, R. K. Patel, K. K. Stevens & N. Palmer. (2017). Renal associati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 in post-operative care in the kidney transplant recipient. BMC nephrology, 18(1), 1-41. 

  18. H. J. Kim. (2016). Relationship between unmet needs and quality of life of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in Korea.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 E. G. Oh, J. H. Sung, Y. S. Park, H. J. Lee & Y. K. Kim. (2016). Physiological Functional Status and the Levels of Unmet Care Needs after Discharge in Patients with Chronic Pulmonary Disease, Colorectal Cancer, and Strok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2(2), 194-204. 

  20. J. M. KIm & J. S. Park.. (2018). Comparison of unmet need and quality of life between permanent ostomates and temporary ostomat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9), 374-383. 

  21. M. Y. Jang. (2016). Unmet needs and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chemotherapy and their family caregivers.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2. D. W. Shin et al. (2011). The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needs assessment tool for cancer caregivers in patient­caregiver dyads. Psychooncology, 20(12), 1342-1352. https://doi.org/10.1002/pon.1857 

  23. E. H. Mo. (2017). Unmet needs of couples with colorectal cancer, Symptom experience and activation of patients.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4. Y. R. Noh. (2019). Unmet Supportive Care Needs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in Primary Brain Tumor Patients Receiving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5. H. S. Ha et al. (2007). Psychosocial Adjustment of the Organ Transplantation Recipients in Korea. The Korean Society for Transplantation, 21(2), 269-2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