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구실 사고분류 체계 개발
Development of Accident Taxonomy for Experimental Laboratory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1 no.5, 2016년, pp.49 - 53  

박교식 (명지대학교 화학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ccidents occurred at experimental laboratory and to suggest hierarchical taxonomy applicable to prepare countermeasures reducing the experimental laboratory accidents. Recent 5 years accidents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primary cause, faci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7. 01 ~ 2012.05 발생한 국공립연구소 및 대학 연구실 사고자료를 분석하여 이를 연구실의 사고저감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우선 종전의 사고분류는 수평적이어서 최종 결과가 화상이면 같은 결과로 분류되었으며 이는 그 원인이 기계나 전기적인지 화학물질에 의한 것인지에 따라 대책이 매우 달라야한다는 점에서 불합리한 것이었다.
  • 본 논문에서는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의 연구실 사고관리의 개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연구실 사고분류 체계를 마련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해외 연구실 사고관리 지침 현황을 조사하고 국내 외의 사고분류체계를 조사하여 참조하였다.
  • 이근원 등이 분석한 실험실 사고는 2006년부터 5년간 사고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기존의 사고분류에 의하여 단순히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대책을 수립하기에는 미흡하였다5). 엄석화 등이 분석한 실험실 사고는 사고원인을 규명함에 있어서 단순한 사고 1차 원인에만 국한하지 않고, 실험실 설비 등 H/W와 화학물질에 대한 MSDS 특성 파악 및 교육 등 S/W에 대하여 체계적인 원인규명이 필요하다고 하였고4), 설문 등을 통하여 실험실 안전관리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밖에도 가스사고분석 등을 통하여 사고대책을 수립하는 등 해당분야의 안전관리에 여러 가지 기여를 하고자 하였으며6-10), 특히 박교식 등은 가스사고 분석시 최초로 계층적인 분석방법을 제안하여서 보다 적확한 분석에 의한 대책 수립이 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실에서 발생하는 주요 사고원인은 무엇인가? 최근 들어 연구실에서는 가연성 증기나 인화성 가스가 연구실 내에 누출 인화되어 화재 폭발 사고가 발생 하는 등 유사사고가 반복되어 이를 체계적으로 개선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1) . 연구실에서 발생하는 주요 사고원인은 실험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의식 부재, 설비 및 유지관리의 불충분, 연구실 기능의 미비, 협소한 실험공간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연구 실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연구실에 대한 주기적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등을 통해 과학기술 연구ㆍ개발활동 활성화를 모색하고 있으나, 실제 연구 현장에서 연구실 안전환경조성에 대한 의식수준이 부족한 실정이다.
연구 실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정부가 하고 있는것은? 연구실에서 발생하는 주요 사고원인은 실험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의식 부재, 설비 및 유지관리의 불충분, 연구실 기능의 미비, 협소한 실험공간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연구 실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연구실에 대한 주기적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등을 통해 과학기술 연구ㆍ개발활동 활성화를 모색하고 있으나, 실제 연구 현장에서 연구실 안전환경조성에 대한 의식수준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연구실에서 발생하는 사고의 체계적인 분류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안전사고에 대한 종합적인 안전대책 수립에 대한 보고․조사․관리기준 개발ㆍ보급하는 것이 시급히 필요하다고 본다.
설치불량과 관리불량은 누가 문제 해결 하여야 하는가? 사고원인 분석 결과 우선 설비결함과 인적요인으로 분류하였으며 설비결함은 다시 설치불량과 관리불량으로 구분하였다. 설치불량에 대해서는 이를 시설관리 부서에서 관리를 담당하므로 문제해결은 해당기관에서 책임지고 수행하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반면 관리불량은 연구실에서 실험시 설비를 관리하므로 이에 대한 문제해결은 각 연구실에서 책임지고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경우 피해유형은 화재가 대부분을 차지하므로(60%) 이에 대한 집중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 -W. Lee and Y. -R. Choi, "Actual Condition and Realization of Important on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in Chemical Laboratories", KIGAS, Vol. 16, No. 2, pp. 60-66, 2012. 

  2. K. S. Lee and E. S. Seol,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Aviation Accidents in Major Countries", J. Aviation Management Society of Korea, Vol. 8, No. 2, pp. 87-100, 2010. 

  3. C. O. Kim, "Classification System for Accident Focusing with Safety Engineering in Disaster Prevention",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9. 

  4. S. H. Eom and S. K. Lee, "A Study on Analysis of Laboratory Accident with Root Cause Analysis, KIGAS, Vol. 14, No. 4, pp. 1-5, 2010. 

  5. K. -W. Lee and J. -S. Lee, "A Study on the Analysis of Accident Cases in Laboratories", KIGAS, Vol. 16, No. 5, pp. 21-27, 2012. 

  6. S. -K. Lee, Y. -S. Yoon, and S. H. Eom, "Cause Analysis and Development of Root Cause Analysis Map Using Data of Chemical Laboratory Accidents", KIGAS, Vol. 18, No. 4, pp. 86-94, 2014. 

  7. Y. -T. Hur and S. -K. Lee, "Investigation of the Gas Accident Models through the Analysis Gas Accident Occurring Environment", KIGAS, Vol. 14, No. 2, pp. 27-33, 2010. 

  8. K. Park and E. -J. Kim, "Gas Accident Analysis and Suggestion of Countermeasure at Thawing Season". KIGAS, Vol. 4, No. 2, pp. 46-51, 2000. 

  9. K. Park and J. -Y. Kim, "An Analysis of Gas Accident between 1995 and 1998, and Suggestion of Accident Reduction Countermeasures", KIGAS, Vol. 4, No. 3, pp. 1-8, 2000. 

  10. N. J. Jang, K. Han, W. So, J. Yong, Y. Yoon and E. -S. Yoon,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Codes and Database of Chemical Accidents", KIGAS, Spring Meeting, pp. 63-67, 2009. 

  11. http://www.labs.go.kr/modedg/contentsView.do?ucont_idCTX000011&menu_nix5J0D2HzG 

  12. KOHA, "Annual Accident Report in Industry", 2014. 

  13. KOSHA, KOSHA GUIDE P-58-2012, "Technical Guideline of Accident rsponse to Hazardous Release", 1995. 

  14.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Diective 60, "Guideline of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Laboratory Accident Investigation Team", 20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