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로등 제어용 다층패드형 압전 하베스터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Rack Type Piezoelectric Harvester for Smart Street Lamps Control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29 no.11, 2016년, pp.696 - 701  

김창일 (한국세라믹기술원 전자융합소재본부) ,  정영훈 (한국세라믹기술원 전자융합소재본부) ,  박운익 (한국세라믹기술원 전자융합소재본부) ,  조정호 (한국세라믹기술원 전자융합소재본부) ,  장용호 ((주)센불) ,  최범진 ((주)센불) ,  박신서 ((주)센불) ,  백종후 (한국세라믹기술원 전자융합소재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o increase output of road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it was made into rack type in which many piezoelectric materials can be installed and load transfer device of the leverage type to transfer vehicle load was made. By paving it in the road, the output characteristics depend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층패드 형태는 압전 모듈을 도로 가장자리로 이동시켜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압전 패드를 증가시켜 발생 에너지를 증가시키기 용이한 구조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용 압전 하베스터의 발전량을 높이기 위해 다량의 압전체를 설치할 수 있는 다층패드(rack) 형태로 제작하고 차량 하중을 전달할 수 있는 지렛대 형태의 하중 전달 기구를 제작하였다. 이를 도로에 매설하여 차량 하중과 속도에 따른 발전특성을 평가하였으며 또한 무선 스위치를 제작하여 다층패드형 압전 하베스터의 발전량으로 무선 신호를 송출하여 거리별로 수신여부를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압전 하베스터를 도로 가로등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한 가로등 제어시스템에 실증하고자 하였다. 차량의 통행이 줄어드는 야간시간에 차량 통행이 있을 때에만 가로등 밝기를 100% 증가시키고 통행이 없으면 밝기를 70%로 낮추어 조절한다면 전기 에너지를 절약 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압전 하베스터를 도로 가로등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한 가로등 제어시스템에 실증하고자 하였다. 차량의 통행이 줄어드는 야간시간에 차량 통행이 있을 때에만 가로등 밝기를 100% 증가시키고 통행이 없으면 밝기를 70%로 낮추어 조절한다면 전기 에너지를 절약 할 수 있다.
  •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다층패드(rack) 형태의 압전 하베스터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다층패드 형태는 압전 모듈을 도로 가장자리로 이동시켜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압전 패드를 증가시켜 발생 에너지를 증가시키기 용이한 구조이다.

가설 설정

  • 차량 하중 전달 장치의 크기에 맞게 전기 톱날과 드릴을 사용하여 도로를 절단하고 바닥면은 차량 하중 전달 장치의 높이에 맞춰 시멘트로 평탄 작업을 하였다. 차량 하중 전달 장치와 다층 패드형의 압전 하베스터를 삽입하고 도로와 다층패드형 압전 하베스터의 틈새를 아스콘으로 메워 도로상에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차량 하중과 속도에 따른 발전특성에서,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 에너지가 감소하는 이유는? 이는 차량 하중 전달 장치의 구조적 문제로 판단된다. 차량 속도가 낮을 때에는 push rod를 끝까지 충분히 밟게 되어 다층패드를 타격하게 되지만, 차량 속도가 증가하게 되면 누름 막대(push rod)를 끝까지 밟기 전에 통과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다층패드 모듈에 가하는 타격 힘이 줄어들게 되어 발생 에너지 또한 줄어드는 것으로 보여진다.
단층 패드 형태의 압전 하베스터의 장단점은? 차량의 통행이 줄어드는 야간시간에 차량 통행이 있을 때에만 가로등 밝기를 100% 증가시키고 통행이 없으면 밝기를 70%로 낮추어 조절한다면 전기 에너지를 절약 할 수 있다. 단층 패드 형태의 압전 하베스터의 경우 매설이 용이하고 공간 제약이 적은 장점이 있지만 발전량이 높지 않고[12] 유지 보수시 재공사를 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다층패드 형태 구조의 특징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다층패드(rack) 형태의 압전 하베스터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다층패드 형태는 압전 모듈을 도로 가장자리로 이동시켜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압전 패드를 증가시켜 발생 에너지를 증가시키기 용이한 구조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용 압전 하베스터의 발전량을 높이기 위해 다량의 압전체를 설치할 수 있는 다층패드(rack) 형태로 제작하고 차량 하중을 전달할 수 있는 지렛대 형태의 하중 전달 기구를 제작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E. Romero, R. O. Warrington, and M. R. Neuman, Physiological Measurement, 30, R35 (2009). [DOI: http://dx.doi.org/10.1088/0967-3334/30/9/R01] 

  2. S. Roundy, Journal of Intelligent Material Systems and Structures, 16, 809 (2005). [DOI: http://dx.doi.org/10.1177/1045389X05054042] 

  3. T. Starner, IBM Systems Journal, 35, 618 (1996). [DOI: http://dx.doi.org/10.1147/sj.353.0618] 

  4. N. S. Shenck and J. A. Paradiso, IEEE, 21, 30 (2001). 

  5. J. Kymissis, C. Kendall, J. Paradiso, and N. Gershenfeld, Proc. Second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Wearable Computers (Washington, USA, 1998) p. 132. 

  6. J. A. Paradiso and M. Feldmeier, Proc.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Computing (eds. G. Abowd, B. Brumitt, and S. Shafer) (Atlanta, US, 2001) p. 299. 

  7. K. Chebrolu, B. Raman, N. Mishra, P. K. Valiveti, and R. K. Brimon, Proc.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bile Systems, Applications, and Services (Colorado, US, 2008) p. 2. 

  8. R. G. Lee, K. C. Chen, S. S. Chiang, C. C. Lai, H. S. Liu, and M. S. Wei, Proc. the 4th Annual Commucication Networks and Services Research Conference (IEEE, Moncton, New Brunswick, Canada, 2006) p. 161. 

  9. C. I. Kim, J. H. Lee, K. B. Kim, Y. H. Jeong, J. H. Cho, J. H. Paik, Y. J. Lee, and S. Nahm, J. Korean Inst. Electr. Electron. Mater. Eng., 24, 554 (2011). [DOI:10.4313/JKEM.2011.24.7.554] 

  10. C. I. Kim, K. B. Kim, J. H. Jeon, Y. H. Jeong, J. H. Cho, J. H. Paik, I. S. Kang, M. Y. Lee, B. J. Choi, Y. B. Cho, S. S. Park, S. Nahm, and Y. J. Lee, J. Korean Inst. Electr. Electron. Mater. Eng., 25, 511 (2012). [DOI: 10.4313/JKEM.2012.25.7.511] 

  11. C. I. Kim, K. B. Kim, Y. H. Jeong, Y. J. Lee, J. H. Cho, J. H. Paik, I. S. Kang, M. Y. Lee, B. J. Choi, S. S. Park, Y. B. Cho, and S. Nahm, J. Korean Inst. Electr. Electron. Mater. Eng., 25, 773 (2012). [DOI: 10.4313/JKEM.2012.25.10.773] 

  12. C. I. Kim, Y. H. Jeong, J. S. Yun, J. H. Cho, J. H. Paik, Y. H. Jang, B. J. Choi, S. S. Park, and Y. B. Cho, J. Korean Inst. Electr. Electron. Mater. Eng., 29, 274 (2016). [DOI: 10.4313/JKEM.2016.29.5.2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