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플립러닝 교수-학습법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Flipped Learning on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3, 2019년, pp.253 - 260  

이외선 (경남도립거창대학) ,  노윤구 (국립창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플립러닝 교수-학습법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단일군 사전 사후 설계로 88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인간호학 이론 수업에 총 4회기(8시간)를 적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3월 5일부터 6월 8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을 이용하여 빈도와 pari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플립러닝 교수-학습법 적용 후 학습동기 (t=12.7, p<.001)는 적용 전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t=-3.01, p<.001)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비판적 사고성향 (t=-.51, p=.606)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플립러닝 교수-학습법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임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학습동기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추후 학습동기를 향상 시킬 수 있는 플립러닝 교수-학습법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on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is study used a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Participants were 88 nursing students. The flipped learning was prov...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학과 3학년을 대상으로 성인간호학 이론수업에서 4차시 8시간 플립러닝 교수–학습법 적용후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단일군 사전-사후설계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 3학년을 대상으로 1학기 성인간호학 이론 교과목에 플립러닝 교수-학습법을 개발하여 적용 후 그 효과를 검증하고, 2학기 성인간호학 실습교과목에 실무지식으로의 통합을 유도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간호학 이론수업에 플립러닝교수-학습법을 적용 후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의의는 이론에서 배운 전공지식을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성인간호학 이론교육에 플립러닝 교수-학습법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것에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 3학년을 대상으로 3학년 1학기 성인간호학 이론수업에서 호흡기 영역 중 폐렴, 결핵, 천식, COPD(만성폐쇄성폐질환) 4개의 질환에 플립러닝 교수-학습법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실습 시 통합적으로 실무에 적용하는 것을 어려워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간호대학생들은이론교육에서 학습한 내용을 임상실습 시 통합적으로 실무에 적용하는 것을 매우 어려워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이는 이론교육이 단순한 정보제공이나 암기식 교육으로 정답을 찾는 수용적 학습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스스로 조직적으로 탐구하고 논리적 일관성을 바탕으로 결론을 유추하는 연습이 이루어지 않았기 때문이다[3]. 이러한 수용적 학습으로는 복잡한 임상상황의 예측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판적 사고능력, 임상판단 및 수행능력을 갖추기는 힘들다[3].
플립러닝의 4가지 특성은 무엇인가? 플립러닝은 유연성 있는 환경, 학습문화, 의도적인 학습내용, 전문교수자라는 4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다[9]. 유연성 있는 환경은 다양한 학습방식이 허용되며 그룹학습이나 개별학습을 학습단원에 맞추어 재조정하며 융통성있는 공간을 창조해야 한다[9].
플립러닝이란 무엇인가? 플립러닝은 거꾸로 교수-학습법으로 학생들이 교수자가 일반적으로 전달하는 강의를 듣는 전통적 수업에서 벗어나 수업 전 교수자가 제공하는 수업활용 전략에 따라 스스로 능동적으로 사전학습을 하고, 수업 중에는 학습된 지식의 적용을 위하여 다양한 학습방법이 구성되도록 하는 교수-학습법이다[4]. 플립러닝은 학습자들이 사전학습을 통해 자기주도학습을 하게 되고, 토론과 문제해결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하여 지식과 정보를 탐색, 공유함으로써 비판적 사고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학습법이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H. Kim & Y. H. Kim. (2017). An Action Research on Flipped Learning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4(4), 265-276. DOI: https://doi.org/10.7739/jkafn.2017.24.4.265 

  2. H. J. Jang & Y. K. Kwag. (2013). Affecting factors on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9), 4380-4387. DOI:https://doi.org/10.5762/KAIS.2013.14.9.4380 

  3. B. J. Lee & S. Y. Hwang. (2016). Class Experience of the Students on [Pregnancy, Delivery and Puerperium] Nursing Course through Flipped Learning: Mixed Method Research.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2(4), 221-232. DOI:https://doi.org/10.4069/kjwhn.2016.22.4.221 

  4. H. Kim. (2017). A Case study on Flipped learning of Health education class - Comparison with the lesson that applied the Reflective journal method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3(5), 135-148. 

  5. M. R. Jung & E. Jeong. (2017). Effects of E-book-based Flipped Learning Education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2), 490-501. DOI:https://doi.org/10.5392/JKCA.2018.18.02.490 

  6. J. H. Kong, E. J. Choi & O. H. Kim. (2017). The Effect of the Flipped Learning on Communication Competence,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Research, 2(2), 45-53. 

  7. Y. S. Lee & Y. Eun. (2016). The effect of the flipped learning on self-effica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4), 587-578.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4.567 

  8. M. K. Lee, S. J. Chang & S. J. Jang. (2017). Effects of the flipped classroom approach on the psychiatric nursing practicum 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6(2), 196-203. DOI:https://doi.org/10.12934/jkpmhn.2017.26.2.196 

  9. H. Y. Kim & Y. H. Kim. (2017). An Action Research on Flipped Learning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4(4), 265-276. DOI : 10.7739/jkafn.2017.24.4.265 

  10. H. Y. Gu. (2016).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5), 2829-2841. 

  11. B. R. Cho & J. M. Lee. (2018). A Meta Analysis on Effects of Flipped Learning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3), 59-73. DOI:http://dx.doi.org/10.14400/JDC.2018.16.3.059 

  12. F. Faul, E. Erdfelder, A. Buchner & A. G. Lan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13. J. M. Keller. (1987). Developmentand Use of the ARCS Model of Motivational design.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10(3), 2-10. 

  14. S. U. Han. (2012). The Effects of Keller's Motivation Strategy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 Focusing on 2nd Grade Students of High School -.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 University, Seoul. 

  15. A. Y. Kim & I. Y. Park. (200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9(1), 95-123. 

  16. J. Yun. (2004).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 In Nurs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17. H. S. Oh. (2017). Influence of learning motivation, communication skill, academic self-efficac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8), 311-321. 

  18. D. H. Schunk. (1991).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26, 207-231. DOI:https://doi.org/10.1080/00461520.1991.96531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